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현대 미술 작가 |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153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미국 현대 미술 작가 –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예술산책 Art walk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6,438회 및 좋아요 90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늘은 지난 번 영상,
‘현대미술 어쩌다 지금의 모습까지 왔나 ?’에서 소개해드렸던
꼭 알아야 할 현대미술 작가 TOP 10에 이어서
빼놓을 수 없는 현대미술작가들을 소개하는 영상입니다.
현대미술작가 TOP 10에서는,
· Murakami Takashi 무라카미 타카시
· Damien Hirst 데미안 허스트
· Jeff Koons 제프 쿤스
· Ai Weiwei 아이 웨이웨이
· Andy Warhol 앤디 워홀
· Jean-Michel Basquiat 장-미쉘 바스키아
· JR 제이알
· Anish Kapoor 아니쉬 카푸어
· Marina Abramović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 Kusama Yayoi 쿠사마 야요이
를 소개해드렸었어요 🙂
[오늘 1편에서 소개해드릴 작가들]· Lee Bul 이불
· Do-ho Suh 서도호
· Nam June Paik 백남준
· Haegue Yang 양혜규
· Christo and Jeanne-Claude 크리스토와 잔-끌로드
· Nan Goldin 낸 골딘
· Olafur Eliasson 올라퍼 엘리아슨
· Félix González-Torres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
· Banksy 뱅크시
[2편에서 이어질 작가들]· Zhang Xiaogang 장 샤오강
· Gerhard Richter 게르하르트 리히터
· Jenny Saville 제니 사빌
· Tracey Emin 트레이시 에민
· Richard Prince 리처드 프린스
· Andreas Gursky 안드레아스 거스키
그리고,
세실리 브라운 Cecily Brown, 안젤름 키퍼 Anselm Kiefer, 쩡 판즈 Zeng Fanzhi, 피터 도이그 Peter Doig, 다이앤 아버스 Diane Arbus, 루치안 프로이드 Lucian Freud, 프랜시스 베이컨 Francis Bacon, 데이브드 호크니 David Hockney, 크리스토퍼 울 Christopher Wool, 키스 해링 Keith Haring, 루이즈 부르주아 Louise Bourgeois 등이 다뤄질 예정입니다 🙂
어떤 작가가 TOP이냐 아니냐의 순서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현대미술 작가들로 생각해주시면 좋겠구요.
각 아티스트에 대한 집중탐구가 아니라 간단한 핵심정리 소개이기 때문에
전체 작품세계를 모두 아우를 수 없고
예외적인 모든 개념까지 담을 수는 없는 점 양해하며
각 작품세계에 눈도장을 찍는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2편도 곧 업로드 예정입니다. 기대해주세요! ♥
#현대미술 #현대미술작가 #현대미술이해 #현대미술강의 #현대미술이란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당신이 알아야 할 10 명의 미국 현대 작가

브라이언 디트 머 (Brian Dettmer)는 오래된 책과 폐기 된 형태의 오래된 미디어를 복잡한 조각의 걸작으로 변형시킨 뉴욕에 본사를 둔 현대 미술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o.yourtripagent.com

Date Published: 4/7/2022

View: 735

11화 세계 미술의 중심, 뉴욕 미술 (1) – 브런치

미국에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 행사에 속하는 뉴욕 최초의 현대 미술전 … Administration)는 미국 작가와 예술가들을 지원했고 미국 추상주의 화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runch.co.kr

Date Published: 6/28/2021

View: 8943

20세기 현대미술가 정리

20세기 현대미술가 정리 … 작가이름, 시기, 국가, 특징, 대표작 … 1928~1987, 미국 펜실베니아, 대중적 상업디자이너로 팝아트, 마릴린 먼로.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zrungee.tistory.com

Date Published: 11/23/2022

View: 6082

현대미술의 중심 미국 미술은 바로 이런 것! < 문화 ... - 주간조선

휘트니미술관은 1931년 미국의 미술과 작가들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개관한 이래 수많은 현대작가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작품을 사들였다. 이번 전시에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eekly.chosun.com

Date Published: 11/3/2022

View: 374

화가 미국 출신 현대미술 – Singulart

Discover works by specially selected contemporary 미국 출신 화가: artworks for … SINGULART – 현대미술 작품구매 : 온라인 아트 갤러리 … SINGULART 제휴작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singulart.com

Date Published: 9/17/2021

View: 726

미국현대미술展 — Art In Culture – 아트인컬처

이번 전시에는 미국 현대 미술가 20명의 회화 조각 설치 미디어 사진 작품 190여 점이 전시된다. 앤디 워홀, 로버트 라우센버그, 브루스 나우먼,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artinculture.kr

Date Published: 1/3/2021

View: 1493

미국 뉴욕에서의 개인전을 앞둔 작가 이배(Lee Bae).

근대 미술과 현대 미술, 모더니즘과 컨템퍼러리에 대하여. 오늘 이 작업실에 언젠가 작가님과 만난 적 있는 마크 테토가 다녀갔죠. 그는 배병우나 구본창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wkorea.com

Date Published: 5/27/2021

View: 380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미국 현대 미술 작가

  • Author: 예술산책 Art walk
  • Views: 조회수 56,438회
  • Likes: 좋아요 903개
  • Date Published: 2020. 6.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sGghFjiDQEE

당신이 알아야 할 10 명의 미국 현대 작가

새로운 인재는 끊임없이 경계를 넓히거나 고전적인 것에 현대적인 회전을가함으로써 현대 미술 현장에 표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화가에서부터 조각가, 영화 제작자, 사진 작가에 이르기까지 현대 미술계를 폭풍에 빠지게하는 21st 세기의 미국인 재능을 살펴 봅니다.

Brian Dettmer, 지식의 새로운 책, 2009 | 예술가와 PPOW 갤러리, 뉴욕의 의례

브라이언 Dettmer

브라이언 디트 머 (Brian Dettmer)는 오래된 책과 폐기 된 형태의 오래된 미디어를 복잡한 조각의 걸작으로 변형시킨 뉴욕에 본사를 둔 현대 미술가입니다. 핀셋, 나이프 및 기타 외과 용구를 사용하여 Dettmer는 신중한 방법으로 책을 재발견 할 수있는 놀라운 예술 작품을 제작하여 신중하게 조각을 잘라 내기 전에 책의 모든 부분을 봉인하지만 결코 물건을 추가하거나 움직이지 않습니다. Dettmer의 작품은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많은 영예를 얻었으며 종종 전국 및 해외의 단독 전시회 및 그룹 전시회에서 선보였으며 워싱턴 DC의 Smithsonian American Art Museum Renwick Gallery를 비롯하여 전 세계의 많은 개인 및 공공 컬렉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니엘 아르 샹

Daniel Arsham은 New York을 기반으로 2, 3, 4 차원의 고유 한 예술 작품을 창작했으며 그 중 많은 작품이 건축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키텍처를 조작하거나 왜곡 한 것으로 알려진 Arsham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일부는 시청자가 전에 없었던 건물 요소를 경험하도록합니다. 인물 위에 펼쳐지는 벽에서부터 바람을 피우면서 잔물결이 생기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까지, 그의 예술은 실제로 예외적입니다. Arsham은 또한 워크맨, 카세트 플레이어 등 일상 생활에서 벗어나 일상의 현대적 물체를 가져 와서 화산재와 미래의 부패물을 만들어내는 다른 재료에 던져 넣습니다. 많은 그룹 쇼의 일부가되었고 솔로 전시회에서도 수상한 Arsham의 작품은 마이애미 현대 미술관을 비롯한 많은 컬렉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이아나 알 – 하디드, 그림자 피규어, 2015 | 예술가와 OHWOW Gallery, 로스 앤젤레스의 의례

다이아나 알 – 하디드

고분자 석고, 유리 섬유, 강철, 석고 및 기타 재료로 작업하는 Diana Al-Hadid는 복잡하고 현혹되어 아름다운 예술 작품을 제작합니다. 시리아에서 태어나 오하이오 주에서 자란 알 – 하디드는 녹아 내 보이지만 사실상 단단한 그녀의 커다란 조각품으로 유명합니다. 알 – 하디드 (Al-Hadid)는 북 르네상스 예술 작품과 고딕 양식의 건축물을 비롯하여 역사 전반에 걸쳐 예술에서 발견되는 요소들을 연상케하는 정교하고 추상적 인 작품을 구성합니다. 그녀의 작품에는 또한 패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동성 재료는 평평한 받침 위에 부어 져서 건조되면 제거되어 떠 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조각을 만듭니다. 그녀의 독특한 스타일로 Al-Hadid는 그룹 쇼와 함께 많은 개인전을 가졌으며 뉴욕시에있는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와 같은 권위있는 컬렉션에서 상영됩니다.

KAWS, 남자 최고의 여자 친구, 2014 | 의례 명예 프레이져 갤러리 사진 브라이언 포레스트

KAWS

뉴저지의 낙서 아티스트로 시작한 브라이언 도넬리 (Brian Donnelly)는 자신의 이름 인 KAWS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림과 조각 등 다양한 매체에서 일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가입니다. 수년에 걸쳐 많은 회사와 일하면서, 그는 또한 한정판 장난감 및 의류 품목의 배열을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cartoonesque 미술 작품으로 유명한 KAWS는 미키 마우스, 스누피, 스폰지 밥 스퀘어 팬츠 등 팝 캐릭터를 종종 상상합니다. 그들의 X-ed 밖으로 눈에 의해 수시로 증명할 수있는, KAW의 예술은 대담한 색깔로 넘치는보다는 수시로이다. 전 세계 전시회에서 전시 된 그의 작품은 파리의 Rosenblum Collection을 포함하여 개인 및 공공 장소의 많은 영구 컬렉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Kehinde Wiley, Le Roi a la Chasse, 2006, 오일 캔버스, 96 “X 72″| © 에드 Uthman / 플리커

Kehinde Wiley

Kehinde Wiley는 Old Masters의 그림에서 영감을받은 초상화로 유명한 뉴욕에 거주하는 예술가입니다. 원래 Harlem 출신의 흑인 남성을 묘사 한 Wiley의 작품에는 전 세계의 다른 흑인 남성과 결국 흑인 여성이 포함되었습니다. 모델이 귀족, 귀족, 그리고 자신이 선택한 다른 역사적인 인물을 묘사 한 고전적인 작품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면서 Wiley는 평상시 같은 옷을 입은 남자들에게 장식용 직물을 기반으로 한 화려한 배경으로 페인트합니다. 그 결과 고전적인 초상화에 대한 대담하고 강력한 현대 스핀이 탄생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와일리의 그림은 뉴욕시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비롯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컬렉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마리아 로버트슨

현대의 사진 작가 인 Mariah Robertson은 자신 만의 방식으로 일을하고 있습니다. Robertson은 모든 사진 규칙을 무시하고 과다 노출 및 찢어진 광택 용지 사용과 같은 다양한 비 전통적 방법을 실험합니다. 그녀는 또한 혼자 또는 혼합 된 다양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종이에 이들을 쏟아 부어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를보고 결과는 믿어지지 않습니다 : 강렬한 색으로 폭발하는 야생 사진. 로버트슨의 사진은 대다수가 크기 때문에 벽에 매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인상적인 작품으로 전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Robertson의 혁신적인 사진은 다양한 그룹 및 개인전 출품작 외에도 여러 공공 컬렉션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Ryan Trecartin, Trill-ogy : 형제 주제 (섹션 A), 2009, 비디오 설치 | © Julian Stallabrass / Flickr

라이언 트레 카틴

때로는 조각품을 만들고 설치 작업을하는 Ryan Trecartin은 현재 로스 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으며 비디오 아티스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Trecartin은 끊임없는 공동 작업자 인 Lizzie Fitch와 함께 실험적이고 다층 적이며 빠르게 진행되는 영화를 제작합니다.이 영화는 종종 박물관에 전시됩니다. 2004의 아트 장면으로 가족이 엔터테인먼트를 찾습니다., 소년의 ‘나오는’모험을 탐구하고 Trecartin가 가족 및 친구와 함께 많은 특성을하는 것을 발견하는 필름, Trecartin는 많은 표창장을 받고 2 년 후에 휘트니 비엔날레에서 특색 지어졌다. 현대인의 삶과 그에 수반되는 모든 것에 관심이있는 그의 영화는 독특하고 흥미로 우며 Solomon R. Guggenheim Museum을 비롯한 많은 기관의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Taryn 사이몬, 살아있는 사람은 죽은 다른 장을 선언했다, 2008-11 | © Sascha Pohflepp / Flickr

Taryn 시몬

타린 사이먼 (Taryn Simon)은 사진, 텍스트 및 그래픽 디자인을 결합한 저명한 예술가입니다. 숨겨진 것들을 탐색하는 데 관심이있는 Simon은 종종 불가능하거나 금지 된 것으로 간주되는 주제를 포착하고 하나는 철회하지 말고 그녀는 주제를 식별하고 액세스를 얻고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지루한 연구 프로세스를 시작합니다. 결실을 맺는다. 한 프로젝트에서, 숨겨진 및 익숙하지 않은 미국 색인사이먼은 미국 내에서 CIA의 미술품 수집에서부터 미국에 중요한 것은 물론 미국인들이 자주 볼 수없는 동면 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들을 조사합니다. 예술 애호가는 파리의 Centre Georges Pompidou를 비롯하여 전 세계에서 그녀의 작품을 찾을 수 있습니다.

Tauba Auerbach

색상과 치수와 함께 언어와 논리를 탐구하는 Tauba Auerbach는 조각, 사진, 서적 디자인, 제직 등 다양한 매체에서 일하는 다방면의 예술가입니다. 그러나 그녀는 지각과 색상으로 놀 수있는 ‘폴드 페인팅’으로 알려진 그녀의 그림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눈을 뜨고 철판으로 캔버스에 접어 넣은 후 Auerbach는 캔버스를 페인트하여 모든 주름을 잡습니다. 일단 말라서, 그녀는 2 차원 작품을 흉내 낸 3 차원의 작품을 꼼꼼하게 뻗어냅니다. 수많은 그룹 전시회에서 특색을 얻은 Auerbach는 전 세계에서 많은 솔로 쇼를 개최했으며 스톡홀름의 Moderna Museet을 비롯한 여러 영구 컬렉션에 작품을 전시했습니다.

조 스트라우스의 10th 및 최종 I-95 쇼 | © Pilar Berguido / Flickr

조 스트라우스

조니 스트라우스 (Zoe Strauss)는 30 시대에 수상 경력에 빛나는 경력을 시작으로 필라델피아에 기반을 둔 사진 작가로서 사회에서 종종 간과하는 사람들과 장소를 포착합니다. Strauss는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진실에 대한 진정한 견해를 외면하지 않고 강력하고 존경받는 인물 사진을 만들기 위해 이웃 사람들과 그들의 일상 생활을 촬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녀의 예술을 접할 수있게하면서, 그녀는 10 년 여행을 시작하여 I-95 다리 밑의 기둥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사진을 찍었습니다.이를보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Strauss의 사진은 건물과 광고판에서도 짧은 기간 동안 발견되며 전세계의 많은 개인 및 공공 컬렉션에 있습니다.

11화 세계 미술의 중심, 뉴욕 미술 (1)

19세기와 20세기 세계 미술 중심지였던 파리에서 수많은 화가와 조각가들이 창작 활동을 했고 사실주의, 낭만주의,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주의 등 예술 사조를 탄생시켰다. 파리 중심가에 있는 세계적인 루브르 박물관은 명성이 높아 전 세계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다. 파리를 생각하면 고흐, 피카소, 세잔, 고갱, 르누아르, 드가, 로댕 등 우리에게 친숙한 화가와 조각가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세계 2차 대전 후 상황은 달라지게 된다. 1950년대 잭슨 폴락의 액션 페인팅은 추상 미술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었고 팝아트, 개념 미술, 미니멀리즘 등 새로운 미술 사조를 만들어 갔다. 1966년 베니스 비엔날레 전에서 미국 화가 로버트 라우젠버그가 대상을 수상하게 되자 세계적으로 미국 미술이 인정을 받게 되었다.

뉴욕은 현대 미술 중심지다. 뉴욕에 세계적인 뮤지엄과 미술관이 정말 많고, 세계적인 아트 축제가 많이 열리고, 세계적인 아트 갤러리와 아트 딜러가 있고, 세계적인 미술 경매장 크리스티와 소더비가 있고, 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미술 학교가 있다.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뉴욕에 와서 창작 활동을 하고, 뉴욕에 와서 창작 활동을 하고 싶다고 한다. 뉴욕에서 에드워드 호퍼, 도널드 저드, 로이 리히텐슈타인, 조지 오키프, 마크 로스코, 앤디 워홀, 제프 쿤스, 마르크 샤갈, 살바도르 달리 등 수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했다.

한국에서 지낼 적 미국 문화에 전혀 관심이 없는 내게 뉴욕은 낯선 도시였다. 어느 날 이민 가방 들고 뉴욕에 와서 공부하고 일하고 살면서 차츰 뉴욕 문화에 노출되면서 어릴 적부터 그림을 좋아하는 내게 뉴욕이 보물처럼 아름다운 도시란 것을 깨닫게 되었다. 셀 수 없이 많은 뮤지엄과 갤러리에서 언제든 마음껏 전시회를 볼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뉴요커들은 그림을 사랑하고, 전시 공간이 많아 미술관에 가는 게 일상이다. 백발이 된 노인들도 자주 찾고 심지어 지팡이를 들고 오거나 휠체어를 타고 미술관에 온다. 아트 스튜던츠 리그에 가면 백발노인들이 미술 수업을 받는 것을 보고 또한 메트 뮤지엄에 가면 그림을 습작하는 사람들을 종종 보게 된다. 무료입장이나 기부 입장 시 뮤지엄에 가면 전시 공간을 꽉 메운 방문객을 보고 언제나 놀라곤 한다. 뉴욕에서 읽고 보고 느낀 대로 뉴욕 미술 문화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뉴욕 아모리 쇼(The Armory Show 1913)- 뉴욕 인상 깊은 전시회

미국에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 행사에 속하는 뉴욕 최초의 현대 미술전 ‘아모리 쇼’는 유럽의 아방가르드 회화와 조각이 미국에 처음으로 소개되어 미국 미술사에 획기적인 선을 그으며 정치, 사회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아모리 쇼는 미국에서 모더니즘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고 예술가와 수집자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빈센트 반 고흐, 폴 세잔, 앙리 마티스, 파블로 피카소, 마르셀 뒤샹 등이 소개되었고 특히 마르셀 뒤샹의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NO. 2>는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세계적인 규모의 박물관과 미술관과 수많은 상업 화랑

맨해튼 뮤지엄 마일에 세계적인 수준의 메트 뮤지엄, 구겐하임 뮤지엄, 쿠퍼 휴이트 국립 디자인 박물관, 유대인 박물관, 누 갤러리, 프릭 컬렉션, 뉴욕 시립 박물관 등이 있고, 미드 타운에 현대 미술의 보고 모마가 있고 미트 패킹 디스트릭트에 미국 미술의 보고 휘트니 미술관이 있고, 첼시에 약 300여 개의 갤러리가 있고, 맨해튼 미드타운, 메디슨 애비뉴, 소호, 로어 이스트사이드, 브루클린 덤보, 윌리엄스버그, 부시윅 등에 셀 수 없이 많은 상업 갤러리가 있다. 작품을 판매하는 갤러리는 무료로 전시회를 볼 수 있고 뉴욕 뮤지엄 입장료는 20-25불 정도니 저렴하지 않으나 기부 입장이나 무료입장 제도를 이용하면 뉴욕 시민들은 저렴하게 언제든 미술품을 관람할 수 있다. 뉴욕 시민들은 세계적인 수준의 전시회를 자주 볼 수 있고 전시 공간이 많아서 미술을 사랑하는 분에게 뉴욕은 천국일지도 모른다. 세계적인 예술품을 감상하러 멀리 여행을 떠나지 않아도 되는 뉴욕이 얼마나 멋진 도시인가.

첼시 갤러리 메트 뮤지엄

그뿐만이 아니다. 미술관과 뮤지엄 역사도 깊다. 메트 뮤지엄은 1870년 설립되었고, 현대 미술의 보고 모마는 1929년 11월 7일 일반인에게 오픈되었고, 미국 미술의 보고 휘트니 미술관은 1931년 설립되었고 구겐하임 미술관은 1959년 오픈했다. 뉴욕 시민들은 일찍 전시회 문화에 익숙하게 되었다.

미국 정부와 뉴욕시와 뉴욕주 예술가 지원 정책

미국 대공황 시절 창립된 WPA(Works process Administration)는 미국 작가와 예술가들을 지원했고 미국 추상주의 화가 잭슨 폴락도 혜택을 받았다. 뉴욕시 맨해튼 5번가 뉴욕 공립 도서관에 WPA기금을 받아 만든 벽화가 있다. 1965년 미국 연방 정부 예술 기금(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NEA)이 탄생해 예술가들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뉴욕주 문화예술협회(NYSCA)와 뉴욕시 문화국(New York City Department of Cultural Affairs/DCLA)도 예술가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애쉬캔 학파 Ashcan School

20세기 초 미국에서 일어났던 미술 사조이며 뉴욕의 가난한 이민자들과 워킹 클래스 삶을 담은 그림을 그렸고 로버트 헨리(Robert Henry), 조지 벨로(George Bellows), 존 슬론(John Sloan) 등이 활동했고 미국 현대 미술의 리얼리즘이 시작되었다.

뉴욕 학파 New York School

뉴욕 학파(New York School) 중심에는 1940년대-50년대 활동했던 미국 추상 미술과 관련 깊은 잭슨 폴락, 마크 로스코, 윌렘 데 쿠닝같은 예술가들이 있었다. 그들은 다양하고 기념비적인 작품을 창조했으며, 시인, 영화 제작가, 작곡가 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공동 작업을 했다.

미국 추상 예술 발판- 예술가들의 토론 마당- 시다 태번 Cedar Tavern- 잭슨 폴락, 윌리엄 데 쿠닝, 마크 로스코 외

시다 태번은 뉴욕 스쿨(New York School) 시절 아티스트들이나 지식인들이 만나 마시고 밤새도록 토론하고 미술 비평을 하는 역사적인 장소였고 미국 추상 예술 발판이 된 곳이다. 추상화가 잭슨 폴락, 마크 로스코, 윌리엄 데 쿠닝, 프란츠 클라인과 비트 제너레이션 시인 앨런 긴스버그와 잭 케루악이 주 멤버였고 여러 차례 다른 곳에 옮겨졌고 1945년 24 University Place로 옮겼지만 2006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폴락은 저렴한 맥주를 즐겨 마셨다고. 그 시절 맥주가 15센트.

Waldorf Cafeteria는 1940년대 윌리엄 데 쿠닝과 아실 고리키가 자주 토론을 벌였던 카페이며 미국 추상주의 발판이 되었다.

시다 태번에서 토론을 하는 예술가들

뉴욕 미술학교

뉴욕에 명성 높은 학교가 많다. 에드워드 호퍼, 로버트 헨리, 윌리엄 메릿 체이스, 토마스 하트 벤튼, 에드워드 호퍼, 조지 오키프, 로이 리히텐 슈타인 등과 인연 깊은 아트 스튜던츠 리그(Art Students League of New York)가 있고 쿠퍼 유니언 대학과 콜롬비아 대학과 뉴욕대에도 미술 학교가 있고 그 외 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미술 학교가 많다:

National Academy of Design

School of Visual Art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ly

Parsons School of Design

Pratt Institute

New York Studio School of Drawing, Painting and Sculpture

뉴욕 예술가 클럽

뉴욕 예술가들이 만나 함께 스케치를 하고 예술가와 후원자가 함께 만나는 클럽이 있다. 전시회도 열고 가끔 작품 경매도 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하고 미술 수업도 연다. 회원이 아니라도 전시회를 감상할 수 있어서 좋고 일부 이벤트는 미리 예약을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두 클럽을 소개한다.

*살마군디 아트 클럽 Salmagundi Art Club

Salmagundi Art Club

1871년에 설립된 살마군디 아트 클럽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아트 클럽 중의 하나에 속하며 Jonathan Scott Hartly 스튜디오에서 시작한 스케치 클래스에서 유래한다. 매주 다른 주제로 스케치를 하고 서로 비평을 주고받았고 그렇게 그들의 스케치 기술은 향상되어 잘 알려진 Illustrators가 되어 Scribner’s, Harper’s 등에 스케치가 실렸다. 스케치 클래스 시작한 10년 후 살마군디 스케치 그룹으로 알려져 전시회를 갖게 되었다. 그리니치 빌리지 브라운 스톤의 역사적인 저택에 자리 잡은 아트 클럽은 미술 수업, 전시회, 미술 경매 등 회원과 퍼블릭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세 개의 갤러리와 도서관과 레스토랑도 있고 이벤트를 위해 대여할 수도 있다. 145년 동안 1500 작품 컬렉션을 소장하고 850명의 회원과 후원자들을 보유하고 있다. 회원 가운데 윌리엄 메릿 체이스,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 차일드 하삼 등이 있다. 갤러리는 퍼블릭에게 무료로 오픈한다. 워싱턴 스퀘어 파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The National Arts Club

1898년 뉴욕 타임지 문학예술 비평가 찰스 드 케이(Charles De Kay)에 의해 설립된 내셔널 아트 클럽(The National Arts Club)이며 예술가들과 후원자와 관객을 위한 장소다. 초기 클럽 멤버들은 윌리엄 메릿 체이스, 로버트 헨리, George Bellows, J.P. 모건, Henry Clay Frick, 시어도어 루스벨트 & WoodrowWilson 대통령 등이다. 뉴욕에서 유서 깊은 이곳은 마틴 스콜세지 영화 <순수의 시대 Stand in for the Beaufort Mansion- Age of Innocence> 외에 <크레이머 크레이머>, <퀴즈 쇼>, <가십걸>, <맨해튼 살인 미스터리> 등 많은 영화와 티브이쇼를 촬영한 장소다. 갤러리는 멤버들에게만 허용하는 장소와 아닌 장소로 나누어지고 퍼블릭에게 오픈한 갤러리는 주중 자유롭게 볼 수 있다. 전시회 외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며 퍼블릭에게 오픈한 문학 이벤트 등도 있다. 전시회는 자주 바뀌고 소수의 방문객이 찾는 갤러리라 분위기가 조용하고 좋다. 가끔 미술 작품 경매도 하고 해마다 여름에 러시안 헤리티지 전시회도 열린다. 유니언 스퀘어 파크와 매디슨 스퀘어 파크 사이 그래머시 파크가 있고 근처에 <크리스마스 선물>을 집필한 오헨리가 단골이던 피츠 태번 레스토랑과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생가가 있다. 아트 클럽 2층 벽에는 플라시도 도밍고, 이작 펄만, 레너드 번스타인 등의 초상화가 걸려있다.

세계적인 예술품 컬렉터: 페기 구겐하임과 밴더빌트 휘트니

페기 구겐하임은 세기적인 아트 컬렉터이고 유럽 미술을 미국에 소개하며 예술가들을 아낌없이 후원하였고 2015년 그녀의 삶을 조명한 영화 가 오픈했다.

1898년 8월 26일 뉴욕에서 탄생하며 벤저민 구겐하임의 딸이며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설립자 솔로몬 구겐하임의 조카다. 1912년 4월 아버지 벤저민 구겐하임이 타이태닉호 침몰로 돌아가시자 막대한 유산을 받게 되었다. 1942년 10월 뉴욕 맨해튼에 <금세기 미술 화랑 Art of This Century Gallery>을 오픈했고 개관 첫날 수 백 명이 찾아올 정도로 성황을 이루었고 브라크, 디키 리쿠, 살바도르 달리, 막스 에른스트, 자코메티, 칸딘스키, 미로, 피카소, 탕기 등 유럽의 전위적 작가들 작품을 전시했고 유럽에서 건너온 화가들이 미국의 미술가 잭슨 폴락, 마크 로스코 등과 만나게 되는 공간이 되었고 뉴욕과 파리의 미술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했다. 페기 구겐하임의 역할로 뉴욕은 파리와 함께 세계 미술 시장을 양분하게 되고 현대 미술의 중심지로 변했다. 첫 번째 남편 바일과 이혼 후 1941년 뉴욕으로 돌아와 막스 에른스트와 결혼을 했고 440 E. 51st. 에 살았다. 20세기 미술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했고 수많은 예술가들을 도와줬으며 그 가운데 잭슨 폴락도 있다. 그녀가 살던 아파트(155 E. 61st.) 벽화를 그려달라고 폴락에게 부탁했다. <글 내용은 구겐하임 미술관 웹사이트를 참고>

미국의 조각가 이자 예술의 후원자이자 새로운 미국 미술의 휘트니 미술관의 설립자 거트루드 밴더빌트 휘트니는 1875년 1월 뉴욕에서 태어나 1942년 4월 뉴욕에서 사망했다. 그녀는 제독 코넬리우스 밴더빌트의 증손녀였다. 어린 시절부터 미술에 관심을 갖고 1896년 해리 페인 휘트니(Harry Payne Whitney)와 결혼 후 유럽 여행을 갔다. 파리 몽마르트르와 몽파르나스를 보고 미술에 대한 영감을 받고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파리에서 로댕 아래에서 공부하고 뉴욕 아트 스튜던츠 리그에서 공부를 했으며 조각가의 길을 걸었다. 1907년 그리니치 빌리지 스튜디오에서 그녀는 로버트 앙리, 윌리엄 J. Glackens, 존 슬론, 조지 LUKS, 아서 B. 데이비스 등 진보적인 예술가들을 만나 그들의 작품을 구입하고 휘트니 스튜디오를 열었다.

1914년 빌딩( 8 W 8th st.)을 구입해 젊은 예술가들을 위한 전시 공간 갤러리로 만들어 휘트니 스튜디오를 대중에게 공개하고 <젊은 예술가 친구 Friends of Young Artists(1915)> <휘트니 스튜디오 the Whitney Studio Club(1918)> <휘트니 스튜디오 갤러리 the Whitney Studio Galleries(1928)>를 설립했다. 휘트니 스튜디오 클럽에서 휘트니 스튜디오 갤러리까지 변화하는 동안 수많은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했다. 그 가운데 조셉 스텔라, 에드워드 호퍼, 스튜어트 데이비스 등이 있다. 휘트니의 아트 컬렉션은 점점 더 많아져 가고 메트 뮤지엄에 기부하려고 했으나 메트 뮤지엄은 검증받지 않은 작가란 이유로 거절을 하니 1931년 미술관을 세웠다. 그렇게 뉴욕 맨해튼 그리니치 빌리지에 휘트니 미술관이 탄생했다. 조각가인 휘트니는 그리니치 빌리지 예술 커뮤니티에서 눈에 띄는 예술 후원자였다. <글 내용은 휘트니 미술관 웹사이트를 참고>

20세기 현대미술가 정리

작가이름 시기 국가 특징 대표작

에드바르 뭉크

Edvard Munk 1863-1944 노르웨이 자신의 일대기를 자화상으로 남김

현대인의 정신적 고통, 인간의 고독과 소외, 불안감 절규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Amedeo Modigliana 1884~1920 이탈리아 인간의 내면과 본질에 대해 그리고자 했음. 파리에서 활동했으며, 초상화와 누드화를 다수 그림 큰 모자를 쓴 잔느

구스타프 클림트

Gustav Klimt 1862~1918 오스트리아 금가루를 사용한 작품(유디트,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 등)

건축장식미술 연인(키스)

에곤 쉴레

Egon Schiele 1890~1918 오스트리아 니체의 영향을 받아 표현주의 구사

인간의 감정과 본능적인 성욕을 그림으로 표출 꽈리가 있는 자화상

알폰스 무하

Alphonse Mucha 1860~1939 체코 백일몽

바실리 칸딘스키

Wassily Kandinsk 1866 ~ 1944 러시아 추상회화의 선구자

마르크 샤갈

Marc Chagall 1887~1985 러시아 회화, 판화, 벽화, 스테인드글라스 등

프랑스 니스에 1948년에 정착, 미술관있음 마을과 나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 1869 ~ 1954 프랑스 야수파 춤

피에트 몬드리안

Piet Mondrian 1872~1944 네덜란드 마티스에 감명받아 추상화 시작

1940년 미국으로 이동

프리다 칼로

Frida Kahlo 1907~1954 멕시코

사고 이후 자신의 모습이 담긴 자화상을 다수 그림

파블로 피카소

Pablo Picasso 1881~1973 스페인 입체주의 도라 마르의 초상

살바도르 달리

Salvador Dali 1904~1989 스페인 초현실주의 기억의 지속

르네 마그리트

Rene Magritte 1898~1967 벨기에 초현실주의, 상업디자이너 대전쟁

피에로 포르나세티

Piero Fornasetti 1913~1988 이탈리아 가구, 인테리어

리나 카발리에리를 모티브로 한 그림 다수

앤디 워홀

Andy Warhol 1928~1987 미국 펜실베니아 대중적 상업디자이너로 팝아트 마릴린 먼로

로이 릭텐스타인

ROY LICHTENSTEIN 1923~1997 미국 뉴욕 광고이미지와 만화를 확대하여 점으로 표현 행복한 눈물

키스 해링

Keith Haring 1958~1990 미국 그래피티로 시작해서 고급미술과 저급미술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음

데이비드 호크니

David Hokney 1937~ 영국 a bigger splash

현대미술의 중심 미국 미술은 바로 이런 것!

서울 덕수궁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이것이 미국 미술이다’ 전시에서는 현대미술 거장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photo 한준호 영상미디어 기자

만 레이, 앤디 워홀, 로이 리히텐슈타인, 제프 쿤스, 에드워드 호퍼, 조지아 오키프, 크리스토…, 한 명의 작품을 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인데 현대미술 거장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서울 덕수궁미술관에서 ‘이것이 미국 미술이다:휘트니미술관전’이 열리고 있다. 휘트니미술관은 뉴욕 4대 미술관 중 하나로, 가장 미국적인 미술을 볼 수 있는 미술관이다. 휘트니미술관이 아시아에서 소장품을 공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휘트니미술관은 1931년 미국의 미술과 작가들을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개관한 이래 수많은 현대작가들을 지원하고 그들의 작품을 사들였다. 이번 전시에는 세계 미술의 주도권을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오게 만든 작가 47명의 작품 87점을 소개한다.

현대미술의 중심이 된 미국 미술은 어떤 것일까?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1917년 한 전시회에 남자 소변기를 들고나온 마르셀 뒤샹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뒤샹은 ‘샘’이라는 제목을 붙인 소변기 작품이 전시회에서 거부당하자 ‘도대체 미술이 무엇이기에 변기는 안 된다는 말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반(反)예술을 기치로 ‘오브제(Object)’를 미술 속에 던져 놓았다. 일상적 가치에서 벗어나 미적 대상이 된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은 미술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쓰레기더미에서나 찾을 수 있을 것 같은 하찮은 소재마저 서슴지 않고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네오다다(Neo Dada)가 그렇고, 소비사회의 넘쳐나는 이미지들을 예술적 소재로 사용한 팝아트(Pop Art)가 그렇다. 코카콜라·말보로 담배 등 미국 주요 기업의 상표는 물론이고 슈퍼마켓에 넘쳐나는 식료품과 가정생활용품·패스트푸드 등이 작품의 소재로 등장하면서 현대미술은 돌이킬 수 없이 변모했다.

“미국의 위대함은 가장 부유한 소비자로부터 가장 가난한 소비자들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동일한 상품을 구입하고 소비하는 전통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TV를 보면 코카콜라가 나오는데 대통령도, 리즈 테일러도, 당신도 동일한 코카콜라를 마시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라.”

팝아트의 대표주자 앤디 워홀은 이같이 말하면서 일상의 모든 것들을 예술계에 입성시켰다.

이번 전시는 20세기 초부터 현재에 이르는 미국 현대미술의 역동적 역사를 오브제를 통해 감상하고, 동시에 일상생활 속의 오브제가 미국 사회와 문화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탐색할 수 있다. 전시는 ‘아메리칸 아이콘과 소비문화’ ‘오브제와 정체성’ ‘오브제와 인식’으로 구성된 3부와 특별섹션 ‘20세기 미국 미술의 시작’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좌) 찰스 레이의 ‘퍼즐 병’ (우) 톰 웨셀만의 ‘위대한 미국 누드 #57’

미국 미술의 본질을 보여주는 워홀의 코카콜라병, 초현실적이고 괴팍한 퍼포먼스와 추상조각들을 주로 선보였던 찰스 레이의 유리병 안에 갇힌 인간, 클래스 올덴버그의 거대한 담배꽁초들, 올덴버그와 아내 코샤 반 브뤼겐의 흐느적거리는 비올라…. 삶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엄숙주의에서 탈피해 일상용품에 담긴 시대의 가치를 반영한 작품들이 전시장 곳곳에서 관객들의 허를 찌른다.

미국 미술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특별섹션 ‘20세기 미국 미술의 시작’에서는 현대인의 고독과 불안함을 잘 표현해내며 가장 미국적인 화가로 꼽히는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이 처음으로 한국 관객들과 만난다. 호퍼 이외에도 20세기 초반 도시의 풍경을 독자적인 형식으로 그려낸 존 슬론, 유명 사진작가 앨프리드 스티글리츠의 연인으로 유명한 조지아 오키프의 추상 작품을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이다. 조선일보사와 국립현대미술관이 공동 주최한 이번 전시는 9월 25일까지 계속된다. 관람료는 어른 1만2000원, 청소년 9500원, 유아 4000원(덕수궁 입장료 포함). 문의 (02)755-2040

미국 뉴욕에서의 개인전을 앞둔 작가 이배(Lee Bae). | 더블유 코리아 (W Korea)

본 브라우저는 공유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주소를 복사하였습니다.

나무가 불타면 숯이라는 정수가 남는다. 어쩌면 세상 모든 사물의 마지막 상징적 모습이자 죽은 듯 보여도 생명력을 머금은 존재. 파리로 향한 30년 전부터 이배(Lee Bae)는 숯의 가능성과 함께 했다.

지난해 연말, ‘숯의 작가’ 이배가 프랑스 문화예술 훈장 기사장을 받았다는 소식이 들렸다. 프랑스 정부가 예술분야에 공헌한 자에게 내리는 훈장의 가치와 기준을 나는 정확히 모른다. 다만 집 안 곳곳에 가족의 건강을 염원하며 어머니가 놓아둔 작은 숯덩이를 한 번도 제대로 쳐다본 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검정인데 검정만은 아닌 색, 거칠되 위협적이지 않은 질감, 비일상적이지만 은근히 스며드는 친밀함. 파리를 근간으로 활동하는 이배는 지난 30년 동안 설치, 조각, 회화 등으로 숯을 탐색하며 숯과 함께 했다. 약1년 전, 생 폴 드방스에 위치한 미술관인 매그 파운데이션에서 루이 비통 크루즈 쇼가 열렸을 때, 그곳에서 전시 중인 숯 작품의 어둠과 빛은 웬만 한것에 홀리지 않는 패션 피플을 사로잡기에도 충분했다. 현재 베니스의 빌모트 파운데이션에서 개인전 중인 이배가 새로운 화두를 가슴에 안고 잠시 한국을 찾았을 때 그를 만났다. 올 연말이면 그는 그를 충분히 사랑해주는 프랑스와는 하나부터 열까지 다른 곳, 미국 뉴욕에서 첫 개인전을 연다.

이배의 작업실은 파리, 고향인 경상북도 청도, 그리고 경기도 고양, 이렇게 세 군데 있다. 청도 작업실에는 숯이 가득하다는데, 잠시 한국에 온 그를 만난 장소는 그가 평면 작업을 주로하는 고양의 작업실이었다. 거대한 먹물 방울이 퍼지는 형상은 잭슨 폴락이 하듯 먹물을 뿌린 결과가 아니다. 붓으로 정교하게 그려 얻은 것이다.

근대 미술과 현대 미술, 모더니즘과 컨템퍼러리에 대하여

오늘 이 작업실에 언젠가 작가님과 만난 적 있는 마크 테토가 다녀갔죠. 그는 배병우나 구본창 작가의 작품을 소장한 미술 컬렉터이기도 해요. 자신이 아는 프랑스 인들은 단색화를 비롯해 이배 작가의 작품을 굉장히 좋아한다면서, ‘이배는 현재 글로벌 미술 시장의 BTS’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웃음). K-POP이 한국 외 문화권의 마음을 건드린 것처럼, 작가님 작품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동한다’는 표현을 쓰더군요. 하하. 서양 미술에는 사실 단색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구조가 거의 없어요. 그들이 단색화를 이해할 수 있는 근거는 다른 게 아니라 ‘현대미술’에 있습니다. 미국에서 한 때 단색화 붐이 일어나니까 유럽에서도 ‘그런 새로운 미술이 있다더라’ 식으로 관심을 가졌죠. 프랑스 인의 경우 자기 나라에 이브 클랭이라는 걸출한 화가도 있었기 때문에 단색화에 거부감이 별로 없긴 할 겁니다. ‘클랭 블루’라고 자기 이름을 붙여 특허까지 낸 블루로 캔버스 전체를 덮은 인물이죠.

작업실에서 매일 규칙적으로 작업하시나요? 아주 규칙적인 편입니다. 파리에서도, 한국에서도, 보통 아침 9시경에 작업을 시작해서 저녁 7시까지 합니다. 제가 학교 미술 교사를 하다가 1989년, 서른 셋 즈음 파리로 갔어요. 그때부터 규칙적으로 작업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규칙적인 일상에서 오는 힘이라는 게 분명히 있죠? 예술의 요건 세 가지가 있어요. 에스프리(영감과 정신), 애티튜드(태도와 자세), 그리고 프로세스(과정과 방법). 애티튜드는 작가의 감성과 취향을 따르지만, 프로세스는 지속적으로 쌓이고 축적되어가는 것, 그래서 논리적인 영역에 해당합니다. 근대미술에서는 에스프리에 비중을 크게 뒀죠. 작가는 매일이 아니라 영감이 떠오를 때만 그림을 그리는 식이어서 감동을 얻기 위해 여행 다니고 방황도 하고 그랬어요. 반면 현대미술에서는 균일함과 일정함이 중요합니다. 작품이 오늘은 좋았다가 내일은 나쁜 식이면 안 되고, 완성된 작품 하나하나에서 작가의 아이덴티티를 읽을 수 있어야 해요. 수공업 성격의 근대와 산업화된 현대의 차이점이 그겁니다. 그래서 현대미술에서는 근대에 비해 방법론, 프로세스가 굉장히 중요해요. 어쩌면 결과 자체보다 ‘어떻게 만드느냐’에 해당하는 그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균일하고 일정한 프로세스를 통해 작가의 세계성을 완성하는 현대미술. 팝아트가 한 예시겠네요. 결과물은 참 얄팍해 보이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게 메시지를 만들었죠. 근대는 메시지보다 에스프리가 중요한 때였고요. 현대에서는 방법론이라는 하나의 논리를 가지고 과정을 충실하게 잘 짜놓으면, 결과가 저절로 퀄리티를 갖추게 돼요. 작가 스스로 자기의 시스템을 만드는 일이고, 그 시스템이 바로 그의 메시지가 되는 겁니다.

기자들은 온갖 장르의 예술가만 만나면 ‘영감’에 대해 묻는 존재거든요. 그건 구시대적인 질문이었군요(웃음). 예술을 바라보는 이가 예술 자체에 경외심과 호감을 가지면, 자연히 작가의 정신성에 관심이 가죠. 그건 좋은 현상입니다. 기자뿐이 아니라 일정한 교양과 지성을 갖춘 많은 한국인이 예술을 대할 때 경외심을 갖더군요. 다만 한국은 역사적으로 ‘근대’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했어요. 왕조 시대에 선비니 양반이니 따지다가 바로 ‘컨템퍼러리’로 넘어온 거나 마찬가지예요. 그 사이 시기를 식민지로 빼앗겨버렸기 때문에. 저는 우리나라가 근대주의를 제대로 경험하지 못한 게 큰 아픔이라고 여깁니다. 어떤 답을 찾을 때, 근대와 현대 사이에서 혼란이 있을 수밖에 없지요.

최첨단 하드웨어와 구시대적인 소프트웨어가 혼재된 사회상이 떠오르네요. 이런 경우가 있어요. 한국에서 굉장히 똑똑한 사람이 어려운 여건에서 유학을 거쳐 뛰어난 과학자로 금의환향했다고 쳐요. 첨단 산업의 중요한 연구자로, 매끈하고 세련된 신식 아파트에 살면서. 그런데 그런 아파트 거실 안에 소가 풀 뜯고 있고, 초가집 앞에 시냇물이 흐르는 목가적인 그림이 걸려 있습니다. 생활이나 과학에 관한 모든 것은 초현대의 중심에 있는데, 가슴 깊은 곳에는 근대가 없는 아득한 어느 옛날의 정서가 있는 겁니다. 생활 속 테크놀로지와 목가적인 그림 사이. 그건 나쁘다기보다 괴리감이 크다는 것이죠.

머리로는 현대의 흐름을 따라가는데 몸은 근대를 경험하지 못한 거군요. 집단적인 무의식이나 감성이 사회와 문화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텐데, 우리 사회에서 뭔가 어긋나는 듯한 현상의 이유를 거기서 찾을 수 있겠네요. 물건 하나를 선택하거나 어떤 대상을 관찰할 때도 그 사람의 감성이 근저에 흐릅니다. 그런 것들이 한 사회의 생활 양식이나 문화 수준을 만들어가고요. 그런데 근대라는 과정을 차근차근 밟아 현대로 오지 못한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현상과 이유를 연결시키는 데 장애가 발생하는 거죠. 외국 생활을 하다 보니 특히 그런 면에 대한 생각이 많아져요.

파리에서 30년을 사셨죠. 그간 한국과 해외를 오가며 그만큼 안과 밖의 격차를 더 예민하게 느끼셨나 봅니다. 지금 전 세계에서 호감을 갖고 있는 몇몇 문화권 중에 한국이 포함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대를 경험하지 못한 우리의 거대한 결핍감이 그걸 극복하려는 노력과 의지, 특유의 열정을 만들었고, 바로 그런 데 외국인의 관심이 향하고 있어요. 그들은 한국을 흥미롭게 생각하고, 한국인의 생각을 읽고 싶어 합니다. 한국인이 차근차근 근대를 밟아간 유럽의 역사와 예술을 익히려는 경우는 결핍으로 인한 끌림일 수 있어요. 영양이 부족할 때 링거를 맞는 것처럼요.

링거를 맞을 때도 처방이 있어야 하잖아요. 우리에게 없었던 근대와 그로 인한 문제점에 접근하는 법을, 우리와 다른 문화권에 살면서 체득하셨나요? 저는 바깥에서도 외국인, 한국 안에서도 아웃사이더 같다는 느낌을 자주 받아요. 저도 모르게 안팎을 자꾸 비교하게 되니까요. 사회 문제에 대해 섣불리 말해서는 안 되겠지만, 그간 보이고 느끼는 것 중 하나가 한국은 남성 위주의 사회라는 점이었어요. 남성 위주, 그건 근대의 특성이고 근대를 거친 문화권에서는 이미 예전에 끝난 일입니다. 한국에서는 아직도 남성과 여성을 구분해 얘기하고, 최근에야 페미니즘 운동이 태동했잖아요.

국내 어느 대학교 총장이 자기네 미대를 세계적 수준의 미대로 만들고 싶은데 가능성이 있겠냐고 물은 적 있어요. 그건 가능성이 있다고 되는 일도 아니고, 없다고 해서 안 되는 일도 아닙니다. ‘가능성은 충분히 있는데 실천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했더니 의지가 있다고 하더군요. ‘의지가 있어도 개인만의 의지로는 힘들 것’이라고 다시 말했더니 그럼 어떻게 하면 될지 제 생각을 물어요. 제가 말했죠. “여자 교수를 60% 정도로 늘리십시오. 그리고 미술을 전공한 교수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분야의 교수를 30% 정도, 외국인 교수를 40% 정도까지 채우십시오.” 이건 제 생각이 아닙니다. 미술계에서 인정받는 사람들을 배출하는 전 세계 유수의 미대들 시스템이 그래요.

여성 할당제나 지방 출신 할당제 같은 정책이 생겨도 당장은 뽑을 사람이 많지 않겠죠. 시간이 흐르면서 과거와 다른 사회를 거친 인물이 늘어날 거고요. 그렇기도 하지만, 이미 준비된, 다 완성된 사람을 기용하기는 원래 어려운 일이에요. 제가 시골에서 과수원집 아들로 자라서 압니다. 잘 익은 사과는 시중으로 운송할 수가 없어요. 조금 덜 익은 사과가 가장 좋아요. 그래야 누군가의 밥상에 올라갈 때 제일 맛있는 상태가 되거든요. 시스템은 다 꼴을 갖춰놓고 만드는 게 아니라, 만들려고 하면 만들어지는 것, 그게 시스템이에요.

문득 궁금해집니다. 작가님도 ‘근대에 대한 결핍’ 때문에 깊고 넓은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예술을 익히고자 했나요? 1980년대 후반이면 미국 유학을 생각했을 법한데 왜 파리를 택하셨어요? 처음엔 미국으로 갔어요. 머릿속에는 ‘세계 미술의 중심에서 현대미술을 하고 싶다’는 욕심이 있어서 해외로 나갔죠. 그런데 실제는 달랐어요. 제 머릿속에 있던 그 현대미술이라는 게 사실 근대미술이었다는 걸 깨달았죠. 뉴욕, LA에서 크고 작은 전시와 미술관을 보면서 아주 감명을 받았는데, 그 감명이 너무 강렬해서 겁이 날 정도였어요. 제가 거대한 기계 안에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다 파리에 가니까 그곳은 기계 같지가 않고 한 사람 한 사람이 다 살아 있었어요. 인간적이고, 차별도 적었고. 충돌 없이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잘 섞여 돌아가고 있다는 느낌이었죠. 그래서 파리에 살기로 결심했습니다.

다인종의 용광로라는 이미지는 미국이 갖고 있는데 의외네요. 클래식한 파리와 팝아트적인 뉴욕의 차이였을까요? 사실 프랑스는 ‘컨템퍼러리’가 아니었던 겁니다. 프랑스는 근대주의, 그러니까 모더니즘적인 의식이 강한 나라였고, 제가 본 미국이 바로 컨템퍼러리였던 거죠. 하지만 그 시절 외국에 나간 한국인으로서는 미국이 컨템퍼러리하다는 개념 자체를 인식할 수가 없었던 겁니다.

그러고 보니 한국 서울에 살면서, ‘컨템퍼러리’보다는 ‘모더니즘’을 더 입에 올리는 것 같아요. 모더니즘은 참 마법 같은 단어예요. 우리나라에서 ‘모던한 인테리어’가 얼마나 각광받는지 아세요? 화보를 만들 때도 ‘모던하게 풀자’고 하면 그 추상적인 말 한마디에 갑자기 확 안심이 돼요. 그렇게 해야 정답인 것 같거든요. 그럴 수밖에 없을 겁니다. 모던이라는 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나 하나의 논리와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가장 합리적인 방식을, 이성 등등까지 다 투입해서 만들어진 결과거든요. 그러니까 ‘모던하게 하자’는 건 합리적이고, 이성적이고, 공감이 되어야 하고… 그런 분명한 답이 있는 것이죠. 반면 ‘컨템퍼러리’는 답이 아니에요. 모던이 이미 경험해온 것에 대한 거라면 컨템퍼러리는 수많은 의문을 가지고 여전히 실험하며 진행 중인 것이에요. 그 컨템퍼러리를 뒷받침해주고 안심시켜주는 게 모던인데, 우리는 모던에 약한 셈이죠.

근대와 현대, 그러니까 모더니즘과 컨템퍼러리를 인지한 후 어떤 결론을 내리셨나요? ‘미국이 문제가 아니라 컨템퍼러리라는 필터를 통과해야 하는구나’ 깨달았습니다. 프랑스에서 제가 영양분을 얻으면서 견고해지긴 했지만, 현대 사회의 작가로서 미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현대미술이라는 거대한 필터를 통과할 수 있을까 질문이 생겼어요. 앞으로 그 물음을 안고 도전해야 합니다. 전 세계의 뛰어난 작가들이 뉴욕을 들락거리는 건 단순히 뉴욕이라는 특수한 장소성에 매달리는 게 아니라 ‘컨템퍼러리 아트’의 현장에 들어가고 싶어서죠.

수년 전 <더블유>와 인터뷰한 이우환 작가도 유럽과 미국의 차이에 대해 얘기했어요. 작가가 한국과 일본에서 바로 미국으로 진출하긴 어렵다, 자신도 유럽에서 오래 버텼기 때문에 뉴욕 구겐하임에서 전시할 수 있었고, 백남준 선생 역시 독일을 기본 무대로 해서 오랜 시간 미국을 오갔다고요. 예술가는 예술을 위해 역사적 배경이 있는 유럽권에서 단련할 필요가 있다고 보시나요? 아, 한국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 미국으로 바로 진출해서 예술적 성과를 얻기가 어렵다는 데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현실이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과거에는 한국이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 같은 게 보이지 않았지만, 지금은 세계의 눈이 향하고 있죠. K–POP만 놓고 생각해봐도 그렇죠. 신기한 점이 하나 떠오르는데, 1970년대 한국에는 물감 만드는 회사나 캔버스 천을 만드는 공장도 없었어요. 그런데 단색화라는 게 태어났습니다. 그로부터 40년이 지나 한국 단색화를 본 해외 평론가들이 대체 한국에서 그런 작품을 그 시대에 어떻게 했는지 놀라고 감탄해요. 단색화의 내용과 방법론, 형식 등과 유사한 미술이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도 아주 유행했거든요. 미술인끼리 교류했다거나 한국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때도 아니었는데.

몇 년 전 세계 미술 시장에서 한국 단색화가 주목받을 때, 마크 로스코 등의 색면 추상도 같이 언급되곤 했죠. 저는 그런 현상이 동시대성이라고 봐요. 이건 제 스타일 비유입니다만, 한 시대를 사는 서울 쥐와 시골 쥐는 취향이 비슷할 거예요. 시골 쥐가 서울에 안 가봤다고 해서 마냥 촌스럽다고 하기 어렵달까요. 물론 마크 로스코의 작품은 누군가와 비교 불가한 느낌을 안겨줍니다. 보고 있으면, 이상할 정도로 푹 빠져들어요. 관념이나 추상 같은 걸 들먹일 게 아니라 그냥 밖에서부터 자신을 뒤집어씌운다는 느낌. 그런 작품은 오늘과 내일 만든 결과물이 다른 미술이 아니라 정확한 레시피가 있는 작업입니다. 1970년대 한국에서는 방법론이나 레시피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아니었는데, 누가 그걸 보고 퍼뜨린 것도 아닌데, 그 시대 작가들이 해냈단 말이죠.

작가님 역시 단색화 작가로 불리기도 합니다. 해외에서 단색화 바람을 체감하셨어요? 지금 세계적 명성을 얻은 한국의 1세대 작가 대다수가 제 세대의 선생님이셨어요. 저는 그들의 제자니까 2세대라고 할 수 있고, 저 역시 단색화가 유명해진 덕을 본 사람이에요. 유럽 곳곳에서 개인전을 하면 ‘한국에서 온 이배라고 있는데, 나름대로 숯을 가지고 독특한 미술을 한다’고 바라봅니다. 그게 무슨 뜻이냐면 ‘저 작가의 스승과 문화권을 봐도 그렇고, 숯으로 저런 작품을 하는 이유가 납득이 된다’는 인식을 만들어준다는 거죠. 제 작업이 다른 문화권의 누군가에게 생소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 그게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불로부터, 숯으로

작가님의 대표 시리즈인 ‘Issu De Feu’를 우리말로 어떻게 옮기면 가장 좋을까요? 한국 언론에서는 ‘불의 근원’, ‘불에서부터’ 등으로 많이 쓰고, 평론가 심은록 선생은 ‘불에서 나온’이라고 합니다. 저는 ‘불로부터’라고 불러요. 불이 만들어낸, 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숯이니까요. 사실 그것도 적확한 번역이라고는 할 수 없고 한국말로 옮기기가 아주 어려워요. ‘불의 근원’이라고 해도 뭐 나쁠 건 없겠습니다, 제 생각에는요.

숯덩어리로 설치 작업을 하거나 숯을 캔버스에 접합한 다음 표면을 연마해서 평면 작업을 하시죠. 사포질을 하면 숯이 다 바스러질 것만 같아요. 아뇨, 숯이 연약하고 깨지기 쉽지만 그렇게 바스러질 정도는 아니에요. 숯이라는 게 나무를 태워 만든 거죠. 밀폐된 가마에서 도자기를 굽듯이 굽는데 그 열기가 한 1000도까지 올라갑니다. 그 정도의 뜨거움으로 타고 나면 본래의 순수한 것, 탄소만 남아요. 재하고는 다릅니다. 숯은 그 물질이 순수하게 남는 것이고, 재는 숯까지 다 타버리고 나서 그 물질의 물성이 없는 상태이죠. 그래서 다 타버리고 물성이 남아 있지 않은 재는 희고, 숯은 검습니다.

‘Issu De Feu’ 시리즈 중 표면을 연마한 평면 작품을 보면, 표면이 매끄럽게 빛 나는 부분도 있고 해서 저는 처음 봤을 때 자개장이 연상됐어요. 그냥 검정이 아니라 여러 빛을 머금고 있는 검정요. 숯이 컬러 면에서는 단조로우니 컬러풀한 구현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 적은 없으세요? 많이 있죠. 지금도 많이 생각하고 있는데, 조만간 그런 계기가 주어질 수도 있고요. 저는 유럽에서 알려진 작가지만, 미국에서는 올해 첫 전시를 앞두고 있어요. 11월에 뉴욕 페로탱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할 예정입니다. 미국에 이제 겨우 제 메시지를 알리는 수준인데 지금 이것저것 하면 거기서는 제가 누군지도 기억하지 못할 겁니다. 아까도 말했듯이 오늘날은 뛰어난 작품 한두 점이 아니라 작가의 세계성이 그 작가를 결정짓거든요.

처음 어떻게 숯과 만나셨어요? 숯이 예술화된 계기요. 우리 집사람은 그 얘기 하지 말라고 해요. 예술적이지 않은, 일상에 관한 부분이라서(웃음). 파리에 가서 하루 10시간 이상 작업을 하는데, 물감을 쓰면 그 재료비를 감당하지 못 해요. 손가락만한 튜브 물감 하나가 한국 돈으로 2만원 정도 했어요. 또 현대 미술에서 캔버스가 좀 큽니까?(웃음) 별생각을 다 하다 어느 날 숯을 샀는데, 500원 정도 숯 한 봉지면 일주일 동안 너무 행복한 거예요. 재료 걱정이 없는 것만큼 작업할 때 행복한 게 어딨겠어요.

그렇게 신이 나서 숯과 살다가 평생을 함께 뒹굴거라는 확신이 들던가요? 숯을 서양에서도 많이 씁니다. 화실에서 숯으로 작업을 시작한 초기, 지나가는 사람들이 ‘저 사람은 숯으로 그림을 그리네’ 하면서 관심을 가졌어요. 그곳이 공동 화실이었는데 어느 날 유명한 평론가가 다른 일로 화실을 찾는다더군요. 주변에서 그랬죠, 프랑스 사람은 워낙 질문하기 좋아하니까 나에게도 왜 숯으로 작업하느냐 분명 물을 거라고. 그때부터 일주일 동안 ‘숯은 무엇인가’ 고민 했어요. ‘나는 거대한 먹의 세계, 검정 수묵의 문화권에서 왔기 때문에 숯을 쓴다’고 거창하게 갖다 붙여야 하나? 그렇게 생각을 거듭하다 점점 숯이 나를 위한 하나의 매개자가 되게끔 하는 과정을 거쳤죠.

한국에서 공부하던 시절에는 단색화 스승들로부터 회화 영향을 받으셨을 텐데, 숯 작업에 있어서는 레퍼런스나 자극이라고 할 만한 게 없었겠어요. 없었죠. 하지만 모든 예술가란 현실을 있는 그 자체로 보지 않고 어떻게든 예술적으로 해석하려고 고민합니다. 모든 게 다 예술이 될 수는 없기 때문에 예술적인 틀에 현실적인 저것을 넣어볼 수는 없을까, 그래서 그 냉랭하고 옴짝달싹도 하기 어렵게 매여 있는 현실에 상상력을 가미하지요. 저는 예술이 여행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자기 생각은 멀리 내보내고 멀리 저 밖에 있는 것을 자기 안으로 끌어들이는 행위요. 안과 밖을 연결하는 여행. 이우환 선생님도 돌을 보고서…

돌요? 돌과 철판을 보고서 예술로 연결하셨죠. 세자르는 버려진 기계 조각이나 고철을 가지고 작품화했고. 그러니까 무언가를 일상적인 사물로 바라보는 게 아니라 예술적인 틀 안에서 보려고 노력하는 일이 습관이에요, 예술 하는 이는. 숯을 쳐다보면서 ‘이건 뭔가’ 하다 보면 어릴 적 목탄으로 데생했던 일, 옛날에 한국에서 애를 낳으면 처마 밑에 숯을 매달아놓거나 간장 담글 때 숯을 넣던 일, 숯을 갈아 만든 동양화의 재료인 먹 등등 일상 안에서의 숯의 기억이 되살아납니다. 그런 일을 지속하고 확장하면서, 숯과 관련된 일상에 자꾸 상상력과 예술이라는 향기를 입히는 거죠.

숯을 지속적으로 바라보면서 무엇을 발견하셨나요? 숯을 보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 그 이상성을 다 벗어버리면 결국 숯으로 남는 게 아닌가… 어떤 사물이 가진 일상성과 현실성을 벗고, 가장 에센스만 남는 것. 어떻게 보면 숯이 모든 사물의 마지막 상징적 모습일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숯은 죽은 듯 보여도 사실 굉장한 에너지를 머금고 있죠. 다시 불이 될 수 있고, 다시 타서 에너지를 낼 수도 있고. 그 점이 숯을 바라보는 이로 하여금 생각이나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한국인으로서 유럽에서 작가 커리어를 이어가는 데 동양적 재료인 숯이 유리하게 작용한 면도 있을 것 같습니다. 동양적 재료라는 점이 유리한 것만은 아니에요. 아프리카 사람들이 아프리카 토속 가면을 두고 그게 ‘우리 문화’라고 자꾸 얘기하면, 다른 나라 사람들은 그게 아무리 좋아도 하나의 이국적인 취향으로 거리를 두고 볼 겁니다. 결과적으로 그 유명한 가면은 아프리카라는 틀에 갇혀버리죠. 저도 그런 우려를 했어요. 동양적이라고 너무 부각하는 건 별로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근래 국제적인 주목을 받는 한국 작가들의 큰 흐름에서 봤을 때 ‘이 재료가 여러 문맥상 타당하다’라고 생각하는 시선은 있겠죠. 그게 문화권에 대한 호기심을 부를 수도 있고요.

동양, 숯, 이배 작가, 그리고 서양. 그 점들을 어떻게 연결해 가셨나요? 숯 자체로는 하나의 메시지가 될 수 없어요. 숯이 어떤 감성과 어떻게 만나느냐가 중요합니다. 서양의 논리로는 한국, 일본, 중국의 문화를 공감하지 못하는 게 많거든요. 예를 들어 ‘여백’, ‘기운생동’ 이런 말은 서양 미술 사전에는 없는 용어예요. 현대 사회가 어쨌든 서양인이 기틀을 만들었기 때문에 동양은 서양을 이해하는 게 학습됐지만, 서양은 동양을 이해할 수 있는 코드가 적죠. K–POP은 그 원료 자체가 동양적이라고 할 수는 없잖아요. 그런데 미술은 전통이나 관습이 만들어온 삶의 양식이기 때문에 상대를 이해시키려면 적절한 매개가 있어야 합니다. 저에게 매개가 되는 건 서양적인 방법론이에요. 숯을 짓이겨 캔버스에 바르면서 마티에르 효과를 내죠. 하지만 서양 미술의 마티에르가 질감을 만들면서 표면으로 튀어나오는 식이라면, 저는 캔버스에 미디엄이라는 것을 발라 숯가루가 안으로 스며드는 효과를 냅니다. 화선지에 먹물을 먹이는 것처럼요. 똑같은 그림을 캔버스가 아닌 화선지에 그려 서양인에게 들이밀면 누구도 그걸 이해하려고 들지 않아요. 그러니까 동양의 작가가 서양에서 통하려면 개인이 속한 문화권의 정체성을 담으면서도 서양의 프로세스로 설명이 되는, 그런 보편성 역시 지녀야 합니다.

오랜 시간 숯과 씨름해보니, 숯은 어떤 물질이던가요? 결국은, 숯은 자연물입니다. 유화물이나 인공물이 아니라 자연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자연을 한마디로 얘기할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카오스의 세계’라고 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자연이라고 하면 흔히 내 시선과 우리의 관념이 다가갈 수 있는 영역을 말합니다. 전통 가옥에서 대청마루에 앉아 있으면 저 앞에 보이는 산 같은 것. 한마디로 인간의 제도권 안에 있는 대상이죠.

서양에도 물론 토스카나 지방의 잘 정돈된 올리브나무 풍경 같은 자연이 있지만, 서양에서 자연이라고 할 때 떠올리는 개념은 야생에 가까워요. 불어의 소바주(Sauvage) 말이죠. 우리 아버지가 농사를 하시며 그랬습니다, ‘훌륭한 농부는 땅을 잘 제도하는 사람이 아니라 땅의 말을 잘 듣는 사람’이라고요. 땅의 속성을 이해하고 그에 순응하면 땅이 농부를 도와주는데, 농부가 땅을 제도하려고 들면 그게 농부 말 안 듣습니다. 땅이라는 건, 카오스의 세계에 있는 물성은 사람의 뜻을 따르지 않아요. 저 역시 숯을 제 맘대로 할 수 없어요. 대신 숯을 이해하려고 할 때 숯이 비로소 자기 속성을 드러내더군요. 아주 우아하거나 화려할 때도 있고, 때로는 정결하고. 그러다 보니 숯이 가장 숯답게 보일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늘 고민하죠.

사람 말도 안 듣는 그 어렵고 귀한 대상과 30년을 보내셨어요. 숯이 싫어지는 때가 있었겠죠? 2000년대 초반, 그걸 슬럼프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숯이라는 물성에 제가 너무 매여 있어서 저를 좀 자유롭게 하고 싶었어요. 그 시도 중 하나로 ‘제스처’가 나왔죠. 숯가루와 미디엄을 섞어 캔버스 위에 휘갈긴 듯한 형상, 단순한 형태나 기호처럼 보이는 그것들은 다름 아니라 제 몸이 움직인 흔적을 뜻합니다. 제스처라는 건 신체를, 몸짓을 상징해요. 표현된 형상이 주체가 아니라 작가의 몸이 주체이죠. 완성작 자체보다 제가 몸을 움직이는 과정이 핵심입니다.

제스처가 드러나는 작업을 함으로써 몸이 만들어낸 에너지와 그 과정을 담아 내신 거군요. 청도의 작업실에는 대형 설치 작업이 많은 반면, 지금 이 작업실에는 제스처 작업물이 가득합니다. 서예가 연상되는 작업이에요. 조금 의도한 바는 있는데, 완전히 서예는 아니에요. 서양인은 서예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거든요. 현대에서는 비물성적이고 제스처가 빠진 것들이 점점 늘어나는 면도 있는데, 단색화에서는 제스처가 큰 의미를 갖습니다.

브루스 나우먼의 전시를 보다 뛰쳐 나오다

숯에 대해 고민하고 변주를 꾀하는 세월 동안, 절망했다거나 왜 이 예술을 지속하고 있나 생각한 적은 없나요? 예술이 운명이라거나 너무 흥미롭고 즐거워서, 라는 생각은 저에게 별로 없어요. 콤플렉스도 많죠. 제 삶이 너무 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거든요. 예술가인데 사회 현상에 지나치게 관심이 많은 것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어떤 사람은 아무렇게나 그려도 그림이 되는데 왜 나는 안 될까, 뭐 별의별 고민을 합니다. 절망한 경험이라고 하면 작년 11월 뉴욕에서 브루스 나우먼이라는 작가의 개인전을 봤던 때가 떠오르네요. 제가 뉴욕에서 첫 개인전을 앞두고 있으니 그냥 이 사람은 개인전을 어떻게 하고 있나 가서 봤어요. 그런데 전시를 보다가 중간에 뛰쳐나왔습니다.

왜요? 전시를 둘러보기 시작하자마자 감동이 밀려오는데, 어느 순간 숨을 못 쉬겠는 거예요. 못 견뎌서 막 뛰쳐나왔어요. 눈에 보인 식당에 들어가서 에스프레소 한잔 마셨습니다. 그때 제가 무슨 생각을 했느냐면, ‘내가 뉴욕에서 전시회를 한다는 게 너무 허황된 건 아닐까. 내가 양심 있는 사람이라면 그 전시를 해도 되는 걸까.’

그거 아주 영화 같은 장면이었겠는데요! 프랑스 문화 훈장 받은 작가를 호흡 곤란 증상으로 내쫓아버린 그 전시는 대체 얼마나 대단했길래요? 다시 들어 갈 용기가 안 나서 며칠 뒤 가보려다가 혹시 잘못된 감정에 괜히 휩쓸리지 않을까 싶어 또 하루를 건너뛰고… 그러다 며칠 후 다시 가서 봤는데, 정말 꾹꾹 참으면서 봤습니다. 이 사람은 진정 위대하구나 싶더군요. 회화, 조각, 설치, 비디오, 뭘 하든 섬세함과 우아함과 기타 등등 너무나 다양한 걸 다 지녔어요. 그러면서 어떤 건 ‘저건 나도 할 수 있겠다’ 싶게끔 너무 하찮게, 관념 같은 걸 다 빼버렸어요. 머리가 좋고 손재주가 좋아 보이는 미술 앞에서 감동을 받고 힘을 느낄 수는 있죠. 그런데 나우먼은 달라요. ‘예술적’이라는 냄새를 다 버렸어요. 그런데도 섬세하고 강하고 예민한 예술적 요소를 다 집어넣었더군요. 그런 거 보고 있는데 사람이 환장 안 하겠어요?

경지에 도달한 예술가가 내놓을 수 있는 게 그런 건가요? ‘컨템퍼러리’와 제대로 대면하신 셈인가요? 어떻게 보면 그제야 비로소 미국 현대미술에 대한 구체적 느낌을 받았다고 할 수 있어요. 미국이 돈 많고 파워 있는 강대국이고, 페이스북이 태어난 나라고, 뭐 그런 인상이 있긴 했지만 브루스 나우먼을 보고서야 진정 ‘미국은 이런 사람을 만들어낸 곳이구나’ 확 와닿았어요. 그건 경지라기보다는… 그게 개인의 힘 같지는 않아요. 뛰어난 사람 혼자 예술 한다고 해서 이뤄질 일이 아니었어요. 뭐랄까, 나우먼은 감동을 주려고 하지 않아요. 테크닉이니 뭐니 다 빼버리고 너무나 평범하고 하찮은 걸, 그 딴에는 그런 걸 넣어둔 거죠. 그러니 더 감명 깊어요, 그 역동성이. 그때 휘트니 뮤지엄에서 앤디 워홀 대규모 회고전도 하고 있었는데 그건 눈에 들어오지도 않더군요.

그 강렬한 경험이 올해 11월 뉴욕 페로탱 갤러리에서 하실 개인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겠네요. 네, 이건 함부로 덤빌 게 아니구나, 정말 다르게 생각해야겠구나 합니다. 제가 작년에 파리 페로탱에서도 개인전을 했어요. TV와 라디오, 저널 등 유럽 언론 150여 군데에서 전시 소식을 다뤘어요. 상업적으로도 성과가 있었죠. 그때 전시한 작품을 그대로 뉴욕에 가져왔을 때를 상상해봤습니다. 이런 말 하면 파리 사람들이 저를 미워할 수도 있는데, 그 작품 그대로 뉴욕에서 전시하면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것 같지가 않더군요. 프랑스에서는 나 별로 관심 없다는 의미를 아주 좋게 표현하면 ‘세 누보’라고 해요. 그런데 미국에서는 ‘누보’여야, ‘New’여야 관심을 보여요. 나우먼 전시를 보고 나오면서 그 생각이 딱 들더군요. 미국은 뒤집어놓은 거예요, 유럽의 모든 가치관을. 컨템퍼러리하다는 의미를.

그래서 뉴욕 전시에 관해 어떤 결정을 내리셨나요? 페로탱 뉴욕이 상당히 큰 공간이에요. 그런데 작품을 딱 네 점만 전시하려고 합니다. 최근 그곳에서 전시한 작가는 100점쯤 걸었다고 하더군요. 제 네 점 중 제일 큰 캔버스는 13미터에 5미터 정도 규모가 될 것 같고, 조각 설치는 5미터 정도 높이가 될 듯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가야산 숯을 요즘 굽고 있는데, 숯덩어리 하나의 지름이 제 키만 해요.

새로운 챕터가 시작되는군요. 일을 하는 한, 경력과 나이에 상관없이 도전은 계속되는가 봅니다. 연세 많은 분들도 그래요. 며칠 전에 이우환 선생님과 통화할 일이 있었어요. 현대미술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뉴욕의 디아 비컨에서 얼마 전에 전시를 시작하셨어요. 그 거대하고 상징적인 공간을 이우환으로 채웠다니 대단한 일이죠. 정말 축하합니다, 했더니 답변이 멋졌어요. “별로 칭찬받을 만한 정도는 아닌데, 그래도 지금 막 열심히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우환 작가가 지금 막 열심히 해보려고 하는 사람이면 다른 인생들은 대체 얼마나 어떻게 열심히 해야 하는 걸까요… “열심히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 말을 듣고 새삼스럽게도 ‘아, 예술가구나’ 했어요.

작가 생활을 통해 이배에게 현재 남아 있는 교훈은 뭔가요? 작가라는 존재는 외부를 탓할 수가 없어요. 뭐든 자기 책임입니다. 모든 게 자기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늘 적극적이어야 하죠. 물론 이건 작가에만 해당하는 얘기는 아니고 일반적인 삶에 적용되기도 할 테지만, 현실이 발목을 잡을 때가 어렵죠. 제 그림은 제 나이 마흔다섯 전에 팔린 적이 없어요. 예술가에게는 그런 현실을 밀고 나갈 힘도 필요하거든요. 현실에 빠져들면 안 되는데, 또 현실을 외면해서도 안 돼요. 어떻게 보면 현실과 비현실, 초현실, 혹은 현실과 이상의 경계를 사는 기분이기도 합니다. 작가가 아닌 사람도 꿈과 현실을 같이 안고 있죠. 꿈이 없는 현실을 갖고 있으면 현실이 지옥 같고 재미없을 거예요. 꿈은 있는데 현실이 못 받쳐준다면 늘 괴로울 겁니다. 그 사이의 밸런스를 찾는 일은 특히 나 작가에게는 말 그대로 피부에 와닿는 체험이에요.

그럼 작품이 처음 팔리기까지 어떻게 버티셨나요? 돈도 필요하고 정신도 필요한 일이잖아요. 배고픔은 시간이 지나면 잘 기억이 안 납니다. 열망이 일어나지 않는 게 더 힘들죠. 예를 들어 배가 고픈 경우와 머리가 고픈 경우, 고통은 배고픔 쪽이 클 텐데 충격은 머리 고픔 쪽이 더 강한 것 같아요. 열망을 이루려고 애쓰는 와중에 배가 고픈 건 그런대로 잘 넘길 수 있었어요. 물론 꿈과 열망이라는 걸 구체적으로 정해놓고 사는 사람은 많지 않죠. 결국 그런 말은 다 애매할 수 있고, 그저 삶에는 속에서 뭔가 울렁거림이 있어야 하는 것 같아요.

젊은 작가들에게는 어떤 조언을 하십니까? 교류할 시간이 별로 없어요. 하지만 할 수 있다면 해외에 가능한 한 자주 나가라고 합니다. 바깥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라고요. 현대에서 제일 안 좋은 타입의 작가는 작업실에 처박혀 작업하는 작가예요. 한국에는 열심히 하는 사람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외부와 소통하길 두려워하는 경우를 많이 봤어요. 작가가 움직이면 화랑도, 컬렉터도, 그 주변 친구도 움직이게 됩니다. 내가 밖으로 자주 나가면, 밖에 있는 사람이 안으로 들어올 일이 생겨요.

양혜규 작가 같은 분은 나가서 아예 잘 안 들어오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웃음). 양혜규, 서도호 같은 이들은 아직 밖에서 할 일이 많을 거예요. 요즘에는 한 작가의 작품을 안 보고 전시나 소장처 같은 이력서와 데이터만 봐도 그 작가가 어느 정도 읽힙니다. 작가로서의 성실함을 포함해서요. 그런 데이터로 보면 그 두 사람만 한 작가가 한국에 없을 겁니다.

요즘 작가로서의 큰 관심사는 뭔가요? 뉴욕에서 제가 어떤 평가를 받을지, 그게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컨템퍼러리라는 세계적인 관문에 들어갈 수 있나 없나에 대한 테스트가 되겠죠. 뉴욕에는 이제야 저를 알리는 수준이지만, 그 과정을 넘어서면 제가 훨씬 자유로워질 거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미국 현대 미술 작가

다음은 Bing에서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 현대미술
  • 현대미술사
  • 현대미술작가
  • 현대미술이해
  • 현대미술소개
  • 현대미술강의
  • 현대미술아티스트
  • 현대미술 아티스트
  • 현대미술 작가
  • 현대미술 설명
  • 이불작가
  • 서도호
  • 백남준
  • 양혜규
  • 크리스토 잔클로드
  • 펠릭스곤잘레스토레스
  • 낸 골딘
  • 올라퍼 엘리아슨
  • 뱅크시
  • 미술
  • 국립현대미술관
  • 예술가
  • 예술
  • 미술작가
  • 미술유튜버
  • 예술유튜버
  • 서양미술사
  • 서양미술사 강의
  • 서양미술사 이해
  • 서양미술사 정리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YouTube에서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꼭 알아둬야 할 현대미술 작가 15인-1편】 이들을 알아야 현대미술을 말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Must-know 탑클래스 아티스트. 현대미술의 이해. | 미국 현대 미술 작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흑인 초대 남 | (실화사연)신혼여행중 흑형과 4일동안 받아낸 아내 흑형 못잊어 이혼후 떠나 #드라마사연 #라디오사연 #사연읽어주는 #실제상황 #라디오드라마 상위 115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