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25888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KBS 다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21회 및 좋아요 1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도시재생이야기] 녹슨 철도의 대반전, 뉴욕 하이라인 파크

이번 뉴욕 하이라인 파크에는 자생적 도시재생에 <지속 가능한>이라는 수식어가 하나 더 붙어도 좋을 것 같은데요!? 도심 속 소중한 안식처가 되어주는 …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11/2022

View: 4657

뉴욕에서 도시재생을 걷다 – 브런치

[I’m in New York] ⑨ 하이라인파크와 첼시마켓에서 건진 혁신 | 1년 전, 뉴욕에 두 번째 발을 디뎠다.5년 여동안 나를 쏟아부었던 회사를 그만두고 …

+ 여기를 클릭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12/26/2022

View: 2852

버려진 고가철도를 하늘정원으로, 뉴욕의 하이라인 파크

2001년 뉴욕 시장 선거에서 하이라인 보존을 지지한 마이클 블룸버그가 당선되었으나, 선거일 바로 며칠. 전에 줄리아니 전 시장은 하이라인의 철거를 승인 (도시재생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rila.re.kr

Date Published: 3/9/2021

View: 1519

[도시재생 프로젝트] 뉴욕 하이라인을 가다 – 시사저널

필자는 지난 5월 초, 지역재생 사례 가운데 벤치마킹의 롤모델로 회자되는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the High Line)’을 찾았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sisajournal.com

Date Published: 6/10/2021

View: 8635

성공한 뉴욕 도심재생사업① 하이라인 파크 | 서울신문

뉴요커, 자연을 걷는다, 도시의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공원은 우리 몸의 허파처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천루의 도시 미국 뉴욕에서는 그 의미가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seoul.co.kr

Date Published: 10/19/2021

View: 4961

산업유산 재생으로서 하이라인의 특성 및 성과 분석

산업유산 재생이 도시재생의 중요한 테마가 되고 있다. 산업유산 재생 사례 중에서 성공적으로 평가 받으면서. 많은 연구와 논의가 되고 있는 사례로 뉴욕의 하이라인 …

+ 더 읽기

Source: koreascience.kr

Date Published: 3/11/2021

View: 7782

뉴욕 하이라인 파크의 공간구성 특성과 이용만족도 조사

철도폐선부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산업유휴공간을 도심 녹지축으로 개발할 수 있어 도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대표사례인 미국 뉴욕의 하이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2/9/2021

View: 604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 Author: KBS 다큐
  • Views: 조회수 1,021회
  • Likes: 좋아요 10개
  • Date Published: 2016. 5. 2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sn5mt_aK3E

[도시재생이야기] 녹슨 철도의 대반전, 뉴욕 하이라인 파크

하이라인의 친구들(이하 FHL)은 첼시 지역 예술가들과 함께 하이라인 철거를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습니다.

하이라인을 철거하지 말고 그곳을 새로 단장해 공중 공원으로 만들자는 것이 FHL의 구상이었습니다.

FHL은 수년에 걸친 토지주와의 소송에서 승소하며 블룸버그 뉴욕시장을 설득해 하이라인 재생 지원금을 받아냈습니다.

그 밖에도 FHL은 뉴욕시 공무원, 철도회사, 토지주, 건물주, 뉴욕시 주민 등

여러 사람들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렇듯 하이라인 파크는 시민단체와 지역사회의 끈질긴 노력으로 10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완성된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정성과 노력 덕분에 오늘날의 하이라인 파크가 탄생할 수 있었던거죠ㅠㅠ

2002년 3월 FHL이 재판에서 승소한 후, 하이라인을 단장할 아이디어 공모전을 열었고 36개국, 720점의 작품이 접수되었습니다.

2005년에는 철로를 소유했던 CSX Transportation에서 뉴욕시에 하이라인을 기증하면서 하이라인 재생에 박차를 가하게 됩니다.

뉴욕에서 도시재생을 걷다

1년 전, 뉴욕에 두 번째 발을 디뎠다.

5년 여동안 나를 쏟아부었던 회사를 그만두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뉴욕을 만끽하겠다고 떠난 길이었다. 그전부터 뉴욕 타령을 했었다. 한 번 짧게 내디딘 뉴욕에 혹했기 때문도 있지만 그래야 떠날 수 있을 것 같았다. 직접 만든 회사에, 대표까지 한 사람이 그만둬고 그래도 되느냐고, 지금까지 이룬 것이 아깝지 않으냐고, 나이도 적지 않은데 괜찮겠느냐고 묻곤 했지만, 내 대답은 한결같았다. “Why Not?” 그게 뭐라고. 회사가 뭐라고. 일이 뭐라고. 관계가 뭐라고.

모든 사회적 관계, 의무에 스위치를 끄고(물론 한시적이었지만) 두서없이 맥락 없이 허허실실 뉴욕으로 향했다. ‘어떻게든 되겠지.’ 그게 당시 내 마음이었다. 다시 나는 한국에 돌아와 그 후의 삶을 영위하고 있다. 뉴욕에 가서는 내 멋대로 뉴욕을 ‘(마음의) 고향’으로 삼았다. 비록 몸이 태어난 곳은 선택할 수 없었지만 마음이 태어난 곳을 고향으로 삼지 말라는 법은 없으니, 나는 뉴욕을 고향으로 못 박았다.

나는 여전히, 뉴욕을 그리고 있다. 고향을 그리워하는 향수에 젖어있다.

뉴욕시(New York City, 이하 뉴욕)를 걷다 보면 가장 많이 접하는 말이 있다. 공사 중(Work in Progress).

크건 작건, ‘뉴욕은 언제나 공사 중’이라고 말해도 좋을 정도다. 그만큼 도시가 오래됐다는 방증일 수도 있겠다. 넓게 보면,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이 끊임없이 진행 중이다.

역사를 거슬러 가면 17세기에 도달한다.

1626년 네덜란드가 원주민들로부터 (지금 돈으로) 1000달러(오늘날 맨해튼 부동산 가치는 약 9000억 달러) 상당의 현물을 주고 매입했다. ‘뉴암스텔담(Nieuw Amsterdam)’이라고 불렸던 도시는 1664년 영국이 점령하면서 ‘뉴욕’으로 이름을 바꿨다. 상업도시로 성장했던 뉴욕은 19세기 초 미국 최대 도시가 된다. 이후 아일랜드, 독일, 이탈리아, 동유럽 등에서 이주민들이 몰려왔고, 아이러니하게도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 맨해튼 스카이라인을 빚어낸 개성 있는 고층 건물들이 들어섰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뉴욕, 특히 맨해튼은 실업과 범죄로 몸살을 심하게 앓았다. 총성은 일상다반사였고 범죄와 매춘, 성인오락 시설은 뉴욕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됐다. 이런 뉴욕을 물갈이한 시장은 1994년부터 2001년까지 시장으로 있었던 루돌프 줄리아니였다. 다만 이 음습한 것들만 몰아낸 건 아니었다. 가난한 인민들이 보금자리를 잃었고 동네 작은 가게들이 쫓겨났다. <유브 갓 메일>에서 캐슬린(멕 라이언)이 운영하는 동네 작은 책방이 조(톰 행크스)의 대형 체인 서점에 밀려나는 풍경이 이 무렵 뉴욕을 대변한다. 즉,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과 대형화가 뉴욕을 장악했다. 지금 뉴욕의 ‘공사 중’이 그런 움직임과 동떨어져 있진 않을 것이다.

물론 나는 뉴욕의 주름과 속살을 보기엔 지금, 지독하게 이방인이다. 주로 시각이라는 감각에 의존하고 있기에 함부로 말할 수는 없다. 그래서 아래 말하는 것은 불완전한 감각의 작동과 제한된 정보에 기댄 단상임을 염두에 두면 좋겠다. 뉴욕을 걸으면서, 가장 눈여겨본 것은 사람이었다. 그 살아 움직이는 꿈틀대는 존재들이 가장 큰 스펙터클이었다.

폐선 기찻길, 재생으로 거듭나다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 이런 정의를 살펴보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후화된 기존 시가지의 인프라를 재정비하는 사업으로 공간적, 환경적으로 쇠퇴한 지역을 물리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재개발이 기존 도시를 완전히 밀고 새로 조성하는 사업이라면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정비하고 개선해나가는 사업을 말한다.”(서울시 공식 블로그 ‘서울씨’ http://blog.seoul.go.kr/221000677954)

도시도 생로병사를 겪는다. 각종 시설이나 건물은 낡고 삐걱거린다. 병을 앓는다. 가만 놔둘 수는 없다. 부수고 새롭게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나 이는 많은 문제와 갈등을 낳는다. 그래서 기존 시설이나 건물을 되살리고 새로이 활용하는 ‘도시재생’이 각광받고 있다. 뉴욕은 그런 면에서 좋은 선례를 갖고 있다. 특히 9·11 테러로 위기에 처한 뉴욕을 구한 것이 도시재생 사업이었다. 9·11 테러 복구와 도시재생이 맞물리면서 뉴욕은 이전보다 더 활기를 띠고 있다. 뉴욕의 재생 사업 가운데 하이라인파크, 첼시마켓, 미트패킹은 3대 도시재생 사례로 꼽힌다. (관점에 따라 브루클린 재생 등을 꼽는 사람도 있다.)

서울역 고가를 공원으로 만든 ‘서울로7017’이 벤치마킹한 ‘하이라인(HIGH LINE)파크(이하 하이라인)’. 뉴욕 도시재생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다. 궁금했다. 총길이 2.33km(1.45 mile)를 걸었다. 다른 말 필요 없이, 좋았다. 걷기에도 쉬기에도 더할 나위 없었고 신기한 체험이었다. 기차의 바퀴가 사람의 다리로 대체됐다. 산책로 곳곳에는 기차가 다니던 철로가 남아있다.

하이라인 탄생은 말하자면 ‘협치’로 이뤄졌다. 19세기 중반부터 상업도시 뉴욕이 커지면서 화물운송이 급격히 늘었다. 도로가 혼잡해지고 철도가 놓였으나 사건사고(‘죽음의 거리’라고 불렸을 정도)가 잇따르자 뉴욕시는 철도를 아예 지상 10m 높이로 올렸다. 건물 사이를 뚫고 지나가는 고가 철도는 1934년 완공됐고 우유, 고기 등 1차 가공식품을 도심으로 운송하는 중요 수단이 됐다. 당시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과 함께 뉴욕의 명물로 자리매김할 정도였다. 그러나 산업과 도로의 변화로 고가 철도는 차츰 외면받았고 1980년 사망선고를 받았다. 우디 앨런의 영화 <맨해튼>(1979) 오프닝에 폐쇄 전 기찻길이 잠시 나온다.

‘무쓸모’로 전락한 기찻길은 철거 위기에 놓였다. 그때 두 명의 시민이 ‘반대’에 나섰다. 기찻길 재생을 위한 단체도 만들었다. 주변지역 거주민 작가 조슈아 데이비드와 화가 로버트 해먼드가 주인공이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폐쇄된 기찻길을 공공 공간으로 조성해 시민에게 돌려주자는 취지를 가진 ‘하이라인 친구들(Friends of the High Line, 이하 FHL)’이라는 시민단체가 1999년 탄생했다. 뉴욕시를 상대로 협상과 설득을 거듭했다. 당초 이를 없애기로 한 뉴욕시도 이들에게 설득당했다. 이 무렵 조엘 스턴펠드가 열차가 멈춘 트랙을 따라 다양한 자연이 마음껏 자라난 아름다움을 찍은 사진이 하이라인을 구하자는 움직임에 힘을 실었다.

산업화 시대 도시 성장의 뿌리를 이룬 중요한 기간 시설이었던 기찻길의 재생은 흥미로웠다. 산업유산을 대표하는 철도 시설을 산책로로 재생한 것은 뉴욕(도시)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상징적인 지표다. 철도나 자동차를 우선시했던 생각이 바뀐 것이다. 아울러 걷기가 도시의 중요한 테마가 됐음을 보여준다. 도시에 대한 새로운 탐구가 이뤄진 것이다.

물론 하이라인이 공중 공원(공중 산책로)의 첫 번째 사례는 아니다. 앞서 프랑스 파리에 4.5km 길이의 ‘프롬나드 플랑테’(La Promenade Plantee·‘나무로 조성된 산책로’라는 뜻)가 있었다. 파리 바스티유 역과 연결됐던 벵센 철도가 1969년 운행을 중단했고, 버려져 있던 기찻길은 1993년 공중 공원으로 재탄생했다. 리처드 링클레이터의 영화 <비포 선셋>(2004)에서 9년 만에 재회한 셀린느(줄리 델피)와 제시(에단 호크)가 함께 걸었던 공원이 이곳이다.

하이라인을 걷는 동안 즐거웠다. 사람이 많았지만 좁다는 느낌보다 도시에서 흔히 마주치는 풍경이었다. 식물들이 곳곳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쾌적함을 더했다. 폐기된 철로에서 자라온 야생풀을 뽑지 않고 비슷한 환경에서 공존하도록 새로운 식물을 심어 재생이라는 의미를 살렸다고 한다. 특히 곳곳에 벤치가 있는데 하이라인 만의 특색을 자랑한다. 일광욕을 즐기거나 누워서 쉴 수 있는 데크도 마련돼 있다. 나는 이곳에서 책을 읽고 잠을 청했다.

재생 건축의 특징이겠지만, 옛것과 새것이 자연스레 섞여 있다. 기존 기찻길 뼈대를 유지하면서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생각하며 만든 덕분일 것이다. 과거 정육공장 창고 건물도 산책로에서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공간은 ‘어반 시어터(Urban Theater)’라는 애칭을 가진 지점이다. 공원 아래 도로와 거리를 내려다볼 수 있다. 극장의 객석처럼 경사를 만들어 놔서 창밖 도로가 화면 속 풍경 같다. 크고 작은 두 곳이 있다. 공중을 걷는 기분은 주변 건물들까지 친근하게 만들었다. 다만 건물과 하이라인이 너무 가까이 있다 보니 주거지이건 사무실이건, 사생활 보호가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이라인에 스며든 예술작품도 산책의 좋은 친구가 되어주는 한편, 주변 건물을 장식한 그라피티도 자연스레 어우러졌다. 하이라인 굿즈와 음식, 음료수 등을 살 수 있는 작은 숍들도 하이라인을 빛내는 조연이었다. 내게 가장 빛나는 풍경은 하이라인 옆을 흐르는 허드슨 강이었다. 특히 석양이 질 무렵 풍경은 아름다움 그 자체였다. 《영화, 뉴욕을 찍다》의 저자 박용민은 이렇게 말했다. “석양은 어디서나 아름답지만, 낯 모르는 이들과 어울려 감상할 수 있는 이보다 더 아름다운 장소를 나는 알지 못한다.”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도시의 높은 곳을 걷는 행위는 도시를 새롭게 경험하게 만든다. 그것의 경제 가치나 문화 가치를 떠나 인식의 폭을 넓혀준다. 철학자 하이데거는 말했다. “다리는 강을 건너기 위해 만들지만 그것은 강의 아름다움을 새삼 느끼게 하고, 전에는 익명의 존재였던 강 건너 마을을 이웃으로 드러나게도 한다.” 하이데거의 말은 하이라인과 주변 건물에도 적용된다.

하이라인은 성공적인 도시재생 사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만들어질 당시 예측했던 방문자수보다 훨씬 많은 인원이 이곳을 찾고 있다. 매년 500만 명 이상, 지난해는 800만 명을 넘어섰다. 걷는 사람 태반이 여행객이나 관광객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하이라인이 명물임은 분명하다.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 재생을 통한 공중 공원뿐 아니라 공원 자체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러나 하이라인에도 문제가 전혀 없지 않다. 이방인이 많이 온다는 것은 지역민들의 불편과 소외를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 FHL 설립자들은 한 인터뷰를 통해 지금 하이라인은 “지역민들을 위한 장소가 아니어서 실패한 사례”라며 “지역경제 활성화는 인근 공공주택에 거주하는 저소득층을 배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라고 말했다. 하이라인 아래도 걷고 싶은 마음을 들게 만드는 지도 궁금했다. 물론 하이라인과 함께 첼시 지역도 되살아났다지만 지역 내 빈부 격차가 심해졌고 저소득층은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해 쫓겨날지 모른다는 불안에 처해 있다. 상승하는 임대료로 인해 인근 중소기업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조사도 있다.

뉴욕 핫플레이스로 거듭난 첼시와 미트패킹

하이라인과 패키지로 묶이는 곳이 ‘첼시마켓’이다. 첼시마켓은 최근 맨해튼에서 가장 번화하고 유행을 선도하는 ‘핫 플레이스’ 첼시와 미트패킹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대서양 항해의 전성기, 첼시는 뉴욕과 유럽을 잇는 항구였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선원을 비롯해 도축장 및 육가공 도매상, 청과 도매상, 담배공장, 운송 업체 등 상인들로 북적였다. 노천시장은 그야말로 인산인해였다. 미트패킹은 이름처럼 250개 이상의 도축 업체가 입주해 있던 곳이었다.

융성했던 상공업 지구는 컨테이너선과 냉장 유통의 보편화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상인들이 빠져나갔고 이내 거리는 음산해졌다. 마약, 폭력, 매춘 등이 텅 빈 거리를 메웠다. 치안도 엉망진창이었다. 오랫동안 방치된 채 쇠락했던 첼시가 다시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였다. 역시 재생이 중요한 콘셉트였다.

소호 지역에 있던 뉴욕 비주얼 아트 커뮤니티(New York‘s Visual Arts Community)가 1990년대 첼시로 옮겨왔다. 이를 계기로 소호 갤러리들이 임대료가 낮은 첼시로 이전해왔다. 결정적인 한방은 ‘첼시마켓’이었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과자, 오레오(OREO). 그 공장이 있던 곳이 첼시마켓이다. 1890년 만들어진 국립 비스킷 회사(NABISCO) 공장은 한때 미국 비스킷 공급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융성했다. 그러다 1958년 뉴저지 공장이 가동되면서 첼시 공장은 상공업 지구의 쇠락과 함께 급격하게 무너졌다. 그렇게 비어버린 건물을 사들인 투자자는 이를 부수지 않고 공간을 살리는데 초점을 맞췄다. 빨간 벽돌 건물은 그대로 둠으로써 빈티지한 매력을 발산하도록 했다. 기본 뼈대를 두고 기계가 있던 공간에 인테리어가 더해졌고 좁은 복도는 디자인 요소로 채웠다. 조명은 약간 어둡다. 그것이 첼시마켓을 더욱 ‘힙’하게 보이게 만든다. 서울 성수동 대림창고나 합정동 엔트러사이트나 무대륙을 연상해도 되겠다.

유명 식품 브랜드와 레스토랑, 매장들이 입주한 첼시마켓은 1997년 그렇게 새롭게 탄생했다. 명성은 들었는데 놀랍다. 과자공장이 이렇게 새로워질 수 있다니. 제 역할을 다한 공장이 이렇게 감각적으로 변신하다니. 올해 2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이벤트도 열리고 있다. 여행객들이 끊임없이 카메라 셔터를 누르는 이유를 충분히 알 수 있다. 벽, 천장 등 곳곳에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데, 낡았다는 인상보다 세련된 미학을 보여주는 것 같다. 오래된 벽화는 첼시마켓이 비스킷에 대한 추억을 간직하고 있음을 확인해준다. 뉴욕에서도 커피 맛으로 알아준다는 ‘Ninth Street Espresso’ 매장 앞 벽에는 비옷을 입은 소년과 오레오의 오래전 광고가 그려져 있다. 버려진 드릴 비트와 노출된 파이프로 구성된 분수도 독특하다. 산업폐기물이 됐어야 할 것들이 이전과 다른 기능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것, 재생은 환생을 가져왔다.

첼시마켓은 더 이상 비스킷 제조 허브가 아니지만, 먹거리로 사람들을 유혹한다. 첼시마켓 건너편에는 구글 사무실도 자리 잡고 있다. 도시재생의 자산으로 첼시마켓이 부상하면서 첼시와 미트패킹 지역도 덩달아 신이 났다. 개성 넘치는 부티크나 숍들이 들어선 덕에 패션과 예술 거리로 거듭났다. 특히 미트패킹은 90년대까지 도축장이었다. 이름은 그대로였지만 내용이 바뀌었다. 예술가들 유입도 이에 한몫했다.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그라피티에서 미트패킹의 정체성을 엿볼 수 있다. 작은 돌로 채워진 도로는 유럽의 작은 도시에 온 느낌을 준다. 세상 모든 것들이 혼재된 공간, 이래서 뉴욕이구나 싶다.

하이라인과 첼시마켓은 이른바 ‘재생 건축’이다. 건축물이 가진 과거 정체성을 해치지 않고 원형 또는 그 일부에 디자인 요소를 가미해 새로운 기능과 용도의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역사와 시간을 간직하면서 독창적이고 특별한 공간이 됐다. 이방인으로서 인상비평에 불과하지만, 뉴욕의 도시재생은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 뉴욕이 시설 개조와 디자인 개량을 통해 도시(공공) 자산 가치를 높인다면 서울은 개인 재산 가치에 더 편중된 것 같다. 더불어 너무 지역 중심으로 퍼지는 것 아닌가 싶다. 그러니 ‘우리 동네에는 특수학교를 지을 수 없다’는 식의 지역 이기주의가 팽배하고 ‘조물주 위에 건물주’와 같은 농담 같은 진담이 나오는 것 아니겠나. 비전문가 산책자 눈으로 보기에 뉴욕은 기존 시설의 기능과 역할을 재설계한 후 도시재생에 나선다. 그 과정에서 비전을 제시하고 시민 참여를 적극 유도한다. 관 주도의 도시재생이 아직 익숙한 한국과 다른 점이다.

로우라인(LOW LINE)파크도 생긴다고?

앞서도 언급했지만 도시재생은 불가피하게 젠트리피케이션을 유발한다. 불평등이 커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반면 도시재생을 하면서 가치 상승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 또한 의미가 없다. 가치에는 경제 가치도 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재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가피한 문제일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 마냥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애초 ‘환경 개선’이라는 긍정 의미를 갖고 있다. 그렇다면 가치 상승 자체를 차단하는 방향은 아니다. 지역 주민의 요구와 의견을 수렴한 재생 디자인이 필요하다. 지금 하이라인의 아쉬움을 토로한 FHL도 지역 주민을 파트너로 섭외하고 있다. 아울러 ‘공정하고 포용적인 공공사업을 위한 반성’과 질문의 확산을 새 이정표로 삼고 연대 조직과 새로운 움직임을 꾀하고 있다. 민관 협치도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뉴욕은 또 하나의 거대한 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는 지하다. 로우라인 프로젝트. 이른바 ‘지하공원’이다. 뉴욕 로어 이스트 사이드에 있는 ‘윌리엄스버그브릿지 트롤리(무궤도 전차) 터미널’을 재생한 새로운 공공 공간이다. 트롤리 터미널은 1908년 개통해 1948년 문을 닫은 이후 60년 이상 방치돼 있었다. 이에 관심을 가진 제임스 램지와 댄 바라쉬가 2011년 지하공원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킥스타터 캠페인을 통해 3300명의 후원자를 모았다. 뉴욕시도 500억 원의 자금을 보조하고 있으며 초기 단계부터 청년과 지역 고등학생을 참여시켜 협치가 이뤄지고 있다. 지하 6.1m까지 햇빛을 끌어들이는 기술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햇빛을 공급한다. 한국 벤처업체인 선포탈의 자연채광기술이 한몫하고 있다. 로우라인 프로젝트 목표는 뚜렷하다. 시민의 삶 개선을 위해 최첨단 태양광 기술과 디자인을 도입해 새로운 공공 공간을 만드는 것. 로우라인은 2021년 완공 예정이다. 박원순 시장도 지난해 로우라인 랩을 방문했고 서울판 로우라인을 추진 중이다.

여행·관광이든, 새로운 삶의 기회를 만들기 위함이든 뉴욕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새삼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뉴욕의 진정한 볼거리는 랜드마크나 스카이라인을 이루는 건축물도, 미슐랭 별을 선사받은 맛집이나 곳곳에서 쉼을 제공하는 공원도 아니었다. 뉴욕의 현재를 이루는 사람들이야말로 스펙터클이자 진짜 볼거리였다.

하이라인이나 첼시마켓을 명물로 만든 것도 결국 사람들이다. 그들이 그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어떻게 감각하는지가 중요하다. 다양한 기회를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이 사람들을 뉴욕으로 이끈다. 그것은 좋은 일자리나 학교일 수도, 친구나 커뮤니티, 뮤지컬, 쇼핑, 공원일 수도 있다. 물론 뉴욕에서도 불평등과 차별을 쉬이 만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믿음과 전망이다. 뉴욕 도시재생은 단순히 장소만 변화시킨 것이 아니다. 기회를 누리고 만들고 싶은 사람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인 덕에 뉴욕은 ‘실리콘앨리(Silicon Alley)’라는 또 하나의 이름을 얻었다. 실리콘밸리와 (뒷)골목을 뜻하는 앨리(Alley)를 합친 말이다. 맨해튼 뒷골목에서 다양한 스타트업이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각종 혁신을 빚어내고 있다. 도시재생과 그것은 맞물려 시너지를 내고 있다.

어쩔 수 없이 내가 사는 서울과 비교가 됐다. 땅값만 올리고 많은 건물주만 배 불린 서울. 부정적인 젠트리피케이션만 부각되고 외곽으로 내몰리게 만든 서울. 지옥을 자발적으로 임대한 우리에겐 기회가 아닌 ‘포기’가 일상이 됐다. 서울을 새롭게 바꾸고자 하는 도시재생은 과거의 개발 관성과 완벽하게 작별해야 한다. 또 장소와 건물 외양만 바꿔선 안 된다. 무수한 의미의 가능성이 잠재돼 있는 저마다의 공간과 장소에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되살리고 회복하는 작업이 도시재생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것이 또한 혁신이다.

※ 참고 :

뉴욕시청 www.nyc.gov

OneNYC https://onenyc.cityofnewyork.us

FRIENDS OF THE HIGH LINE http://www.thehighline.org

Untappedcities http://untappedcities.com

lowline http://thelowline.org

Digital NYC http://www.digital.nyc

I MAKE 00 http://imake00.com

《영화, 뉴욕을 찍다》(박용민 지음)

[도시재생 프로젝트] 뉴욕 하이라인을 가다

글씨키우기 글씨줄이기 프린트 top

facebook twitter kakao story naver band share

세계는 지금 ‘지역재생’이 화두다. 글로벌 시대를 주창하며 ‘기술의 진보’‘속도의 향상’‘규모의 증강’을 추구하던 세계는, 이제 거꾸로 ‘로컬’과 ‘회복’‘재생’으로 그 관심을 돌리고 있다. 환경 문제, 자원 문제 앞에서 성장 한계에 부딪혀 갈 곳을 잃었던 인류 진보의 향방이 갈 길을 찾은 것이다.

새로운 것을 만들기보다 이미 존재했던 것을 되살리고 활용하는 지역재생은, 여러 선진 도시에서 이미 그 성공 사례를 보이며 오늘날의 도시디자인 트렌드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필자는 지난 5월 초, 지역재생 사례 가운데 벤치마킹의 롤모델로 회자되는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the High Line)’을 찾았다. 올 초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역 고가를 공원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그 롤모델로 제시됐던 곳이다. 2009년 처음 개장한 하이라인은 마이클 블룸버그 당시 뉴욕 시장이, 폐선(廢線) 되어 애물단지로 전락한 고가 철로를 도심 공원으로 재생시키기로 결정하면서 만들어진 공원이다.

화창한 날이면 뉴욕 맨해튼 섬 서편으로 흐르는 허드슨 강을 따라 있는 남북으로 뻗은 하이라인엔 많은 사람들이 나와 휴식을 즐긴다. 필자가 찾은 5월 8일에도 많은 뉴욕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하이라인을 제각각의 방식으로 즐기고 있었다.

하이라인의 시초는 긴 세월을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 중반 뉴욕의 도로는 늘어나는 화물 운송으로 기차, 자전거, 마차가 뒤엉켜 혼잡을 일으키며 사건사고가 비일비재했다. 이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뉴욕시는 지상 9m 높이 공중에 고가 철도를 만들어 화물 운송을 편리하게 하기로 결정했다. 건물들이 즐비한 도심 한가운데를 관통하면서도 공중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로 정체에 영향을 받지 않았던 고가 철로는, 1929년 탄생 이래 20세기 중반까지 뉴욕시의 가장 중요한 화물 운송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고속도로망이 건설되고 자동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이내 필요가 급감했고, 급기야 1980년을 끝으로 폐선이 된다. 이후 20년이 넘게 방치 된 철도는 여기저기 훼손되고 잡초가 자라나면서 도시의 애물단지로 전락하였고, 특히 철로 아래의 땅을 소유한 부동산 지주들은 “노선을 아예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존폐 기로에 섰던 하이라인은 1999년 이곳 지역 주민 모임에서 만난 프리랜서 기고가 조슈아 데이비드와 창업 컨설턴트 로버트 해먼드를 중심으로 결성된 ‘하이라인 친구들(Friends of The High Line)’에 의해 그 운명이 완전히 뒤바뀌게 된다. 이들은 하이라인을 ‘하늘에 떠 있는 공원이자 문화유산으로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잿빛 고가에 그만의 색을 입혀가기 시작했다. 처음엔 반대의 목소리도 컸지만 뉴욕 시, 뉴욕 주 철도회사, 지주, 건물주, 주민 등 다양한 관련자들이 이해관계를 조율한 결과, 10년 만인 2009년 6월 제1구간이 공원으로 조성되어 문을 열게 되었다. 이후 2011년 확장개방을 거쳐 2014년 하늘공원으로 변신한 하이라인 전 구간이 공개되었다.

‘죽은 공간을 다시 살리자’는 하이라인의 콘셉트와 구상은 단지 1.45마일(2.33km)의 고가 철로에 꽃과 나무를 싶고 벤치를 설치해 시민들에게 또 하나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겠다는 일차원적 목표 이상의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첫 번째, 지역재생은 지역공간의 풍경을 바꾼다. 기존 철도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주변의 건축물과 전망이 잘 어울릴 수 있도록 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 주변 풍경이 자연과 인공, 옛 것과 새 것이 혼재하며 독특한 분위기를 지니게 되었다. 노선 시작 부분에 있는 ‘미트패킹 디스트릭트(Meatpacking District)’는 폐쇄된 정육공장 지역이 고급 패션 거리로 탈바꿈한 곳으로서, 낡은 창고 건물들이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 쓰이고 있어 폐철도였던 하이라인의 풍경과 어우러진다. 공원 경로를 따라 유명 건축가들이 설계한 명품 빌딩도 감상할 수 있다. 실제로 하이라인을 걷다보면 공원 한쪽의 허드슨 강과 다른 한쪽 맨해튼 도심 핫 플레이스들이 각기 다른 풍경으로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두 번째로 지역재생은 공간의 문화를 바꾼다. 많은 사람들이 하이라인 공원을 거닐다 보니 자연스럽게 하이라인만의 문화와 예술이 자리 잡게 되었다. 창의적 정신을 지닌 뉴욕의 젊은이들이 하이라인을 걷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소비 패턴에 맞춰 하이라인 주변 모습이 유행을 선도하는 분위기 있고 감각적인 주거지로 차차 변모한 것이다. 때문에 하이라인을 찾는 이들의 취향에 맞춰 다양한 공연과 예술 작업이 끊임없이 기획되기도 한다.

무엇보다 지역재생은 지역경제에 활기를 북돋는다. 많은 사람의 발길이 계속 닿는 덕분에 주변 상권도 함께 발달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부수효과를 낳는다. 하이라인의 노선 끝에서 곧바로 연결되는 첼시 마켓이 지역자원을 활용해 효과를 극대화한 예이다. 이곳 역시 버려진 과자공장을 쇼핑몰로 재탄생 시킨 곳으로, 유명 식재료·식품 매장들이 다수 입점하여 지역 주민은 물론 외부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역공간에서 펼쳐지는 활발한 경제활동은 단순히 지역경제에 호황만을 가져다주는 것이 아니라 하이라인을 걷는 모든 이에게 호재다. 누구나 좋은 기억과 감정들을 경험하다보면 그러한 가치들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싶은 마음도 함께 든다. 하이라인의 멋과 감각이 흠씬 담겨 있는 상점가에서의 쇼핑은, 단지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하이라인의 문화와 기억을 소비하도록 해 지역주민은 물론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경제도 활성화하는 시너지를 내는 것이다.

뉴욕 맨해튼의 흉물에서 매년 5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뉴욕의 대표 명물로 다시 태어난 하이라인은 지역문제 해결 및 지역 재건에 있어 새로운 주체와 방식을 등장시켰다. 내부의 자생력을 배가하고 주변 지역들과 시너지를 내며 도시에 새로운 생명력을 주는 이른바 지역재생 개념을 탄생시킨 것이다.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한다. 하지만 도시의 집중화 문제와 각종 환경문제, 삶의 질 문제는, 인류로 하여금 기술의 진보보다 늘 한 발 앞서 난관에 봉착하게 할 것이다. 하이라인의 사례처럼 더 이상 자본집약적인 최첨단 클러스터나 거대한 건축물에만 집착하지 말고 버려진 건물과 폐부지를 위시한 재생 가능한 공간들을 지역과 유기적으로 어우러지게 돌아봐야 한다. 미래의 도시공간은 지금보다 훨씬 사람과 지역 중심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지역사회가 이미 가지고 있는 자원의 환경 및 사회적 가치를 높여 지역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필요부터 충족시켜나갈 때, 누구나 오고 싶은 지역, 지속가능한 경제적 가치를 갖춘 지역, 삶의 원동력이 되살아나는 지역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 우리도 주변을 돌아보며 미래를 함께할 공간을 깨워 재발견을 위한 많은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폐철도를 걷어내지 않고 되살린 뉴욕 하이라인의 지역재생 방식이, 과거로 돌아간 것이 아닌 미래로 향하는 길인 것처럼 말이다. ​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공한 뉴욕 도심재생사업① 하이라인 파크

뉴요커, 자연을 걷는다

▲ 용도폐기된 고가 철로에서 공원으로 재탄생한 하이라인은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뉴요커들과 관광객들이 빌딩 사이로 조성된 하이라인에서 산책을 즐기고 있다.

▲ 용도폐기된 고가 철로에서 공원으로 재탄생한 하이라인은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폐기된 고가 철로가 도심 속 공원으로맨해튼은 차로를 기준으로 구획된 도시다. 세로로 난 대로인 ‘애비뉴’와 가로로 난 길 ‘스트리트’가 바둑판처럼 짜여져 있고 대각선으로 브로드웨이가 지나가면서 교차점에 광장들이 조성돼 있다. 남서부 지역을 인공위성 사진으로 보면 3개의 선착장과 허드슨 강변을 따라 만들어진 웨스트사이드 고속도로가 눈에 띈다. 그 오른쪽으로 애비뉴와 스트리트가 교차하고 사이사이에 건물들이 빼곡하다. 큰 대로에서 한 블록 뒤로 길도 아니고 대로도 아닌 녹색의 라인이 보인다. 지면으로부터 9m에 총길이 2.4㎞(1.45마일)에 이르는 공중의 그린웨이가 바로 하이라인이다.눈이 내린 다음날 아침 하이라인을 찾았다. 뉴욕을 가로로 관통하고 퀸즈, 플러싱 지역과 연결해 주는 7번선의 서쪽 종점(34번가 허드슨 야즈역)에서 도보로 7분 정도의 거리에 있는 하이라인 북측 입구를 향했다. 허드슨 야즈 재개발 지역에서 고층 건물들이 공사가 한창이었다. 쨍하게 갠 맑은 날, 건물들 사이로 보이는 하늘은 청초한 빛을 발하고 맑은 공기가 코끝을 아리게 한다. 한겨울의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하이라인에는 아침부터 전 세계에서 찾아온 관광객들이 줄을 이었다. 도심에 공중에 뜬 공원이라니! 10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풍경이다.하이라인의 역사는 19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50년쯤부터 맨해튼 서쪽 10번가에 철도가 다녔는데 교차로에서 워낙 사고가 빈번해 ‘죽음의 길’이라고 불릴 정도였다. 급기야 1929년 당시 공사 비용 1억 5000만 달러(지금으로 환산하면 20억 달러)를 들여 바닥의 철도를 고가화하는 공사가 시작돼 1934년 완성됐고, 하이라인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고가 철로는 도축장이 있던 미트패킹 지역의 겐즈볼트가에서 시작해 북쪽으로는 34번가의 허드슨 야즈에서 끝나고, 그 중심이 첼시 지역이었다. 자동차가 운송수단으로 보편화되면서 철도는 1980년을 마지막으로 운행이 중단되고 도시의 애물단지 신세가 됐다.1990년대 첼시 지역이 인기를 모으기 시작하자 개발업자들은 뉴욕시와 함께 용도 폐기된 철로를 철거하고 지역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주민 동의를 구하기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사람의 운명도 그렇지만 하이라인의 운명도 참 얄궂어서 공청회에 참석했던 조슈아 데이비드와 로버트 하먼드라는 두 젊은이가 하이라인을 철거 대신 재생하자고 의기투합했다. 이들은 첼시 지역으로 이주해 온 예술가들과 함께 ‘하이라인의 친구들’이라는 비영리단체를 결성했다. 사진작가 조 스턴팰트는 폐철로의 풍경과 그곳에서 자라는 야생화와 식물을 카메라에 담아 발표했다. 2002년 부임한 블룸버그 시장이 하이라인 보존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면서 예술가들의 꿈과 같았던 하이라인 공원화 프로젝트는 구체적으로 실현 단계에 접어들었다.●공중에 뜬 야생화 밭, 예술이 꽃피다시민들의 청원을 받아들여 뉴욕 도시계획국장 어맨다 브랜던이 건축가 딜러 스코피디오를 하이라인의 재생건축가로 선임하면서 본격적인 재생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스코피디오의 구상은 ‘떠 있는 야생화 밭’이었다. 그는 하이라인의 구역별로 자라난 야생화를 관찰했다. 태양이 많이 비치는 곳, 바람이 많이 부는 곳, 그늘진 곳 등 다른 환경조건에 따라 자라난 야생화와 초본류를 그대로 유지하는 선에서 공원을 재단장했다. 조경디자인은 피에트 우돌프가 맡았다. 한쪽 철로는 그대로 살리고 다른 방향 철로는 걷기 좋도록 콘크리트, 폐석 등으로 높여 채웠다. 현재 하이라인에는 다년생 식물, 관목, 넝쿨류, 나무 등 350종 이상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2006년 착공한 하이라인 파크는 남쪽 갠스볼트가에서 20번가에 이르는 구간이 2009년 6월 공개됐고, 20~30번 구간이 2011년 6월, 마지막 30~34번가 구간이 2014년 9월 완공됐다. 2015년엔 남쪽 끝자락에 휘트니미술관 신관이 개관하면서 하이라인은 명실공히 뉴욕 문화예술의 메카로 각광받게 됐다.겨울이라 야생화를 볼 수는 없어 아쉬움이 있었지만 길 양옆으로 잔가지에 눈이 쌓여 있고 새들이 노래를 불러 주니 도심에서 전원의 정취를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하이라인은 10번 애비뉴를 따라서 여러 개의 스트리트를 남북으로 관통하기 때문에 좋은 전망대 역할을 한다. 나름 긴 길인데도 하이라인 양쪽으로 보이는 허스든강과 뉴욕의 풍광을 보다 보면 지루할 틈이 없다. 앉아서 쉴 수 있는 벤치와 여름날 누워서 일광욕할 수 있는 나무 침대들이 곳곳에 놓여 있고, 특히 재미있는 예술작품들이 간간이 놓여 있어 즐거움을 선사한다. 30여개의 공공예술 작품들은 ‘하이라인 아트’ 프로젝트에 따라 예술가들이 장소의 특성을 살려 제작하고 설치한 것이다.●서울역 고가공원화 사업의 롤모델로하이라인에서 열심히 작품사진을 찍고 있던 사진작가 토미 민츠는 “눈이 쌓인 하이라인을 촬영하기 위해 일부러 나왔다”면서 “뉴욕 같은 도시에서 자연을 그대로 만끽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데 하이라인은 정말 소중한 장소”라고 말했다. 서울역 고가공원화 사업이 마무리 단계라는 얘기에 관심을 보인 그는 “하이라인은 시민들이 발의해 조성된 공원이고, 시의 부분 지원을 받지만 뉴욕 시민과 첼시 지역민들이 합심해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이라인은 ‘하이라인의 친구들’과 뉴욕시의 긴밀한 협력하에 유지 관리되고 있고 예산의 98%가 시민들의 자발적인 기부로 충당되고 있다.봄이 오고 여름이 되면 이곳에는 풀이 우거지고 꽃이 필 것이다. 거리의 예술가들이 연주하고 그림을 그리고 노천카페와 레스토랑이 불을 밝힐 것이다. 그런 좋은 계절에 다시 하이라인을 찾고 싶다.글 사진 뉴욕 함혜리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뉴욕 하이라인 파크의 공간구성 특성과 이용만족도 조사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재생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도시재생 계획과 활용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철도폐선부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은 산업유휴공간을 도심 녹지축으로 개발할 수 있어 도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 대표사례인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파크를 대상으로 철도폐선부지를 활용하여 매력 있는 도시재생을 위해 공간디자인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하여 3항목의 도시재생 요인, 5항목의 물리적 요인, 그리고 4항목의 비물리적 요인을 발굴하여 현장조사하고 공간 만족도에 관한 현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결과) 첫째, 공원의 의자, 노면, 조경 등의 시설물은 이 공원이 과거 철도였다는 공간 정체성을 뚜렷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공원의 크기, 보행성, 접근성, 조망점, 사인 배치의 물리적 요인들이 적절하게 설계되어 있었다. 셋째, 민간 관리주체의 적극적인 활동과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등의 비물리적인 요인이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넷째, 이용자의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조망, 휴식, 그리고 산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뉴욕 하이라인파크는 조망감, 보행 편의성, 공공시설물 같은 물리적 요인을 우선 고려하였고 자치운영단체의 적극적인 활동 등 비물리적인 요인을 결합시켜 시너지 효과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철도폐선부지 등 도시재생 계획 수립 시 물리적인 요인을 기반으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비물리적인 요인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Urban regeneration has attrac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 and the related urban regeneration plans and utilization studie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abolished railway sites is very important as it can help develop an abolished railway site as a greenway axis in the city. However, there is a relative lack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that focuses on systematic design and user satisfac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configured space an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High Line Park in New York, USA, which is the best case of urban regeneration.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the abolished railway site, which can be utilized to create attractive urban spaces. (Method) The focus of our study was the physical space of the High Line Park. We conducted a field survey and a local questionnaire survey.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with characteristics of three factors; urban regeneration factor, physical factor, and non-physical factor, using an optimized evaluation framework. In particular, physical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urban design elements, public design elements, architectural elements, accessibility, and aesthetic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included a list of 45 items that asked users about the High Line Park.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3 program. (Results) First, public facilities, sidewalks, and landscape facilities of The High Line Park showed the spatial identity of railroad in the past in the view of urban regeneration factor. Second, the narrow section of the sidewalk was designed in a speedy manner on foot, but the wide section of the sidewalk emphasized aesthetic elements such as the landscape and the view, which are physical factors. By designing the wide section of the sidewalk with a rhythmical sense, the effect of user collecting appeared at open space. Third, social factors such as the activities of the Park’s self-governing organizations, economic factors such as the operation of brand-specific products, and cultural elements such as public performances and events have been highlighted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non-physical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on the purpose of visit, “Watch the view” got 37.3% a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Relax” 29.3% and “Walking” 28%. (Conclusion) The High Line Park, known as the best case of urban regeneration, displays synergistic effects by combining non-physical factors with physical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mobility, duration, and a sense of view. Therefore, we suggest the use of space design by combining non-physical factors such as storytelling and user satisfaction with physical factors to achieve high value in th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of spaces such as the abolished railway site.

키워드에 대한 정보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다음은 Bing에서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 South
  • Korea
  • Documentary
  • Culture
  • KBS
  • KBS1
  • KBS2
  • 다큐멘터리
  • kbs1
  • 명견만리
  • 20160527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YouTube에서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명견만리 – 버려진 고가 철로를 공원으로 재생한 뉴욕 ‘하이라인 공원’ .20160527 | 뉴욕 하이라인 파크 도시재생,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코인 베이스 프로 | 코인베이스프로 시용법 매수한 코인 외부거래소로 내보내기 저렴한 수수료 0.5% 최근 답변 152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