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상위 216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고북이 [경제 알려주는 동생]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5,173회 및 좋아요 39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그래도 양도세 낼 수 있으면 행복한 걱정인걸까..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양도소득세 계산기 – 해외주식 – | 하이투자증권

양도소득세 산출내역에 포함될 총 양도/취득가액 및 제비용금액을 원화로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양도소득세 계산 입력. 양도가액 입력, 원. 취득가액 입력

+ 여기에 표시

Source: www.hi-ib.com

Date Published: 9/29/2022

View: 7413

구글주식 양도세 계산기 | TAXLY.KR

구글주식 양도소득세 계산기. 1년 동안 총 매도 금액은? 원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taxly.kr

Date Published: 12/7/2022

View: 5072

양도소득세계산 – 국세청 홈택스

양도소득세란 토지나 건물과 같은 부동산이나 분양권, 골프회원권, 주식등을 팔 때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이 자동세액계산 프로그램은 자산별로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teht.hometax.go.kr

Date Published: 6/25/2021

View: 9130

양도세계산기 – 찾아줘 세무사

양도세 계산기. 양도소득세란 토지나 건물과 같은 부동산이나 분양권, 골프회원권, 주식등을 팔 때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양도세.

+ 여기를 클릭

Source: www.findsemusa.com

Date Published: 6/25/2022

View: 792

세금계산기 – 스톡옵션 양도세 증여세 소득세 보유세 – 양도박사

양도박사 계산기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요! 간편 스톡옵션 계산기. 제3자 양도 여부. 양도함 양도안함. 스톡옵션 행사 일자. ​. 스톡옵션 부여받을 주식 수.

+ 여기에 표시

Source: yangdo.co

Date Published: 3/4/2021

View: 5528

주식등 양도소득세 – 국세청

주식양도차익 과세대상자인 대주주 요건(소득세법 시행령 §167의8①) 등 … 양도소득과 국내 비상장주식 양도차손을 통산하여 △100만원으로 계산 → 소득세 없음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nts.go.kr

Date Published: 5/16/2021

View: 1591

양도소득세 – 1등 주주 관리 서비스, ZUZU

비상장주식을 팔면 꼭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신고해야 해요. …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려면 먼저, 내가 주식을 팔아 얻는 이익(양도차익)이 얼마인지 알아야겠죠?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zuzu.network

Date Published: 11/3/2022

View: 6416

"슬슬 챙기셔야죠?"…3초 만에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

그리고 여기에다가 증권거래수수료나 양도세신고비용 등과 같은 필요경비를 한번 더 빼줍니다. 그러면 양도차익이 계산되는데요. 여기에서 1년에 250만원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wowtv.co.kr

Date Published: 8/8/2022

View: 5451

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전략은?! – 네이버 블로그

주식 양도소득세는 실지거래가액을 원칙으로 계산. ○ 재매수, 증여 등 활용하여 보유주식 관리. ​. ​.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납부의무가 있는 …

+ 여기에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27/2021

View: 3866

주식 양도세 계산기 및 계산 방법

미국주식에 직접 투자한 K씨는 양도세를 얼마나 내야 할까요? 해외주식 투자에 따른 양도세는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등을 차감한 양도차익에서 1 …

+ 더 읽기

Source: 453010star.tistory.com

Date Published: 7/29/2021

View: 488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 Author: 고북이 [경제 알려주는 동생]
  • Views: 조회수 25,173회
  • Likes: 좋아요 391개
  • Date Published: 2020. 6. 2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4FIDgMvCfA

구글주식 양도세 계산기 | TAXLY.KR

‘서학개미’라면 올해 결정하세요…내년 세금이 달라집니다

직장인 강모씨는직장 내의 서학개미 열풍에 동참하여 미국주식을 올해 처음으로 매수했다. 국내주식과 달리 해외주식은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고 한다. 연말이 다가오니 이제 매도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동료들의 이야기도 들린다. 무슨 소리지? 주식투자에도 기간이 설정되어 있나?해외주식을 처분한 경우 예정신고 없이 양도소득세 확정 신고 기간인 다음 해 5월 말까지 신고 납부 해야 한다. 국내 증권사들은 양도세 신고를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 pxhere]해외주식 양도소득세의 기본구조는?국내주식은 현행 세법 기준으로는 비상장주식이거나 대주주인 경우에만 양도소득세를 낸다(2023년부터는 주식 보유액과 지분율에 상관없이 국내주식 처분으로 얻은 이익이 연간 5000만원을 넘으면 금융투자소득세라는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하지만 해외주식은 양도소득세 납세의무가 있다. 해외주식을 처분한 경우 예정신고 없이 양도소득세 확정 신고 기간인 다음 해 5월 말까지 신고 납부해야 한다. 국내 증권사들이 양도세 신고를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신고·납부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먼저 양도가액에 취득가액과 필요경비를 차감해 양도차익이 계산된다. 만일 양도소득세 신고·납부 대상인 국내주식에 대한 양도차익도 존재한다면 합산한다. 2019년 개정세법에 따라 국내, 해외주식 중 손실이 발생한 경우 손익통산이 허용됐다. 이 양도소득금액에 양도소득 기본공제를 제한 뒤에 산출된 과세표준에 세율(단일세율 20%, 개인 지방소득세 불포함)을 곱해 산출세액이 계산된다. 여기에 세액공제와 감면 등을 적용하면 최종 납부할 세액이 결정된다.올해 안에 매도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은 바로 ‘양도소득 기본공제’ 때문이다. 양도소득세 산출 시 연간 250만원의 기본공제를 적용해 주는데, 이 공제액은 한 해를 넘어가면 누적되지 않고 사라진다.예를 들어 3년간 보유 후에 해외주식을 처분했을 때 기본공제는 한 해당 250만원의 3배인 750만원이 아니다. 처분하는 해에만 250만원을 공제받을 수 있다.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계속 상승세에 있고 내년에 더 오를 것 같다는 판단이 든다고 가정해 보자. 취득금액보다 250만원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올해 안에 팔면 250만원까지는 세금을 안 낼 수 있다. 처분한 뒤 바로 다시 취득하면 세금을 안 내고 250만원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하지만 처분 없이 내년까지 계속 보유하고 있는 경우 주식가액이 계속 더 올라 당초 취득금액보다 500만원 이상으로 상승한다고 가정해보자. 내년에 모두 처분하면 양도차익 500만원에 250만원을 공제한 과세표준 250만원에 세율 22%(개인 지방소득세 포함)에 해당하는 세금 55만원을 내야 한다. 반면에 전자의 상황에서는 내년에도 250만원의 공제를 또 적용받아 세금을 안 낸다. 올해와 내년에 걸쳐 세금 없이 500만원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올해에 한 번 끊어가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될 수 있다.2023년부터는 금융투자소득에 대해서 상당한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바뀐 세법을 숙지하는 것부터가 절세의 첫 걸음이다. [사진 pxhere]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할 때 주의할 점은?첫째로 환율문제가 있다. 해외주식이기 때문에 주식 금액뿐 아니라 환율에 따라서 양도차익이 달라질 수 있다. 환율 적용의 원칙은 양도가액은 양도대금이 입금되는 날의 환율, 취득가액이나 필요경비의 경우 결제대금이 출금되는 날의 환율을 적용한다. 여러 번에 걸쳐 수령 혹은 지출하는 경우에는 각각 입금 혹은 출금되는 날의 환율을 적용한다.두 번째로 동일종목을 수차례에 걸쳐 취득 또는 양도한 경우에 어떻게 취득금액이 결정되는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소득세법 제162조 제5항에 따르면 먼저 취득한 것을 먼저 처분한 것으로 보는 선입선출법으로 양도차익을 산출한다. 하지만 주식의 취득과 처분을 대행해주는 증권사 전산에서 이동평균을 적용하는 경우 이동평균법도 가능하며, 연도별로 선입선출법과 이동평균법 중에 선택이 가능하다는 예규(국제세원-229, 2010.5.10.)도 있다.소득세법에서는 선입선출법이 원칙이나 증권사의 시스템에 따라서는 선입선출법이나 이동평균법 모두 인정된다는 의미다. 자칫 극단적인 경우 선입선출법으로 계산할 경우에는 양도차익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 이동평균으로 계산할 때에는 발생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어떤 증권사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내가 올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느냐 안 내도 되느냐가 갈릴 수도 있다.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할 수 있는 꿀팁은?소득세법에는 흔히들 이월과세라고 부르는 규정이 있다. 거주자가 양도일로부터 소급하여 5년 이내에 그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자산’의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취득가액은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의 취득 당시의 금액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 ‘자산’에는 토지, 건물, 분양권, 회원권 같은 자산이 적용된다. 주식은 아직 이월과세가 적용되는 자산에 포함되지 않는다.따라서 급등한 주식을 배우자 간 증여재산공제액인 6억원 내에서 증여한 뒤 바로 처분할 경우 양도차익이 계산되지 않아서 절세가 가능하다. 다만, 이 방법을 시행할 때 10년 이내에 해당 주식 증여 이외의 다른 증여재산이 있는지 등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2023년부터는 주식도 이월과세가 적용된다. 다만 소급기간은 1년이다.2023년부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어떻게 달라지나?2023년부터는 상장 국내주식의 양도차익에 대해 대주주가 아니어도 과세된다. 국내 금융투자소득의 합계에 대해서는 5000만원, 해외주식은 기타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되어 현행과 같이 250만원의 기본공제가 적용된다. 국내와 해외의 손익을 통산한 뒤 현행 세법에는 없던 이월결손금 공제를 적용하고 22%(개인 지방소득세 포함)로, 과세표준이 3억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7.5%(개인 지방소득세 포함)로 과세된다. 이월결손금 공제란 각 과세기간 직전 5개 과세 기간에 발생한 결손금으로서 그 후 각 과세기간의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공제되지 않은 금액을 공제해 주는 것을 말한다.개정된 세법이 시행되는 2023년부터는 금융투자소득에 대해서 상당한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바뀐 세법을 숙지하는 것이 절세의 첫걸음이다. 개정된 세법이 시행되기 전에 활용할 절세 기법을 실행할 수 있다면 서둘러야 한다. 새로운 조세제도 안에서의 절세방안 또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양도세 계산기 양도소득세란 토지나 건물과 같은 부동산이나 분양권, 골프회원권, 주식등을 팔 때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해당되는 정보를 선택 및 입력 해 주세요. *2022년 개정사항 반영 양도세 세율 보기 양도물건종류 토지 주택 상가 외 양도일자 2022.5.10~2023.5.9 사이에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가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중과세율 대신 기본세율이 적용됩니다. 취득일자 보유기간은 장기보유특별공제와 단기매각에 따른 세율에 영향을 끼치며, 15년이상인 경우에는 장기보유특별공제가 동일합니다. 실 거주 기간 1년 미만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이상 실지양도가액 원 공동 명의(5:5)인 경우 실제 매각 금액

공동명의(5:5)로 취득한 경우에도 본인 소유지분을 포함한 주택전체매각금액을 입력해 주세요.만약 공동명의(5:5)로 취득한 경우에는 위의 선택상자를 체크해 주세요. 실지취득가액 원 실제 매입 금액

공동명의(5:5)로 취득한 경우에도 본인 소유지분을 포함한 전체 취득금액을 입력합니다. 필요경비 원 부동산을 취득하면서 부담한 경비(취득세,중개수수료,발코니확장비용,법무사 수수료등)를 입력합니다.공동명의(5:5)로 취득한 경우에도 전체 경비를 입력합니다. 비사업용토지 해당여부 예 아니오 양도하는 토지 지정지역 해당여부 예 아니오 1세대1주택 비과세 해당여부 예 아니오 양도하는 주택 조정지역 해당여부 예 아니오 양도주택 소재지

– 서울 : 전 지역

– 경기 : 과천, 성남, 하남, 고양(삼송택지개발지구, 원흥·지축·향동 공공주택지구, 덕은·킨텍스 1단계도시개발지구, 고양관광문화단지), 남양주 다산동·별내동, 동탄2지구, 광명, 구리, 안양 동안, 광교지구, 수원 팔달구, 용인 수지구·기흥구, 수원 영통·권선·장안·안양 만안구, 의왕, 양주, 의정부

– 인천: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 부평, 계양, 서구

– 대전 : 동구, 중구, 서구, 유성, 대덕

– 세종시 : 전 지역

– 충북 : 청주(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문의면, 남이면, 현도면, 강내면, 옥산면, 내수읍, 북이면 제외) 주택보유수 선택 1주택 2주택 3주택 이상 양도소득기본공제 2,500,000 원 부동산과 그 권리, 유가증권(주식), 파생상품 매도시 1과세연도 중 각각 250만원 1회 공제 초기화 계산

1등 주주 관리 서비스, ZUZU

핵심콕콕💚

비상장주식을 팔면 양도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신고해야 해요.

주식을 팔아 얻는 이익(양도차익)이 클수록 세금도 많아져요.

양도소득세

양도차익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려면 먼저, 내가 주식을 팔아 얻는 이익(양도차익)이 얼마인지 알아야겠죠? 주식을 얼마에 취득했는지, 얼마에 주식을 팔았는지, 총 몇 주를 팔았는지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

양도차익 = [ 1주당 얼마에 팔았는지(양도가액) – 1주당 얼마에 취득했는지(취득가액) ] X 양도한 총 주식 수

예를 들어볼게요. 창업자인 대표님이 다른 분에게 1주당 200,000원에 총 100주를 양도했어요. 대표님은 창업할 때 주식을 취득했기 때문에 1주당 취득가액은 액면가와 동일하고, 액면가는 1,000원이에요. 그럼 양도차익은 ( 200,000 – 1,000 ) x 100 = 19,900,000원이에요.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양도소득세 = 과세표준(양도차익 – 기본 공제 250만원) X 양도소득세율

양도차익에서 기본 공제되는 250만원을 뺀 것을 과세표준이라고 해요. 과세표준에 양도소득세율을 곱해 내야 할 세금을 계산할 수 있어요.

위 예시에서 양도차익은 1,990만원이었는데 기본 공제 250만원을 빼고 나면 1,740만원이 되어요. 여기에 양도소득세율을 곱하는데, 세율은 대주주인지, 소액주주인지에 따라 달라요.

보유 기간 세율(지방세 미포함) 대주주(지분 4% 이상) 1년 미만 양도차익의 30% 1년 이상 과세표준 3억원 초과 구간: 25%

과세표준 3억원 이하 구간: 20% 소액주주(지분 4% 미만) 10% (보유 기간, 과세표준 무관)

예시에서 대표님이 대주주고, 1년 이상 주식을 보유했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럼 과세표준 1,740만원에서 양도소득세율 20%를 곱해 나온 348만원만큼 양도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하시면 되어요.

어디에, 언제까지 신고해야 하나요?

주식을 상반기(1월~6월)에 거래 하셨다면 당해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신고

주식을 하반기(7월~12월)에 거래 하셨다면 이듬해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신고

거래일이 속한 반기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세무서나 홈택스에 신고하셔야 해요. 홈택스에서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납부하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

지방소득세

지방소득세는 양도소득세의 10%예요. 홈택스·손택스를 통해 양도소득세 전자신고 시 위택스 전자신고와 연계해 지방소득세를 신고·납부할 수 있어요.

알아두면 좋아요

대주주, 소액주주를 구분할 때는 친족 등 특수관계인의 주식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해요. K-OTC에서 거래하면 양도소득세를 과세하지 않아요. K-OTC는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 비상장주식 매매거래 장외시장이에요. 시가와 양도가액이 많이 차이나면 과세 관청에서 고가양도 또는 저가양수에 대한 소명 요구가 들어올 수 있어요.

비상장주식 시가는 어떻게 계산해야 하나요?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비상장주식 가치 평가 방법이 따로 있어요! 이에 맞추어 계산한 시가로 양수, 양도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특히, 액면가로 주식을 팔 때 시가와 차이가 많이 나면 국세청이 증여세를 과세할 수도 있어요. 주주간 계약서에 의해 액면가로 양도할 의무가 있다고 해도 과세 예외는 인정되지 않아요. 꼭 현재 주식의 가치를 먼저 알아보셔야 해요.

증여세는 이럴 때 부과되어요

시가로 거래할 때와 현재 거래 대금이 3억원 이상 차이날 때

대주주가 시가와 양도가액이 30% 이상으로 주식양수도 거래할 때

세금 지출을 줄이려면 꼭 시가 평가부터 하신 뒤 적정 거래 가격을 찾아보세요.

주식을 양도할 때는 증권거래세도 신고, 납부하셔야해요!

“슬슬 챙기셔야죠?”…3초 만에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김보미의 뉴스카페]

두 번째 이슈 살펴볼까요?두 번째는요, 올해 해외주식 투자로 웃고 계실 서학개미 분들을 위한 내용으로 준비했습니다.바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인데요.연말까지 이제 두 달정도 남았으니까 지금부터 준비를 슬슬 하셔야 하거든요.그래서 ‘3초 만에’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저는 이 세금 참 아무리 들어도 어렵던데 3초만에요?오늘은 무슨 수능 1타 강사같은 느낌입니다.그런데 신고·납부 기간이 내년 5월이라면서요. 벌써 준비를 하나요?앵커가 말씀하신 것처럼, 신고하고 납부하는 기간은 내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가 맞습니다.그런데 세 부과대상이 ‘올해’ 해외주식 매매차익입니다.올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안에 결제가 완료된 해외주식 매매차익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한다는 거죠.그런데 사실 우리 모두는 이왕이면 조금이라도 세금을 덜 내고 싶잖아요.그러려면 내가 투자하고 있는 종목 중에서 어떤 걸 연말까지 먼저 팔아야 하고, 또 어떤 걸 내년까지 들고가야 할지 지금부터 이제 슬슬 그림을 그려나가야 하거든요.그래서 조금 일찍 이 내용을 가져온 겁니다.그렇다면 바로 내용 살펴보죠.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는 겁니까?자료를 같이 보시겠습니다.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법인데요.종목별로 [내가 판 가격]에서 [내가 산 가격]을 뺍니다.그리고 여기에다가 증권거래수수료나 양도세신고비용 등과 같은 필요경비를 한번 더 빼줍니다.그러면 양도차익이 계산되는데요.여기에서 1년에 250만원까지는 공제를 해주거든요. 그래서 250만원을 또 빼줍니다.이제 하나만 더 하면 되는데요.여기에다가 지방세를 포함한 세율 22%를 곱해주면 최종적으로 내가 내야 할 세금이 나옵니다.이게 끝이에요.그러니까 수익을 250만원까지는 공제해주고 그 이상 벌어들인 소득에는 22%를 떼간다 이거잖아요.생각보다 별로 안어려운 걸 너무 어렵게 설명한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그렇게 보이시겠지만 이렇게 설명한 이유가 다 있습니다.여기에서 몇 가지 알고 계셔야할 부분들이 있는데요.첫 번째,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손익통산이 가능하다’라는 점입니다.내가 투자한 종목이 여러 개일 때 어떤 건 손실을 봤고, 어떤 건 이익을 봤고 이렇게 섞여있잖아요.그렇다면 이걸 다 합해서 최종 양도차익을 계산한다는 겁니다.예를 들어볼까요?앞에서 얘기한 계산법대로 종목마다 하나하나 양도차익을 다 계산했어요.그랬더니 테슬라로는 700만원 이익을 봤고, 애플로는 100만원을 벌었고, 모더나는 300만원 손실을 안고 매도를 이미 한 거에요.그럼 이걸 다 더하면 500만원이잖아요. 이게 최종 양도차익이라는 겁니다.여기에서 기본 공제액 250만원을 빼고 세율을 곱하는 거죠.올해 안에 수익이 난 주식을 팔 때, 이왕이면 손절할 주식도 같이 팔아버리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세금을 줄일 수 있다 이거죠?네 그렇습니다.이 부분 때문에 지금부터 슬슬 준비를 하셔야 된다고 말씀드렸던 겁니다.근데 꼭 그렇게 팔아서 손절하고 나면 그제서야 오르더라는 거죠.네네. 이미 떠난 버스는 돌아보지 마시고요.그리고 두 번째는요.‘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은 결제일 기준 환율로 계산한다’라는 점입니다.매매일 기준 환율이 아니라는 거죠.결제일 기준이랑 매매일 기준이 어떻게 다른거에요?그러니까 보통 주식을 매매를 하고 나면 실제 결제가 이뤄지는 건 며칠 뒤잖아요.미국같은 경우 매매후 3일 뒤에 결제가 이뤄지는데 이 때 실제로 결제가 이뤄지는 날의 환율을 기준으로 세금이 정해지게 된다는 거죠.그러면 매매당시에 달러 기준으로는 손해를 보고 팔았는데, 나중에 결제할 때 환율이 바뀌는 바람에 수익이 나서 세금을 더 내야하는, 그런 상황이 올수도 있겠습니다.그런데 잠깐! 김 기자, 아까 3초만에 세금 계산하는 방법 알려준다고 하지 않았어요?이 방법으로는 어림도 없을 것 같은데요.기본 구조는 아셔야 될 것 같아서 자세히 설명을 드린 거구요.지금부터 말씀드릴게요.바로 여러분들이 쓰고 계시는 증권사 HTS나 MTS를 활용하시는 겁니다.증권사들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미리 계산하기 기능을 제공을 하고 있는데요.자료화면에서 보시는 것처럼, HTS나 MTS 메뉴 검색창에 ‘양도’라는 글자를 쓰시면 관련 메뉴가 뜰 겁니다.제가 예시자료를 준비했는데요.이렇게 보시면 내가 투자한 종목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각 종목들을 내가 얼마에 샀고 얼마에 팔았는지 등을 포함해서 최종적으로 내가 내야 할 양도소득세 예상치를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그런데 만약에 나는 증권사를 여러개 쓴다 하시는 분들은요.각 HTS/MTS를 모두 조회하셔서 합산해야 합니다.이런 간편한 기능이 있었네요.이왕이면 해외투자는 증권사를 하나만 쓰는게 낫겠습니다.해외 주식투자에 대한 세금을 알아봤는데 ETF 투자를 한 것도 똑같이 세금을 내야 하는 거죠?네 그렇습니다.여기에서 해외ETF는 해외증시에 상장되어있는 ETF를 말하는 거구요.예를 들면 QQQ나 SPY, DIA 등이 있겠죠.종목명 앞에 INVESCO, SPDR, VANGUARD 등이 붙어있다면 여기에 해당됩니다.그런데 국내 증시에 상장되어있는 해외 ETF는 국내 투자로 분류가 됩니다.종목명 앞에 KODEX, KINDEX, KBSTAR, TIGER, ARIRANG 등이 붙어있다면 여기에 해당됩니다.이 경우에는 배당소득으로 분류돼서 배당소득세 15.4%가 부가됩니다.마지막으로 그렇다면 지금 해외주식 투자자들이 체크해야 할 사항, 어떤게 있는지 정리해볼까요?앞에서 잠깐 말씀드렸는데요.내가 내년에도 들고 갈 종목과 올해 말까지 매도를 할 종목을 슬슬 구분해보셔야 합니다.가계산을 해봤더니 양도세를 꽤 내더라 하시는 분이라면, 내 포트폴리오 상에서 이미 손절 구간에 들어온 종목이 있는지 체크를 해보시는 거죠.과감하게 해당종목을 매도한다면 그만큼 전체 양도차익을 줄일 수 있으니까요.단, 해외주식의 경우 각 나라별로 결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하는 나라의 결제일을 확인하고 올해 말까지 매도결제를 마쳐야 합니다.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T+3이라고 되어있는데요.주문한 날로부터 3영업일 뒤에 결제가 된다는 의미입니다.또 휴일의 경우에는 영업일 계산에서 제외가 되기 때문에 이 부분도 미리 계산을 하셔서 매도를 하셔야 합니다.미국은 11월 25일부터 26일 추수감사절 연휴가 있고요. 24일은 크리스마스라서 휴장합니다.일본과 대만은 12월 31일, 홍콩은 12월 27일과 31일, 독일과 프랑스는 12월 24일과 12월 31일에 쉽니다.영국은 12월 24일, 27일, 28일, 31일이 휴장일입니다.만약에 매도하지 않고 내년까지 들고간다면 어때요? 세금이 붙지 않는 거죠?네. 미실현수익이기 때문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그 방법도 이용해볼 수 있겠네요. 그럼 매도를 하긴 해야겠는데, 250만원이 넘어서 세금을 피할 수 없는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행복한 고민이네요.그럴 때는 물론 세금을 정직하게 내셔야 겠지만 조금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긴 있습니다.수익 실현금액을 연금저축, 개인형퇴직연금 IRP계좌에 입금하는 방법입니다.계좌에 입금만 해도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거든요.물론 연금 계좌 내에서 종목 투자든 ETF투자든 원하시는 대로 하셔도 되고요.연금저축과 IRP를 합쳐서 연 700만원까지는 연말정산을 통해서 16.5% 세액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이 부분을 활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주식을 증여하는 방법을 통해서 내야 할 세금을 줄일 수 있는데요.다만 이 부분은 본인의 자산규모나 사전에 증여한 내역 등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고 까다롭기 때문에 세무사를 통해서 직접 상담을 받아보시는 게 좋겠습니다.지금까지 김보미 기자였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전략은?!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납부의무가 있는 세법상 대주주 요건이 내년 4월 1일 이후 매도분부터 시가총액 기준으로 현행 15억원 이상에서 10억원 이상으로 변경 적용될 예정이며, 2021년 4월 1일 이후 주식 매도분부터는 시가총액 3억원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에 지난 시간에는 대주주 요건 및 주요 체크포인트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세법상 대주주인 경우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법상 대주주는 직전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지분율 또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지난 달 내용 중 핵심이 되는 세법상 대주주 요건에 대해 다시 한번 간단히 보자면, 직전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본인 및 그의 특수관계자가 보유한 주식의 시가총액 합계 또는 지분율 합계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세법상 대주주가 되어 매도하는 상장주식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여기서 일정 기준은 시가총액의 경우 코스피, 코스닥 모두 기존 15억원에서 내년 4월 1일 이후 매도분부터는 10억원 이상, ‘21년 4월 1일 이후 매도분부터는 3억원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지분율의 경우 코스피 1% 이상, 코스닥 2% 이상으로 내년 이후에도 동일합니다.

(참고: 내년부터 세법상 상장주식 대주주 범위가 확대됩니다!)

한편, 세법상 대주주 판정시 보유주식 합산하는 특수관계자의 범위는 최대주주인 경우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배우자 및 사실상 지배법인 등이고, 최대주주가 아닌 경우 배우자, 직계존비속, 사실상 지배법인 등입니다. 따라서, 최대주주가 아닌 경우 형제∙자매는 특수관계자가 아니므로 대주주 판정시 형제가 보유한 주식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아빠, 엄마, 아들, 딸이 사업연도 말 현재 각각 3억원씩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세법상 대주주 판정시 아빠나 엄마의 경우 시가총액 12억원으로 세법상 대주주가 되어 내년 4월 1일 이후 매도분부터 양도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하지만, 아들이나 딸의 경우 남매 보유분은 제외하고 아빠, 엄마의 보유분만 포함하여 9억원이므로 세법상 대주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세법상 대주주 판정은 특수관계자가 보유한 주식을 합산하나 대주주 판정만 함께할 뿐 신고∙납부는 인별로 각각 해야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세법상 대주주는 주식매도분에 대해 반기별로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세법상 대주주는 주식 매도분에 대하여 반기별로 묶어 반기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양도소득세를 예정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반기(1~6월) 매도분에 대하여는 8월 말일까지, 하반기(7~12월) 매도분에 대하여는 다음 해 2월 말일까지 신고∙납부해야 하며, 상반기 및 하반기 모두 주식 매도한 경우로서 필요시 상반기 및 하반기 매도분을 합산하여 다음 해 5월 말일까지 확정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한편, 기한 내에 신고∙납부하지 않는 경우 세무서로부터 무신고에 따른 해명안내문을 받을 수 있으며, 본세 외에 무신고 가산세 및 납부불성실 가산세까지 납부해야 함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주식 양도소득세는 실지양도가액에서 실지취득가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계산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의 산정인데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 모두 실지거래가액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취득가액 산정시 주권발행번호 등으로 양도한 주식의 취득시기가 분명한 경우에는 개별법에 따라 그 주식의 실지취득가액으로 하나, 취득시기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먼저 취득한 주식을 먼저 양도한 것으로 간주하는 선입선출법에 따라 취득가액을 산정합니다. 이처럼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및 증권거래세, 금융거래수수료 등 양도를 위해 직접 지출한 필요경비를 제외한 양도차익에서 250만원을 공제한 후 남은 과세표준에 중소기업인지 여부, 과세표준금액 및 보유기간에 따라 최저 20%에서 최대 30%의 주식 양도소득세율을 곱하여 신고∙납부해야할 양도소득세를 계산합니다.

주식 양도세 계산기 및 계산 방법

반응형

주식 양도세 계산 방법 및 계산기

주식 양도세 계산기 및 계산 방법 궁금하신 분들 꼭 보세요. 내년부터 코인 수익에 대한 양도소득세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처럼 똑같이 250만원 이상 수익실현시 발생합니다. 반대로 코인으로 수익 발생하기 좋은 시기는 올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주식 수익 발생시 납부하는 주식 양도소득세 계산방법과 쉽게 계산하는 계산기 정보를 공유해 드립니다.

해외 주식 양도차익, 양도세 부과

국내 상장주식은 주가가 크게 올라도 대주주가 아니라면 팔 때 양도세가 없지만, 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해서 차익이 생기면 양도세를 내야 합니다.

미국주식에 직접 투자한 K씨는 양도세를 얼마나 내야 할까요? 해외주식 투자에 따른 양도세는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등을 차감한 양도차익에서 1인당 1년에 250만원의 기본공제를 차감한 후, 그 금액에 22%(지방소득세 포함)의 세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해외주식 투자 양도세 = (양도차익 – 250만원) × 22%

따라서 K씨가 2억원에 산 미국주식을 4억원에 팔 때 양도세를 계산해 보면, 양도차익 2억원에 대해서 기본공제 250만원을 제하고 22%의 세율을 곱하면 4,345만원이 나옵니다.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은?

양도소득세란 주식을 팔아 차액 이득이

생긴것을 말하는데 우리나라는 매도 기준

250만원 이상 수익을 봤을 경우

양도소득세율 22%

양도소득세20%

지방소득세2% 부과

주식 양도세 계산기

직접 계산을 해도 좋으나

간편하게 증권사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평가 손익 기준이 아닌 실현손익이 기준!!

20년1월 1일 ~ 20년12월 31일동안 수익이며

과세신고납부기한

2021년 5월 31일 즉, 21년도 실현손익금 250만원이 넘었다면

이것에 대한 양도소득세 신고기간은

22년 5월달(1~31일사이) 신고합니다.

21년도 1년동안 주식매매수익은 22년도 5월신고!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양도소득세 어떻게 신고하지?

증권사마다 신고대행을 해주는 곳이 많습니다.

증권사 대행 날짜 기한

키움증권 4월 14일까지

한화투자증권 21년 5월 17일까지(당사만가능)

삼성증권 21년 4월 24일 (당,타사다가능)

신한금융투자 21년 5월 24일까지 (당사만가능)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증권사 신고대행말고도

간단하게 홈택스에서도 신고가 가능하다.

홈택스에서 양도소득세 전자 신고

금액 정확히 입력하시면 됩니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실현손익으로 계산합니다.

A 종목 1000만원 수익실현

B 종목 750만원 손절 했다고 하면

총 누적 수익은 250만원이므로 기본공제 250만원하면

세금 낼 것은 없습니다.

만약 손절한게 없고 A 종목 500만원 매매수익

기본공제 250만원 제외하고 250에 대한 22%세금 납부합니다.

즉 여기서 양도소득세를 절감하는 방법은,

만약 손절해야 할 종목이 있다면 그냥 손절하는것도

방법 중 하나입니다.

증권사나 종목 다 상관없이 총합으로 계산

A증권 200만원 B증권 300만원 벌었다면

총 500만원 수익으로 보고 250만원에 대한 세금을 납부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자진납부 안하면?

무신고 가산세 납부새엑 x 20%

과소신고가산세 납부새엑 x 10%

납부지연가산세 미납세액 x미납기간 x 2.5/10,000

미납기간은 납부기한의 다음날부터 입니다.

주식 양도소득세를 절세하는 방법?

부부간 증여하는 방법도 있다는데

수익난 주식을 배우자에게 증여하면 되고

증여받는 시점이 주식 매수가격이 되서

손익이 0원으로 시작합니다.

부부가 다 주식을 하고있다면 의미없으며

증여재산이 6억원 이내의 경우에만

실제 절세 효과가 발생한다.

​​

​해외주식 배당주 세금 계산

한국의 경우 15.4 % (14% 세금, 지방소득세 1.4)

기준년도 1년동안 모든 금융권에서 받은

이자/배당을 합산하여 2천만원이 넘으면 해당한다.

즉 한달에 166만원까지는 세금 납부할 것이 없다.

배당주 세팅을 절세 방법과 함께

166만원까지만 매달 배당금 들어오게

세팅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보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해외주식 배당주 양도소득세 신고기간

기준년도 다음해 5/1~5/31일 사이

신고 하면 되고 신고하지않으면 20%추가 부과

배당금액 줄여서 신고하면 가산세 10% 부과

위 사항 꼭 기억하시고 즐겁고 행복한 주식투자 하세요.

​국내주식의 경우 23년도부터 국내주식도 2천만원

이득이 생길 시 세금을 내야합니다.

증권거래세는 2022년부터 단계적 인하합니다.

SKIET 공모 일정 증거금 공모주 계좌 개설 순서 주관사 총정리!!

비트코인 시세 사이트 종류 빗썸 [전망]

코인베이스 상장 코인 리스트 37 [상장 예정 코인]

키워드에 대한 정보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다음은 Bing에서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 주식양도세
  • 국내주식양도세
  • 국내주식양도소득세
  • 주식양도세3억
  • 주식양도세전면과세
  • 양도소득세
  • 양도세
  • 주식양도소득세3억
  • 주식양도소득세신고방법
  • 주식양도소득세신고
  • 주식유튜버
  • 주식기초
  • 주식초보
  • 주식공부
  • 주식강의
  • 주식개미
  • 주식세금
  • 주식수수료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YouTube에서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양도소득세 얼마 내는지 계산하는법 | 주식 양도 소득세 계산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사이먼 앤 가펑클 | 사이먼앤가펑클 베스트 히트곡 노래 모음 | 사이먼 \U0026 가펑클의 노래 상위 43개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