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 진단 기준 |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27304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편두통 진단 기준 –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뉴고려병원공식유튜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71회 및 좋아요 1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진단
  • 기준 B-D를 만족하는 발작이 최소한 5번 이상 발생
  • 치료하지 않거나 치료가 불완전할 경우 두통 발작이 4~72시간 지속
  • 두통은 다음 중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을 가짐 …
  • 두통이 있는 동안 다음 중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을 가짐 …
  • 다른 질환에 기인하지 않음

편두통 진단 기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 편두통 진단 기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편두통 #편두통증상 #편두통특징
보통 편두통이라고 하면
한쪽 머리에만 생기는 것으로 많이 오해하시지만
이것은 편두통이라는 이름 자체에서 비롯된 오해이며,
편두통은 어느 쪽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편두통의 5가지 특징 증상과
편두통 진단 기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http://www.nkhospital.net/
진료문의 ☎031-980-9114

편두통 진단 기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편두통

통증은 주로 4-7시간 정도 지속되고, 72시간 이상 심한 두통이 지속되는 경우 ‘편두통 지속상태’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조증상은 편두통 환자의 약 30%에서 두통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cnuhh.com

Date Published: 5/18/2022

View: 750

편두통 – 전남대학교병원

진단 ; 1) 4~72시간 지속되는 두통이 최소한 5번 이상 발생 2) 두통은 다음 중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가짐 ① 편측 발생 ② 박동성 ③ 중등 정도에서 심한 정도의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cnuh.com

Date Published: 1/22/2022

View: 3674

편두통 진단기준 – 네이버 블로그

편두통 진단기준 · 1. 편측위치 · 2. 박동양상 (- 맥박뛰듯이 욱씬욱씬, 쿡쿡 쑤시는 양상) · 3. 중등도 또는 심도의 통증 강도 · 4. 일상신체활동(걷거나 …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8/2021

View: 2748

An Update On Migraine Treatment 편두통 치료의 최신 지견

미국두통학회의 합의안은 정상생활이 가능한 두통일이 한 달에 6일 이상일 경우, 중등도의 장애를 동반한 두통이 한달에 4-5일 이상일 경우, 심한 장애가 …

+ 더 읽기

Source: www.jkna.org

Date Published: 8/14/2021

View: 9914

편두통의 진단과 치료

편두통의 진단은 2004년에 제정된 국제두통질환. 분류의 진단기준이 흔히 사용된다. 편두통의 치료에는 약물적 치료와 비약물 치료가 있고 약물 치료에는 급성기 치료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jfm.or.kr

Date Published: 1/17/2021

View: 6586

두통 진료지침 요약본

우선, 두. 통의 평가, 진단 및 치료와 관련한 총 13개의 핵심질문이 선정되었다. 체계적 근거 검색 과정에서 긴장형두. 통, 편두통, 군발두통, 약물과용두통 중 1가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guideline.or.kr

Date Published: 4/14/2021

View: 7538

편두통성 현훈의 진단과 감별진단

적인 편두통의 진단 기준에 포함된 증상은 아니지만, 일반인. 에 비해 편두통 환자에서 현훈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8. 편두통에 대한 임상적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e-rvs.org

Date Published: 1/24/2022

View: 655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편두통 진단 기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편두통 진단 기준

  • Author: 뉴고려병원공식유튜브
  • Views: 조회수 771회
  • Likes: 좋아요 12개
  • Date Published: 2021. 11. 2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HgNwBKCJFv8

서울대학교병원

정의 일반적으로 편두통은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그러나 의학적으로 편두통은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이나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한다. 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병률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주로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국내의 조사에 의하면 편두통의 유병률은 6.5%로 추산되며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약 3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편두통은 중등도 이상의 강도를 보이기 때문에 편두통 환자의 약 80% 정도가 두통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고 한다.

증상 1) 무조짐 편두통(migraine without aura)

편두통은 보통 전구증상-조짐-두통 및 동반증상-해소기-후유증상의 5단계로 진행되는데, 조짐이 동반되지 않는 무조짐 편두통은 편두통의 가장 흔한 유형이다.

전구증상(premonitory symptom)은 두통 시작 2~48시간 전에 나타나는 증상이며, 두통이 발생하기 전까지 또는 두통이 발생하는 도중에 나타나는 증상인 조짐(aura)와는 구별된다. 전구증상은 피로감, 졸림, 무기력, 하품, 집중력저하, 목이 뻣뻣함, 감정의 예민, 식욕부진, 갈증, 음식에 대한 욕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비교적 비특이적인 증상들이고 일상 생활에서 피로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반응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기 때문에 진단적 가치는 높지 않다.

편두통 환자의 2/3 이상이 하나 이상의 유발 요인을 가지며 조짐편두통보다는 무조짐 편두통 환자에게 더 흔하다. 그러나 모든 편두통 환자에게 공통된 유발 요인은 없으며 특별한 유발 요인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서 그 요인이 항상 편두통을 유발하는 것도 아니다. 스트레스는 가장 흔한 유발 요인이며 편두통 환자의 반 이상에게서 편두통을 유발한다. 음식물 중에서는 술이 대표적이다. 모든 종류의 술이 두통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적포도주가 편두통 유발 요인으로 유명하다. 그 밖에 알려진 음식으로는 초콜릿, 치즈, 감귤류, 튀긴 지방질음식 등이 있다. 월경은 여성에 흔한 유발 요인이자 악화 요인으로 무조짐 편두통 환자에게서 흔하다. 결식, 수면부족, 수면과다, 격렬한 운동, 과로 등 불규칙한 생활습관도 두통의 흔한 유발 요인이다. 밝은 빛, 깜빡이는 빛, 날씨 변화, 높은 고도 등의 환경적인 요인도 유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두통은 보통 약한 강도로 시작되어 30분~2시간에 걸쳐 점점 심해진 후 최고조에 이른다. 약 50%의 편두통발작이 박동성이고 나머지는 주로 조이는 것 같거나 터질 것 같은 느낌의 통증이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일상적인 활동에 의해 두통이 악화되는 현상은 진단적 가치가 높은 중요한 증상이다. 동반되는 증상 중 구역과 구토는 두통과 더불어 환자가 가장 고통을 호소하는 증상이며 구토는 50%, 구역은 90%의 환자가 경험한다. 그 밖에 식욕감퇴, 설사도 나타날 수 있다. 빛공포증과 소리공포증(빛이나 소리에 노출되었을 때 두통이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되도록 어둡고 조용한 곳에 있으려는 증상)도 흔히 나타나는데 긴장형두통에서 나타나는 것보다 그 정도가 심하다. 심한 두통은 수시간에서 이틀 정도 지속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호전되며 구토하거나 수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면 두통이 완화되기도 한다. 많은 경우에 있어 두통이 해소된 이후에도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증상이 남게 되는데 이를 후유증상이라고 한다. 이는 약 1일 정도 지속되고 감정변화, 무력감, 피로감 및 식욕부진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2) 조짐편두통(migraine with aura)

편두통의 조짐은 다양한 양상의 신경학적 증상으로 나타나는데, 조짐이 시각증상, 감각증상, 언어증상인 경우 전형적인 ‘조짐(aura, 전조)’이라고 한다. 조짐은 보통 수십 분 정도 지속되며, 조짐 중에 또는 한 시간 내에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조짐편두통을 갖고 있는 환자는 흔히 무조짐 편두통을 경험하는 경우도 많다.

전형적인 조짐은 회복 가능한 시각, 감각, 또는 언어 증상이 두통 시작 전이나 두통 중에 나타나는 것이다. 시각 증상과 감각 증상은 확산되는 특징을 가지고, 양성증상(번쩍이는 빛, 지그재그 선, 또는 저린 증상) 후에 음성증상(암점 또는 감각소실)이 따르는 경향이 있다. 시각조짐이 압도적으로 흔하고 그 다음이 감각조짐, 언어장애조짐, 운동조짐의 순서이다. 한 환자에게서 두 가지 이상의 조짐이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나타나지 않고 연속해서 나타나며, 전체 지속 시간도 한 시간 이상이 될 수 있다. 약 10%의 환자는 두통이 없이 조짐만 경험한다.

전형적인 시각조짐은 성곽모양의 빛 또는 암점(scotoma; 시야의 일부가 소실되는 현상)이 동시에 혹은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먼저 시력이 흐려진 후, 번쩍이는 지그재그 선이 중심부에서부터 시작되어 주변부로 옮겨가면서 암점을 남기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다. 시각증상은 중심부에서 시작되어 주변부로 이동하는 양상이 대부분이지만, 주변부에서 시작되어 중심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한쪽 시야 전체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한쪽 시야의 위쪽이나 아래쪽 사분면 중 한 면에서만 나타나거나 양측 시야에 나타나기도 한다.

감각조짐은 시각조짐 다음으로 흔하게 나타나며 조짐편두통 환자의 30~40% 정도가 감각조짐을 경험한다. 팔과 얼굴에 가장 흔히 나타나지만 다리와 몸통에 나타날 수도 있다. 한쪽 팔과 입 주변에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약 50%이고 엄지손가락에서 시작하여 팔을 거쳐 입 주변으로 전파되는 양상이 전형적이다.

언어장애조짐은 약 10~20%의 조짐편두통 환자에서 나타나고, 반신마비편두통 환자의 경우 약 50%에서 나타난다. 대부분은 착어증 오류(paraphasic error)나 이해장애 등의 실어증을 보이지만, 일부 환자는 혀나 입 주변에 감각 이상이 확산되는 등의 원인에 의한 발음곤란(dysarthria)을 호소한다.

원인 편두통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이전에는 두피를 지나가는 혈관이 박동성을 가지고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는 것이 편두통의 원인이라는 혈관가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이 혈관가설은 편두통의 증상 중 전구 증상이나 조짐 등의 부분을 잘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혈관가설 이후 신경탓 이론(neurogenic theory)이 편두통의 원인으로 제기되었다. 이 이론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인자에 의해 편두통 발작에 대한 뇌의 역치(어떤 자극을 통증으로 인식하는 기준점)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편두통 유발 인자의 자극 정도가 이 역치를 넘을 수 있게 되어 편두통발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신경탓 이론과 관련하여 두피 및 두개에 존재하는 혈관에 분포하는 신경의 말단에서 특정 물질들이 방출되고 이 물질들이 혈관확장, 혈장의 혈관 밖 수축 및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두통이 일어난다는 신경탓 염증(neurogenic inflammation) 가설도 제시되었다.

한편 편두통환자들은 상당한 빈도로 가족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편두통 발생에 유전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편두통의 한 유형인 가족성반신마비편두통(familial hemiplegic migraine)에 관계되는 유전자는 지금까지 3개가 알려져 있다.

관련신체기관 머리(뇌, 두피)

진단 편두통의 진단은 기본적으로 의사의 임상적인 문진과 진찰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음과 같은 진단 기준이 국제두통학회에서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1. 무조짐편두통

1) 기준 B-D를 만족하는 발작이 최소한 5번 이상 발생

2) 치료하지 않거나 치료가 불완전할 경우 두통 발작이 4~72시간 지속

3) 두통은 다음 중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을 가짐

① 일측성

② 박동성

③ 중등도 또는 심도의 통증 강도

④ 일상적인 육체활동(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등)에 의해 악화되거나, 두통 때문에 이를 피하게 됨

4) 두통이 있는 동안 다음 중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을 가짐

① 구역 그리고/또는 구토

② 빛공포증과 소리공포증

5) 다른 질환에 기인하지 않음

2. 조짐편두통

1) 기준 B~D를 만족하는 최소한 2번 이상의 발작

2) 운동 약화를 제외하고 다음 중 최소한 한 가지를 나타내는 조짐

① 양성 증상(섬광이나 점, 선)이나 음성증상(시력소실)을 포함하는 완전 가역성 시각 증상

② 양성 증상(따끔거림)이나 음성증상(무감각)을 포함하는 완전 가역성 감각 증상

③ 완전 가역성 언어장애

3) 다음 중 최소한 두 가지 항목

① 같은 쪽 시각 증상 그리고/또는 한쪽 감각 증상

② 최소한 한 가지 조짐증상이 5분 이상 서서히 발생, 또는 다른 조짐증상이 연속해서 5분 이상 발생

③ 각 조짐증상은 5분 이상 및 60분 이하의 지속시간을 가짐.

4) 무조짐 편두통의 B~D 항목을 만족하는 두통이 조짐 동안, 또는 조짐 후 60분 이내에 나타남

5) 다른 질환에 기인하지 않음

치료 효과적인 두통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급성기 약물 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두통의 빈도와 강도, 지속시간을 줄이기 위한 예방요법을 병행한다. 편두통이 발생하면 약물 복용을 통하여 최대한 빨리 두통과 동반 증상들을 멈추거나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편두통 발작이 시작되면 즉시 급성기 약물을 투여하는데 빨리 투여할수록 더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진통제, 카펠고트 등이 포함된 복합진통제는 과거에 이러한 진통제를 통하여 효과를 보았던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환자가 약물을 남용하면서 약물과용두통으로 증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편두통에 특이적으로 사용하는 급성기 약물로는 수마트립탄(sumatriptan), 졸미트립탄(zolmitriptan), 나라트립탄(naratriptan) 등이 있다. 비교적 부작용이 적지만 일부에서 가슴 또는 흉부의 압박감, 저림, 이상한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관상동맥을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허혈성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

편두통의 예방치료는 편두통의 발작 기간과 횟수를 감소시키고 통증의 강도를 약화시키며 급성기 약물에 대한 반응을 개선하여 편두통에 의한 장애를 경감시키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치료법이다.

예방적 약물요법은 단기 요법과 장기 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단기 요법은 월경편두통, 조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편두통, 또는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같이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생기는 편두통 발작 등을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장기 요법은 1) 잦은 편두통 발작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의 장애가 현저한 경우 (한 달에 2회 이상) 2) 급성기 편두통 약물에 효과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 3) 약물 과용인 경우 4) 1주일에 2회 이상으로 편두통 횟수가 잦은 경우 5) 환자가 원할 경우 등에 시행한다.

예방 약물로는 항경련제인 발프로에이트(valproate)나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베타 차단제(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 아테놀롤 atenolol), 칼슘통로 차단제(플루나리진 flunarizine, 베라파밀 verapamil)나 항우울제(아미트리프틸린 amitriptyline, 노르트리프틸린 nortriptyline) 등이 있다.

경과/합병증 편두통은 그 자체가 생명에 치명적인 위험이 되거나 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은 아니다. 그러나 두통으로 인하여 결근, 결석을 하거나 일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한다. 경험적으로 편두통 자체는 나이가 들면서 강도가 약해지거나 또는 빈도가 줄어드는 경과를 보이지만, 이러한 경향이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복약정보 : 전남대학교병원

정의 일반적으로 편두통은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의학적으로 편두통은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이나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합니다.

국내의 조사에 의하면 편두통의 유병률은 6.5%로 추산되며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약 3배 정도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편두통은 중등도 이상의 강도를 보이기 때문에 편두통 환자의 약 80% 정도가 두통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고 합니다.

원인 편두통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이전에는 두피를 지나가는 혈관이 박동성을 가지고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는 것이 편두통의 원인이라는 혈관가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이 가설은 전구 증상이나 조짐 등의 부분을 잘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이후 신경탓 이론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인자에 의해 편두통 발작에 대한 뇌의 역치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편두통 유발 인자의 자극 정도가 이 역치를 넘을 수 있게 되어 편두통발작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이 신경탓 이론과 관련하여 두피 및 두개에 존재하는 혈관에 분포하는 신경의 말단에서 특정 물질들이 방출되고 이 물질들이 혈관확장, 혈장의 혈관 밖 수축 및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두통이 일어난다는 신경탓 염증 가설도 제시되었습니다.

한편 편두통환자들은 상당한 빈도로 가족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편두통 발생에 유전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편두통의 한 유형인 가족성반신마비편두통에 관계되는 유전자는 지금까지 3개가 알려져 있습니다. 편두통 유발원인 환경 음식 약물 스트레스, 감정

저혈당

수면양상의 변경

생리, 운동, 음주

CO(carbon monoxide) MSG(예:중국음식, 양념, 통조림, 국)

Tyramine(예:적포도주, 발효치즈)

Nitrite(예:가공 육류제품)

Phenylethylamine(예:초콜릿, 치즈)

Aspartate(예:인공감미료, diet soda)

카페인 과다 사용이나 사용 중지 Ergot, triptans, analgesics의 과다사용

Estrogen(예:경구 피임제)

코카인

nitroglycerine

증상 편두통은 시각적 또는 감각적 전조증상의 유무로 분류합니다. 전조증상을 수반한 편두통은 전조증상이 없는 편두통과 비교할 때 그 빈도가 적습니다.

편두통이 나타나는 부위는 얼굴 위 관자놀이 또는 눈 주변으로 중등 정도에서 심한 정도의 쑤시는 통증을 보입니다. 통증과 함께 환자의 90%에서 오심을 수반하고 있으며 환자의 약 50%에서 구토를 수반합니다. 환자에게 주로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은 빛공포증과 소리공포증, 경직된 목, 어지러움, 불안증세가 있습니다.

전조증상은 편두통 환자의 약 30%에서 두통이 발생하기 전 또는 두통과 함께 나타나는 국소 적인 신경학적 특징으로 대개 두통 발생 10분에서 1시간 전에 시작합니다. 증상으로는 가벼운 두통, 광시증, 시력장애, 마비 등이 있습니다.

진단 편두통 진단 전조 증상이 없는 편두통의 진단 기준 전조 증상이 있는 편두통의 진단 기준 1) 4~72시간 지속되는 두통이 최소한 5번 이상 발생

2) 두통은 다음 중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가짐

① 편측 발생

② 박동성

③ 중등 정도에서 심한 정도의 두통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거나 어렵게 함)

④ 계단을 걸을 때나 유사한 일상적인 신체 활동에 의하여 심해짐

3) 두통이 발생한 동안 다음 중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가짐

① 구역 그리고/또는 구토

② 빛공포증과 소리공포증 1) 최소한 2번 이상의 발작이 아래의 4가지 요건들 중에서 3가지 충족

① 1개 이상의 국소적 뇌피질 또는 뇌간의 기능 이상을 나타내는 전조증상으로 완전하게 가역적

② 1개 이상의 전조증상이 점차(5분 이상) 나타나거나 연이어서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③ 전조 증상은 60분 이상 지속하지 않음

④ 전조 증상 후 1시간 이내에 두통 수반 편두통의 진단은 기본적으로 의사의 임상적인 문진과 진찰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다음과 같은 진단 기준이 국제두통학회에서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약물치료 효과적인 두통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급성기 약물 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두통의 빈도와 강도, 지속시간을 줄이기 위한 예방요법을 병행합니다. 편두통이 발생하면 약물 복용을 통하여 최대한 빨리 두통과 동반 증상들을 멈추거나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즉시 급성기 약물을 투여할수록 더 효과적입니다.

일반적인 진통제, 카펠고트 등이 포함된 복합진통제는 과거에 이러한 진통제를 통하여 효과를 보았던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가 약물을 남용하면서 약물과용두통으로 증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편두통에 특이적으로 사용하는 급성기 약물로는 수마트립탄(sumatriptan), 졸미트립탄(zolmitriptan), 나라트립탄(naratriptan) 등이 있습니다. 비교적 부작용이 적지만 일부에서 가슴 또는 흉부의 압박감, 저림, 이상한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을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허혈성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사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편두통의 원내 해당약 상품명

(성분명) 성상 작용기전 Almogran

(Almotriptan) Serotonin 유사화합물로서 뇌혈관 평활근에 존재하는 5HT-1B/1D 수용체에 선택적인 효현작용을 합니다. 두 개 내 혈관을 선택적 수축시키고 삼차신경의 혈관 작용성 펩타이드의 분비를 감소시켜 염증반응 억제하며 삼차신경활성 억제합니다. Naramig

(Naratriptan) Migard

(Frocatriptan) Imigran

(Sumatriptan) Craming

(Ergotamine) 동맥과 정맥혈관 수축을 촉진하고 삼차신경혈관계에서 neurotpeptide의 유리를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합니다. Serotonin receptor subtype 5-HT1B와 5-HT1D, 도파민 수용체,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항편두통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편두통의 예방치료는 편두통의 발작 기간과 횟수를 감소시키고 통증의 강도를 약화시키며 급성기 약물에 대한 반응을 개선하여 편두통에 의한 장애를 경감시키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치료법입니다.

예방적 약물요법은 단기 요법과 장기 요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기 요법은 월경편두통, 조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편두통, 또는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같이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생기는 편두통 발작 등을 예방하는데 유용합니다.

장기 요법은 다음과 같을 경우 시행합니다. 1) 잦은 편두통 발작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의 장애가 현저한 경우 (한 달에 2회 이상)

2) 급성기 편두통 약물에 효과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

3) 약물 과용인 경우

4) 1주일에 2회 이상으로 편두통 횟수가 잦은 경우

5) 환자가 원할 경우 예방 약물로는 항경련제인 발프로에이트(valproate)나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베타 차단제(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 아테놀롤 atenolol), 칼슘통로 차단제(플루나리진 flunarizine, 베라파밀 verapamil)나 항우울제(아미트리프틸린 amitriptyline, 노르트리프틸린 nortriptyline) 등이 있습니다. 편두통의 원내 해당약 상품명

(성분명) 성상 작용기전 Sibelium

(Flunarizine) Ca channel blocker로서 혈관벽에 선택적인 Ca유입 차단효과가 있습니다. 뇌혈관 및 말초 전정기관의 혈액순환을 개선합니다. 전정안정으로 어지러움 증상을 개선하고 편두통 예방합니다. Naramig

(Naratriptan)

편두통 진단기준

진단기준은 위와 같지만, 실제 진료실에서는 위 기준만으로 진료를 하진 않습니다.

진단기준은 국제적인 의사소통 (연구 등의 목적)을 위해서는 꼭 필요하지만,

이러한 진단기준을 너무 엄격하게 적용했을 때는 편두통 환자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위 진단기준에 맞지 않지만 편두통 치료제는 효과적인 분들이 많습니다.

구역(메스꺼움)이나 구토, 소리/빛 공포증이 없으면 편두통 진단 기준에는 맞지 않습니다.

하지만 발생 메커니즘은 편두통 때문인 경우가 많고, 이런 경우엔 편두통 치료를 해야만 합니다.

두통이 약하고, 머리 양측에 전반적으로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모두 긴장형두통으로 단정지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두통의 양상은 변화하기 때문에, 과거에 전형적인 편두통 증상이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형태가 바뀌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편두통 치료는 효과적입니다.

위 진단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난 편두통이 아니야’라고 단정지으면 안됩니다.

여러 동반 증상, 두통 악화요인 등 모든 증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두통임을 모르고, 진통제만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원에서도 제대로 진단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낫지 않는 두통 때문에 이 병원 저 병원 떠돌다 대학병원까지 오게 됩니다.

제대로 진단만 받았으면 쉽게 치료가 되었을 텐데 수년 씩 고생하신 분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두통은 너무 흔하기 때문에, 진통제로 쉽게 증상이 좋아지기 때문에 (일시적인 호전일 뿐이지만..), 두통을 쉽게 보고 쉽게 약을 사서 복용합니다. 의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두통 때문에 고생하고 있다면, 두통 진료 경험이 많은 신경과 등의 전문 의료진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An Update On Migraine Treatment

1. Headac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IHS).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3rd edition. Cephalalgia 2018;38:1-211.

J Clin Neurol 2012;8:204-211.

2. Kim BK, Chu MK, Lee TG, Kim JM, Chung CS, Lee KS. Prevalence and impact of migraine and tension-type headache in Korea.2012;8:204-211.

Cephalalgia 2013;33:1106-1116.

3. Kim BK, Chung YK, Kim JM, Lee KS, Chu MK.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sability of migraine and probable migrain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urvey in Korea.2013;33:1106-1116.

4.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estimates 2015: disease burden by cause, age, sex, by country and by region, 2000-2015. [online] 2016 [cited 2018 Oct 26]. Available from: URL: http://www.who.int/healthinfo/ global_burden_disease/estimates/en/index2.html

Lancet Neurol 2017;16:877-897.

5. GBD 2015 Neurological Disorders Collaborator Group.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neurological disorders during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2017;16:877-897.

J Headache Pain 2018;19:17.

6. Steiner TJ, Stovner LJ, Vos T, Jensen R. Migraine is first cause of disability in under 50s: will health politicians now take notice?2018;19:17.

7. American Headache Society. The American Headache Society position statement on integrating new migraine treatments into clinical practice. Headache 2019;59:1-18.

Headache 2015;55:3-20.

8. Marmura MJ, Silberstein SD, Schwedt TJ. The acute treatment of migraine in adults: the American Headache Society evidence assessment of migraine pharmacotherapies.2015;55:3-20.

Expert Opin Pharmacother 2000;1:391-404.

9. Millson DS, Tepper SJ, Rapoport AM. Migraine pharmacotherapy with oral triptans: a rational approach to clinical management.2000;1:391-404.

JAMA 2007;297:1443-1454.

10. Brandes JL, Kudrow D, Stark SR, O’Carroll CP, Adelman JU, O’Donnell FJ, et al. Sumatriptan-naproxen for acute treatment of migraine: a randomized trial.2007;297:1443-1454.

Cephalalgia 2014;34:434-445.

11. Tullo V, Valguarnera F, Barbanti P, Cortelli P, Sette G, Allais G, et al. Comparison of frovatriptan plus dexketoprofen (25 mg or 37.5 mg) with frovatriptan alone in the treatment of migraine attacks with or without aura: a randomized study.2014;34:434-445.

N Engl J Med 2019;381:2230-2241.

12. Dodick DW, Lipton RB, Ailani J, Lu K, Finnegan M, Trugman JM, et al. Ubrogepant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2019;381:2230-2241.

Expert Opin Investig Drugs 2019;28:555-567.

13. Negro A, Martelletti P. Gepants for the treatment of migraine.2019;28:555-567.

N Engl J Med 2019;381:142-149.

14. Lipton RB, Croop R, Stock EG, Stock DA, Morris BA, Frost M, et al. Rimegepant, an oral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receptor antagonist, for migraine.2019;381:142-149.

Expert Opin Pharmacother 2017;18:1409-1415.

15. Raffaelli B, Israel H, Neeb L, Reuter U.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5-HT 1F receptor agonist lasmiditan in the acute treatment of migraine.2017;18:1409-1415.

Neurology 2007;68:343-349.

16. Lipton RB, Bigal ME, Diamond M, Freitag F, Reed ML, Stewart WF. Migraine prevalence, disease burden, and the need for preventive therapy.2007;68:343-349.

Neurology 2001;56 Suppl 1:S20-S28.

17. Stewart WF, Lipton RB, Dowson AJ, Sawyer J.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MIDAS) questionnaire to assess headache-related disability.2001;56 Suppl 1:S20-S28.

Neurology 2012;78:1337-1345.

18. Silberstein SD, Holland S, Freitag F, Dodick DW, Argoff C, Ashman E. Evidence-based guideline update: pharmacologic treatment for episodic migraine prevention in adults: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Headache Society.2012;78:1337-1345.

Curr Pain Headache Rep 2015;19:49.

19. Starling AJ, Vargas BB. A narrative review of evidence-based preventive options for chronic migraine.2015;19:49.

Headache 2007;47:585-599.

20. Silberstein SD, Dodick D, Freitag F, Pearlman SH, Hahn SR, Scher AI, et al. Pharmacological approaches to managing migraine and associated comorbidities-clinical considerations for monotherapy vs polytherapy.2007;47:585-599.

Cephalalgia 2017;37:845-854.

21. Song TJ, Cho SJ, Kim WJ, Yang KI, Yun CH, Chu MK. Anxiety and depression in probable migraine: a population-based study.2017;37:845-854.

Cephalalgia 2015;35:478-488.

22. Hepp Z, Dodick DW, Varon SF, Gillard P, Hansen RN, Devine EB. Adherence to oral migraine-preventive medication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migraine.2015;35:478-488.

Cephalalgia 2018;:38:815-832.

23. Tassorelli C, Diener HC, Dodick DW, Silberstein SD, Lipton RB, Ashina M, et al. Guidelines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for controlled trials of preventive treatment of chronic migraine in adults.2018;:38:815-832.

Curr Pain Headache Rep 2016;20:2.

24. Cho SJ, Song TJ, Chu MK. Outcome of chronic daily headache or chronic migraine.2016;20:2.

Cephalalgia 2010;30:793-803.

25. Aurora SK, Dodick DW, Turkel CC, DeGryse RE, Silberstein SD, Lipton RB, et al. OnabotulinumtoxinA for treatment of chronic migraine: results from the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hase of the PREEMPT 1 trial.2010;30:793-803.

Cephalalgia 2010;30:804-814.

26. Diener HC, Dodick DW, Aurora SK, Turkel CC, DeGryse RE, Lipton RB, et al. OnabotulinumtoxinA for treatment of chronic migraine: results from the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hase of the PREEMPT 2 trial.2010;30:804-814.

N Engl J Med 2017;377:2123-2132.

27. Goadsby PJ, Reuter U, Hallstrom Y, Broessner G, Bonner JH, Zhang F, et al. A controlled trial of erenumab for episodic migraine.2017;377:2123-2132.

JAMA 2018;319:1999-2008.

28. Dodick DW, Silberstein SD, Bigal ME, Yeung PP, Goadsby PJ, Blankenbiller T, et al. Effect of fremanezumab compared with placebo for prevention of episodic migraine: a randomized clinical trial.2018;319:1999-2008.

JAMA Neurol 2018;75:1080-1088.

29. Stauffer VL, Dodick DW, Zhang Q, Carter JN, Ailani J, Conley RR. Evaluation of galcanezumab for the prevention of episodic migraine: the EVOLVE-1 randomized clinical trial.2018;75:1080-1088.

Cephalalgia 2018;38:1442-1454.

30. Skljarevski V, Matharu M, Millen BA, Ossipov MH, Kim BK, Yang JY. Efficacy and safety of galcanezumab for the prevention of episodic migraine: results of the EVOLVE-2 phase 3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2018;38:1442-1454.

Cephalalgia 2020;40:241-254.

31. Ashina M, Saper J, Cady R, Schaeffler BA, Biondi DM, Hirman J, et al. Eptinezumab in episodic migraine: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PROMISE-1).2020;40:241-254.

Lancet Neurol 2017;16:425-434.

32. Tepper S, Ashina M, Reuter U,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erenumab for preventive treatment of chronic migraine: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2 trial.2017;16:425-434.

N Engl J Med 2017;377:2113-2122.

33. Silberstein SD, Dodick DW, Bigal ME, Yeung PP, Goadsby PJ, Blankenbiller T, et al. Fremanezumab for the preventive treatment of chronic migraine.2017;377:2113-2122.

Neurology 2018;91:2211-2221.

34. Detke HC, Goadsby PJ, Wang S, Friedman DI, Selzler KJ, Aurora SK. Galcanezumab in chronic migraine: th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EGAIN study.2018;91:2211-2221.

35. Lundbeck Worldwide. FDA approves Lundbeck’s Vyepti™ (eptinezumab-jjmr) – the first and only intravenous preventive treatment for migraine. [online] 2020 Feb 22 [cited 2020 Mar 10]. Available from: URL: https://investor.lundbeck.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fda-approves-lundbecks-vyeptitm-eptinezumab-jjmr-first-and-only

36.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Drugs@FDA: FDA approved drug products. Methysergide maleate. [online] 2001 Dec 3 [cited 2018 Oct 26]. Available from: URL: http://www.accessdata.fda.gov/scripts/cder/daf/index.cfm?event=overview.process&varApplNo=012516

Lancet 2018;392:2280-2287.

37. Reuter U, Goadsby PJ, Lanteri-Minet M, Wen S, Hours-Zesiger P, Ferrari MD, et al.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erenumab in patients with episodic migraine in whom two-to-four previous preventive treatments were unsuccessful: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b study.2018;392:2280-2287.

Lancet 2019;394:1030-1040.

38. Ferrari MD, Diener HC, Ning X, Galic M, Cohen JM, Yang R, et al. Fremanezumab versus placebo for migrain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documented failure to up to four migraine preventive medication classes (FOCUS):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b trial.2019;394:1030-1040.

J Neurol Sci 2019;405 Suppl:128.

39. Mulleners W, Kim BK, L?inez MJ, Lanteri-Minet M, Aurora SK, Nichols RM, et al. A phase 3 placebo-controlled study of galcanezumab in patients with treatment-resistant migraine: results from the 3-month double-blind treatment phase of the CONQUER study.2019;405 Suppl:128.

Cephalalgia 2018;38:1038-1048.

40. Starling AJ, Tepper SJ, Marmura MJ, Shamim EA, Robbins MS, Hindiyeh N, et al. A multicenter, prospective, single arm, open label, observational study of sTMS for migraine prevention (ESPOUSE Study).2018;38:1038-1048.

Neuromodulation 2017;20:678-683.

41. Chou DE, Gross GJ, Casadei CH, Yugrakh MS. External trigeminal nerve stimulation for the acute treatment of migraine: open-label trial on safety and efficacy.2017;20:678-683.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08;33:125-140.

42. Nestoriuc Y, Martin A, Rief W, Andrasik F. Biofeedback treatment for headache disorders: a comprehensive efficacy review.2008;33:125-140.

Cleve Clin J Med 2010;77 Suppl 3:S72-S76.

43. Andrasik F. Biofeedback in headache: an overview of approaches and evidence.2010;77 Suppl 3:S72-S76.

Br J Pain 2015;9:213-224.

44. Harris P, Loveman E, Clegg A, Easton S, Berry N. Systematic review of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headaches and migraines in adults.2015;9:213-224.

Behav Med 1994;20:53-63.

45. Holroyd KA, Penzien DB.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the management of recurrent headache disorders. 1: overview and effectiveness.1994;20:53-63.

J Neurol 2015;262:2764-2772.

46. Cousins S, Ridsdale L, Goldstein LH, Noble AJ, Moorey S, Seed P. A pilot study of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and relaxation for migraine headach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2015;262:2764-2772.

Curr Pain Headache Rep 2017;21:26.

47. Cho SJ, Song TJ, Chu MK. Treatment update of chronic migraine.2017;21:26.

키워드에 대한 정보 편두통 진단 기준

다음은 Bing에서 편두통 진단 기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채영 남자 친구 | 멤버 절반이 연애ㄷㄷ트와이스를 채간 4명의 남자연예인들 130 개의 자세한 답변
See also  요한 복음 3 16 | 이것이 인생의 정답이다 [요한복음 3: 16] - 옥한흠 목사 빠른 답변

See also  오나미 하지마 | 개그콘서트 Gag Concert 씨스타29 20130721 모든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 김포뉴고려병원
  • 뉴고려병원
  • 김포종합병원
  • 편두통
  • 편두통증상
  • 편두통 특징
  • 편두통 진단기준
  • 편두통 전조증상
  • 편두통 심할때
  • 머리아플때
  • 두통
  • 두통 편두통
  • 김포 신경과
  • 뉴고려병원 신경과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YouTube에서 편두통 진단 기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경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편두통의 특징과 진단기준 | 편두통 진단 기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