경상도 사투리 |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154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경상도 사투리 –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CLAB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55,424회 및 좋아요 2,74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경상도 사투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 경상도 사투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미난 특집으로 왔습니다!
부산, 대구, 창원 경상도 내에서도 사투리가 다를까요?
같이 보러가시죠!! 😀
—–
—–
영상이 즐거우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버튼을 꾸~욱 눌러주세요 🙂
출연 및 제휴 문의 : [email protected]

#사투리차이 #경상도사투리 #부산사투리 #경상도차이 #대구사투리 #창원사투리

경상도 사투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동남 방언 – 나무위키

동남 방언, 또는 경상도 사투리는 한반도의 동남쪽 영남 지방, 즉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이다. 2. 특징[편집]. 2.1. 문법[편집].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5/21/2021

View: 1609

분류:한국어 경상도 사투리 – 위키낱말사전

한국어 경상북도 사투리‎ (2개 문서). “한국어 경상도 사투리”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87개 가운데 87개입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ko.wiktionary.org

Date Published: 4/12/2022

View: 5917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 나라경제

그 말투가 경상도 사투리라는 걸 대구를 떠나기 전까지는 특별히 느껴본 적이 없다. 스무 살이 넘어 서울의 한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석사와 박사 학위를 따는 데까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eiec.kdi.re.kr

Date Published: 9/2/2022

View: 7144

동남 방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한반도의 동남부인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다. 사용 지역은 옛 경상도의 행정 구역과 대체로 일치하며, 영남 방언(嶺南方言), …

+ 여기를 클릭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0/24/2022

View: 5067

경상도 사투리..시간절약합니다… – BRIC

경상도 사투리..시간절약합니다… 구글 | 2006.07.08 09:25. 댓글 18 | 공감 3 | 비공감 0 | 조회 3,343. 재미있는 글이 있어 올립니다….다들 한번 읽어보세요.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ibric.org

Date Published: 11/6/2022

View: 3551

경상도 사투리 능력 고사 – 모두의 테스트, 뚜뚜닷컴

나는 경상도 사투리를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나의 경상도 사투리 능력 고사 테스트.

+ 여기에 표시

Source: ddooddoo.com

Date Published: 9/19/2022

View: 866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경상도 사투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경상도 사투리

  • Author: CLAB
  • Views: 조회수 255,424회
  • Likes: 좋아요 2,745개
  • Date Published: 2021. 8. 1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84dzzrt10YM
See also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스펙 | [삼성전자 Ds부문 채용] 생산기술연구소 현직자 찐★터뷰 최근 답변 178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남 방언(東南方言)은 한반도의 동남부인 영남 지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이다. 사용 지역은 옛 경상도의 행정 구역과 대체로 일치하며, 영남 방언(嶺南方言), 경상도 방언(慶尙道方言), 경상어(慶尙語)라고도 불린다.

음운 [ 편집 ]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단모음은 /i, e, ə, a, u, o/의 6개 모음 체계로 되어 있으며, 지역에 따라 7·8모음 체계가 나타나기도 한다.[1] 다만 여기서 표준어에서의 /ㅓ/와 /ㅡ/는 /ㅓ/로, /ㅐ/와 /ㅔ/가 /ㅐ/ 하나로 합류되는데, /ㅓ/의 음성은 서울 방언과 달리 중설(中舌) 모음 [ə]이며 /ㅐ/는 젊은 세대의 서울 방언과 마찬가지로 [ɛ]와 [e]의 중간 소리이다. 연구자들은 이 중간 발음들을 각각 E와 ∃로 대체 표기하기도 한다.

모음 ‘ㅓ’ 서울 방언 동남 방언 언어 /어너/ [ʌnʌ] /어너/ [ənə] 은어 /으너/ [ɯnʌ]

일부 지역에서는 비모음(鼻母音)이 존재한다. 주로 [n], [ŋ]과 같은 비음(鼻音)이 [i]과 결합될 경우에 비모음이 된다.

[aĩda] < 아니다 자음의 된소리 /ㅆ/이 없는 지역이 많다. 따라서 서울 방언의 ‘(도시락을) 샀다’와 ‘(도시락을) 쌌다’는 둘다 /샀다/로 발음된다. 이중 모음은 경북 방언과 경남 방언 사이에 다소 일반적 차이가 존재하는데, 경남 방언에서는 (ja, jə, ju, jo, je, wa, wə)의 7개 이중 모음이, 경북 방언에서는 (ja, jə, ju, jo, je, wi, we, wə, wa)의 9개 이중 모음이 나타나는 편이다.[1] 그러나 '사과'가 /사가/에 가깝게 발음되는 등 반모음 /w/는 어두 이외의 위치나 /ㅏ/ 이외의 모음 앞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활용 [ 편집 ] 용언의 활용에서는 'ㄷ'불규칙·'ㅂ'불규칙·'ㅅ' 불규칙 활용을 모두 보인다. 다만 '듣다'의 경우 이 방언에서 'ㄷ' 규칙 활용을 보임은 특징적이다. 예: 듣다, 드드니 (들으니). 어말에 'ㄺ', 'ㄼ' 자음군을 가진 체언이나 용언 어간은 'ㄱ'이나 'ㅂ'을 탈락시켜 발음한다. 예: 흘 (흙), 발찌만 (밟지만), 널따 (넓다). 악센트 [ 편집 ] 동남 방언에는 동부 방언의 특징인 악센트 체계가 있어, 말`의 높낮이가 단어의 뜻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이’에서 ‘말’을 높게 소리 내면 ‘동물의 말이’라는 뜻이 되고 ‘말’을 낮게 눌러서 소리 내면 ‘언어가’라는 뜻이 된다. 이것이 성조가 남아 있다고 잘못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2가지의 높낮이 구분만 있어 이 강세 발음을 성조라고 하기엔 매우 힘들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며 동남 방언에 성조가 있었다는 문헌의 기록도 전혀 없다. 음성학적으로 성조와 악센트의 차이는 성조는 다수의 여러 다른 발음으로 단어 자체가 뜻이 달라지는 것이며 악센트하고는 큰 차이점이 있다. 동남 방언이 고유의 악센트가 있다고 하여 이것을 성조라고 보기에는 힘들며 위의 예에서 나온 "말" "눈"과 같은 단어는 매우 극소수이다. 높낮이인 강세, 약세로만 구분되어 있어 성조가 아닌 악센트라고 할 수 있다. 음운 변화 [ 편집 ] 동남 방언에는 아래와 같은 특징적인 음운 변화가 있다. 전설 모음화(前舌母音化)를 널리 볼 수 있다. 모음 /ㅏ, ㅓ, ㅗ, ㅡ/가 /i/ 또는 /j/를 포함한 음절 직전에서 각각 /ㅐ, ㅐ, ㅐ, ㅣ/로 발음된다. 유사한 전설화 현상은 서울 방언에서도 볼 수 있다. /매키다/ < 막히다 cf. 서울 방언: /매키다/ /매기다/ < 먹이다 cf. 서울 방언: /메기다/ /앵기다/ < 옮기다 cf. 서울 방언: /웽기다/ /지기다/ < 죽이다 cf. 서울 방언: /쥐기다/ 연구개음 /ㄱ, ㅋ, ㄲ/은 모음 /i/ 또는 반모음 /j/ 앞에서 구개음화되어 /ㅈ, ㅊ, ㅉ/로 발음된다. /짐치/ < 김치 /지럼/ < 기름 마찬가지로 성문음 /ㅎ/은 모음 /i/ 또는 반모음 /j/ 앞에서 구개음화되어 /ㅅ/으로 발음된다. /심/ < 힘 /숭하다/ < 흉하다 어두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을 널리 볼 수 있다. /까자/ < 과자 'ㅓ'와 'ㅜ' 모음은 섞여서 많이 쓰이며, 'ㅕ'는 'ㅐ'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어무이 또는 어머이/ < 어머니 /아부지 또는 아버지/ < 아버지 /라맨/ < 라면 /개럴/ < 겨를[暇] 여담으로, 경상도에서는 2와 e의 발음을 다르게 하는 경우가 많다. 2는 [이]로, e는 [ᅙᅵ]로 발음한다. 문법 [ 편집 ] 체언 [ 편집 ] 동남 방언에 특징적인 조사류는 다음과 같다. 주격: -이가 (표준어: -이) 가심 이가 아푸다. 대격: -로 (표준어: -을/-를) 물 로 묵고 여격: -인대 (표준어: -에게) 이거 내 인대 있던 거 아이가? 공동격: -캉 (표준어: 랑) 내 캉 같이 가자. 용언 [ 편집 ] 활용 [ 편집 ] 용언 ‘-아-/-어-’형에서 양모음 어간의 경우라도 ‘-어-’가 붙을 수 있다. 받어- < 받아- 모음어간 용언의 ‘-아-/-어-’형에서는 표준어와 다른 축약형이 있을 수 있다. 비비- < 비벼- 도- < 줘- 표준어의 불규칙 용언 중 ㅂ 불규칙과 ㅅ 불규칙은 동남 방언에서 규칙 용언으로 나타난다. 더버- < 더워- 나사- < 나아- 한편 동남 방언에서는 동사 ‘묵다’(표준어: 먹다)가 다음과 같이 불규칙 용언으로 나타난다. 표준어 동남 방언 먹- 묵- 먹으면 무우면 먹어서 무우서 평서형 [ 편집 ] 평서형에는 아래와 같은 형식들이 있다. -ㅁ니더/-심니더 (합쇼체) -내 (하게체) -ㄴ다/-넌다 (해라체) 서울 방언의 해요체에 해당되는 형식으로는 ‘-예’를 붙는 형식이 있다. 여기 있어예. (서울 방언: 여기 있어요.) 여기 있넌대예. (서울 방언: 여기 있는데요.) 의문형 [ 편집 ] 의문형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들이 있다. -ㅁ니꺼/-심니꺼 (합쇼체) -넌교/-(으)ㄴ교 (합쇼체) -넌가/-(으)ㄴ가 (하게체) -나 (해라체) 동남 방언 의문형의 최대 특징은 판단 의문과 의문사 의문이 형식을 달리한다는 점이다. 우선 의문의 대상이 체언인 경우 자음 'ㄱ'이 사용되며, 용언인 경우 'ㄴ'이 사용된다. 판단 의문의 경우에는 모음 ‘ㅏ’로 끝나는 형식이 사용되며 의문사 의문의 경우에는 ‘ㅗ’로 끝나는 형식이 사용된다. 판단 의문 의문사 의문 체언 -가 -고 용언 -나 -노 여기가 너거 집이가?(체언에 대한 판단 의문) 이거는 어데 쓰는 물건이고?(체언에 대한 의문사 의문) 집에 가나?(용언에 대한 판단 의문) 어데 가노?(용언에 대한 의문사 의문) 따라서 의문사가 미지(未知)의 뜻이 아니라 불특정의 뜻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의문사 의문형이 아니라 판단 의문형이 사용체된다. 서울 방언에서 구별이 되지 않는 형식이 동남 방언에서는 구별이 되는 것이다. 거기 누가 있나? (의문사가 불특정, 즉 ‘누군가’의 뜻. 판단 의문문) 거기 누가 있노? (의문사가 미지의 뜻. 의문사 의문문) 또 체언이 서술어가 될 경우에 해라체 의문형은 서울 방언과 달리 서술격 조사 ‘-이-’ 없이 의문형 어미 ‘-가/-고’가 직접 체언에 붙을 수 있다. 이 형식은 중세 한국어에서도 볼 수 있는 오래된 특징이다. 이건 니 책이가? (판단 의문문) 이건 누구 책이고? (의문사 의문문) 일부 지역(진주시 등)의 젋은층 사이에서는 '-네'가 의문형 어미로 쓰이기도 한다. 머라 하네? (타 경상도 지역: 뭐라카노?) 이거 안 하네? (타 경상도 지역: 이거 안 하나?) 명령형, 청유형 [ 편집 ] 명령형은 아래와 같은 형식들이다. ‘-거라’는 서울 방언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형식이지만 동남 방언에서는 자주 쓰인다. -(으)시이소, -(으)이소 (합쇼체) -(아/어)라~-거라 (해라체) 청유형의 형식들은 다음과 같다. -(으)입시더 (합쇼체) -자 (해라체) 부정형 [ 편집 ] 불가능을 나타내는 서울 방언의 부정 부사 ‘못’에 해당되는 것으로 동남 방언에는 ‘몬’이 있다. 몬 하다, 몬 오다 인용형 [ 편집 ] 인용형을 만드는 어미는 ‘-꼬’(서울 방언: -고)이다. ‘-꼬’ 직후에 용언 ‘하다’가 올 때는 융합되어 ‘-카다’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서는 '-꼬'가 생략되고 '하' 발음이 약화되어 '-라다'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머라꼬예? (서울 방언: 뭐라고요?) 머라캣노? (서울 방언: 뭐라고 했어?) 머라카노? (서울 방언: 뭐라고 했어?) - 영남 전역 머라노? (서울 방언: 뭐라고 했어?) - 경남 일부 머라(카)네? (서울 방언: 뭐라고 했어?) - 경남 일부 관형형 [ 편집 ] 관형형 중 과거형으로서 선어말어미 ‘-앗-/-엇-’(서울 방언의 ‘-았-/-었-’에 해당)에 형재 관형형 ‘-넌’(서울 방언의 ‘-는’에 해당)이 붙은 ‘-앗넌/-엇넌’이란 형식이 있다. 밥 무웃넌 사람 (서울 방언: 밥을 먹은 사람) 어휘 [ 편집 ] 어중에 ‘ㅂ, ㅅ’이 나타나는 단어 중 몇몇은 옛 시대의 특징을 유지한 것이다. 이들은 중세 한국어에서 ‘ㅸ, ㅿ’으로 나타나는 것들이다. 서울 방언 동남 방언 중세 한국어 새우 새비 사ᄫᅵ 무우 무시 무ᅀᅮ 중세 한국어 모음 ‘ㆍ’(아래아)는 서울 방언에서 일반적으로 ‘ㅏ’로 합류되었는데 동남 방언에서는 그 중 순음 직후에 있는 것이 ‘ㅗ’와 합류되는 경우가 있었다. 서울 방언 동남 방언 ㅣ 중세 한국어 팔 폴 ᄑᆞᆯ 빠르다 뽀리다 ᄲᆞᄅᆞ다 방언 고유 어휘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그 중 몇몇은 서남 방언(전라도 방언)과 공통된다. 동남 방언에서의 ‘밀대’는 서울 방언과 다른 뜻으로 쓰인다. 서울 방언 동남 방언 사내아이 머시마 계집아이 가시나 대걸레 밀대 동남 방언에만 존재하는 어휘로는 '들러 붙어 귀찮게 하다'는 의미의 앵기다나 '멋있고 보기 좋다'는 의미의 까리하다 등이 있다. 또한 특유의 친족 어휘는 경상도에 본적을 두는 재일교포나 재중동포 사이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서울 방언 동남 방언 아버지 아부지 할아버지 할배, 할바이 할머니 할매, 할마이 어머니 어무이 삼촌, 아저씨 아제, 아지벰 고(이)모, 아주머니 아지메,아주멤 사회적 인식 [ 편집 ] 동남 방언은 소백산맥으로 고립된 지리적 특성상 제주 방언과 마찬가지로 다른 방언에서 사라진 중세 국어의 성조를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는 설도 있다.[2] 하지만 중세 국어에 성조가 있다는 문헌적 기록 등 증거가 없어서 성조가 있었다는 건에 비판적인 설도 지지받고 있으며 동남 방언은 성조가 아니며 높낮이 강세가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관서 지방 사투리도 동남 방언처럼 높낮이 강세가 심하게 있으나 성조라고 하지 않는다. 동남 방언은 수도권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사회적 이유로 표준 말투의 사용을 요구받는 경우, 수도권 말씨에 적응하는 편이기는 하나, 원 방언의 특징이 잘 남아있어 화자들은 서부 지역의 방언 화자들과 다르게 무뚝뚝하면서 딱딱한 억양을 지닌다는 분석도 있다.[3] 대중에게는 “머라카노”, “우야꼬” 등 동남 방언은 일본어와 비슷하게 들린다고 인식되기도 한다.[4] 서울말이나 서남 방언은 발음을 길고 짧게 하는 장단(長短) 언어이지만, 동남 방언은 음의 높낮이가 있는 성조(聲調) 언어로 서남 방언 화자들이 표준어에 쉽게 적응하는 반면 경상도 사람들은 억양을 바꾸기 어려운 이유이다.[5] 지역별 차이 [ 편집 ]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같은 방언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이를 보인다. 구체적인 차이를 든다면,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북도는 단어의 한 자 한 자를 띄어서 발음하고,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의 경우에는 단어의 한 자 한 자를 붙여서 발음한다. 단, 문경의 경우, 충북과 경계가 맞닿아 있어서 간혹 충청도 방언과 섞이기도 한다. 강원도 강릉이면 이북 억양같이 굉장히 억세다. 삼척시의 경우 동남 방언과 혼재돼 있는데, 영동 방언에 속하기도 하고 동남 방언(경상 방언)에 속해 전이 지대로 불리기도 한다. 참고 문헌 [ 편집 ] 김영송(1977) 〈경남 방언 [3] 음운〉, 《한글》 159, 한글 학회 나진석(1977) 〈경남 방언 [2] 말본〉, 《한글》 159, 한글 학회 方言硏究會(2001) 《方言學辭典》, 태학사 이기갑(2003)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河野六郎 (1945;1979) 〈 朝鮮語方言學試攷―「鋏」語考― 〉, 《 河野六郎著作集 1》, 平凡社 각주 [ 편집 ]

경상도 사투리..시간절약합니다…

경상도 사투리..시간절약합니다… 구글 (2006-07-08 09:25) 공감 3 조회3345 Share Close 트위터 l 페이스북 비밀번호 재미있는 글이 있어 올립니다….다들 한번 읽어보세요…시간은 금이다..경상도 말을 배워 시간을 아낍시다…

————————————————————

잛은 것이 반듯이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긴 것보다야 좋지…

* 참고: ( )안은 ‘압축비를’ 나타냄

—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 —->고다꾜 쏵쌤(9:5)

— 저것은 무엇입니까? —->저.. 뭐꼬?(2:1)

— 할아버지 오셨습니까? —->할뱅교?(3:1)

— 저기 있는 저 아이는 누구입니까? —-> 쟈. 누고?(13:4)

— 니가 그렇게 말을 하니까 내가 그러는거지, 니가 안 그러는데 내가 왜 그러겠니?

—-> 니 그카이 그카제, 니 안 그카뭐 그카나?(31:17)

— 나 배고파! / 밥 차려 놨어! 밥 먹어! —->밥도!(2:1) /자! 무라! (8:3)

— 어, 이일을 어떻게 하면 좋아? —-> 우야노!(11:3)

— 어쭈, 이것 봐라! —-> 이기요!(2:1)

— 너 정말 나 한테 이럴 수 있니? —->팍!(11:1)

— 왜 그러시는가요? —-> 멍교?(7:2)

— 야, 그러지 좀 마! —-> 쫌!(6:1)

— 이 물건 당신 건 가요? —-> 니끼가?(8:3)

— 네, 그건 제 물건입니다. —-> 언 도!(9:2)

— 어디에 숨기셨나요? —->우쨌노?(7:3)

키워드에 대한 정보 경상도 사투리

다음은 Bing에서 경상도 사투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YouTube에서 경상도 사투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산 VS 대구 VS 창원, 경상도 사투리 비교! (햄 VS 희야 VS 누야) | 경상도 사투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