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대통령 |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24738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이승만 대통령 –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pilgrimjournalist.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pilgrimjournalist.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tvN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3,769회 및 좋아요 77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 이승만 대통령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어쩌다어른 #설민석 #한국사
프리미엄 특강쇼 [어쩌다 어른] EP166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tvN 어쩌다어른 :
대한민국 대표 강연자들의 다시 보고 싶은 명강의가 새로운 인사이트로 돌아온다!
난생처음 어른이 된 우리를 위한, 각 분야 지식인들의 울림 있는 유머와 깊이 있는 통찰!
[#어쩌다어른] 👏명강의 몰아보기👏
🌈https://bit.ly/2WkJP4g

이승만 대통령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이승만 – 나무위키:대문

이후 한성정부의 집정관총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고 이후 국무위원,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 등을 지내며 주로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광복 …

+ 더 읽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0/23/2021

View: 8007

이승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승만(李承晩, 1875년 3월 26일~1965년 7월 19일)은 대한민국의 개화파·독립운동가·언론인·정치인·교육자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을 거쳐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4/16/2022

View: 3429

이승만(李承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제1, 2, 3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 키워드. 대통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유당. 영역닫기 영역열기 생애 및 활동사항.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encykorea.aks.ac.kr

Date Published: 10/7/2022

View: 8268

이승만 – 우리역사넷

이승만(李承晩)은 대한민국 초대, 2대, 3대 대통령을 역임한 인물이다. 개항기에는 독립협회 등의 단체에서 활동하였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contents.history.go.kr

Date Published: 2/23/2021

View: 415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이승만 대통령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이승만 대통령

  • Author: tvN
  • Views: 조회수 103,769회
  • Likes: 좋아요 779개
  • Date Published: 2019. 3. 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hFuC09yPFw

1875년(고종 12) 황해도 평산군 마산면 대경리 능내동 출생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이승룡(李承龍), 호는 우남(雩南)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16대손으로, 아버지 이경선(李敬善, 1839∼1912)과 어머니 김해김씨(金海金氏, 1833∼1896)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위의 두 아들이 일찍이 사망해 집안에서 장손으로 성장하였다.

1877년 서울로 이사해 낙동(駱洞)과 도동(桃洞)에 있는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1894년 과거제도가 폐지되자, 1895년 4월 배재학당(培材學堂)에 입학하였다. 1896년 배재학당 내에서 청년단체인 협성회(協成會)에 참여하였으며, 협성회의 주간신문인 『협성회회보』를 창간해 주필을 맡았다. 1891년 박승선과 결혼하였다.

1898년에는 러시아의 이권침탈을 규탄하기 위해 열린 만민공동회에 참여하면서 독립협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4월 일간지인 『매일신문』을 창간해 기재원(기자)과 주필을 지냈으며, 8월에는 『제국신문』을 창간해 편집과 논설을 담당하였다. 11월 투서사건으로 독립협회 간부들이 체포되자 이에 대한 항의 시위를 주도하였고, 이들이 석방된 뒤 중추원(中樞院) 의관(議官)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899년 1월 박영효(朴泳孝)와 관련된 고종 황제 폐위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1904년 8월까지 5년 7개월 간 한성감옥에 투옥되었다. 그가 구금된 직후 주한미국공사였던 알렌(Horace. N. Allen)이 이승만의 석방을 요구하였지만 거부당하였고, 1899년 1월 말 탈옥을 시도하다 실패해 종신형을 언도받았다.

이후 감옥에서 『청일전기(淸日戰紀)』를 편역하고, 『독립정신』을 저술하였다. 또한 『신영한사전』을 편찬하였으며, 『제국신문』에 논설을 투고하였다. 『독립정신』은 그가 출옥한 이후인 1910년 LA에서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청일전기(淸日戰紀)』는 1917년 하와이에서 출간되었다.

1904년 8월 9일 특별 사면령을 받고 감옥에서 석방되었다. 같은 해 11월 민영환(閔泳煥)과 한규설(韓圭卨)의 주선으로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1905년 2월 워싱턴 DC의 조지워싱턴 대학(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 2학년 장학생으로 입학한 직후 한국에 왔던 선교사의 주선으로 미국 상원의원 휴 딘스모어(Hugh A. Dinsmore), 국무장관 존 헤이(John Hay)와 면담하였다.

1905년 4월 세례를 받았고, 8월에는 태프트(William H. Taft) 국무장관의 주선으로 시어도어 루즈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과 만났다. 이승만은 이 자리에서 한국의 독립 보존을 청원하였지만 러일전쟁을 계기로 미국은 일본을 지지하는 정책을 취하게 되어 성과를 거두지 못 하였다. 1907년 조지워싱턴대학에서 학사, 하버드대학(Harvard University)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10년 프린스턴대학에서 「미국의 영향 하의 중립론」(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재학 시 미국의 대외정책이 일본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활동하였던 스티븐슨(Stevens, D.W.)을 암살한 전명운(田明雲)과 장인환(張仁煥)의 재판에 통역요청을 받았으나, 미국 사회 내의 부정적 여론을 이유로 거부하였다.

1910년 3월 재미동포 조직이었던 국민회에 가입하였으며, 같은 해 8월 귀국하였다. 귀국 직후 황성기독교청년회(YMCA) 청년부 간사이자 감리교 선교사로 활동하던 중 1912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일제의 압박을 받자, 같은 해 4월 감리교 선교부의 도움으로 미국 미네소타에서 열린 국제감리교대회 참석을 빌미로 도미하였다. 이후 1945년 10월 귀국 때까지 계속 미국에서 활동하였다.

국제감리교대회 참석 후 네브라스카(Nebraska)에 갔다가 1900년대 초 옥중에서 만났던 박용만(朴容萬)의 도움으로 1913년 2월 하와이 호놀룰루(Honolulu)로 활동 근거지를 옮겼다. 같은 해 8월부터 호놀룰루에서 한인감리교회의 한인기독학원을 운영하였으며, 『태평양잡지』를 발간하였다. 이승만은 이 시기 ‘105인 사건’의 실상을 다룬 『한국교회핍박』을 저술하였고, 옥중 저서인 『독립정신』과 『청일전기』를 출판하였다. 또한 ‘한인기독학원’을 ‘한인중앙학원’으로 개명하고 민족교육과 선교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하와이에서 활동한 지 1년이 지날 무렵 박용만이 무력투쟁을 위해 국민군단을 창설하자, 이에 이승만은 교육을 통한 실력양성을 주장하면서 서로 대립하였다. 이승만은 재미동포의 가장 큰 조직이었던 국민회 회장 선출과 자금 사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고, 국민군단의 일본군 선박 폭파미수사건을 계기로 박용만이 하와이를 떠난 후 국민회를 주도적으로 운영하였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의 윌슨(Thomas Woodrow Wilson) 대통령은 ‘민족자결주의’를 주창하면서 국제연맹(The League of Nations)을 구상하였고, 이승만은 한국을 국제연맹의 위임통치 하에 둘 것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1919년 2월 25일 윌슨 대통령에게 제출하여 장차 완전한 독립을 준다는 보장 하에서 국제연맹의 위임통치를 받는 것이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일본이 승전국이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한국 문제는 국제연맹의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이승만은 1919년 3·1운동 직후 노령(露領) 임시정부(1919년 3월 21일 수립)에 의해 국무 급(及) 외무총장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4월 10일 구성된 상해 임시정부에서는 국무총리로, 4월 23일 선포된 한성 임시정부에서는 집정관총재(執政官總裁)에 임명되었다. 1919년 6월에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명의로 각국 지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는 한편 워싱턴에 구미위원부를 설치하였다.

임시정부 규정에 없는 대통령 직책을 사용한 것에 대해 안창호와 갈등을 빚었지만, 상해 임시정부 의정원은 1919년 9월 6일 이승만을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하여 1920년 12월부터 약 6개월 동안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그는 1921년 5월 워싱턴에서 개최될 군축회의(The Washington Disarmament Conference)에 참석을 목적으로 상해에서 미국으로 갔다.

이승만은 워싱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전권 대사로서 한국의 독립 문제를 군축회의 의제로 상정시키고자 하였지만 뜻을 이루지 못 하였고, 1922년 9월 하와이로 돌아갔다. 교육과 종교 활동에 전념하던 그는 1924년 11월 호놀루루에서 조직된 대한인동지회 종신 총재에 취임하였다.

1925년 3월 11일 임시정부 의정원은 이승만을 탄핵해 대통령직을 박탈하였다. 임시정부 인사들은 이승만이 주장한 국제연맹 위임통치안을 미국에 의한 위임통치로 오해하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가 상해 임시정부에서 직접 직책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사실과 함께 임시정부 의정원의 결의를 무시하였다는 것도 주요한 이유였다. 조소앙은 이 탄핵안을 반대하였지만, 대다수 임시정부 요인들이 주도한 탄핵안은 통과되었다. 의정원의 폐지령에도 불구하고 구미위원부의 활동은 1929년까지 계속되었고, 이승만은 여기에서 외교활동을 계속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조병옥, 허정, 장택상 등이 당시 구미위원부의 활동을 도왔던 유학생들이었다.

구미위원부에서 활동하면서 임시정부의 재정을 도맡았던 이승만은 1932년 11월 국제연맹에 한국의 독립을 탄원할 임무를 받고 전권대사에 임명되었다. 1933년 1월과 2월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 회의에서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 때 제네바의 호텔 드뤼시에서 오스트리아인 프란체스카 도너(Francesca Donner)를 만났고, 1934년 10월 뉴욕에서 결혼하였다.

국제연맹에서의 활동이 인정받으면서 1933년 11월 이승만은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선출되었고, 1934년에는 외무위원회 외교위원, 1940년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곧 다가올 태평양 전쟁을 예상한 『일본 내막기』(Japan Inside Out)를 출간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후 이승만은 미국 정부에 임시정부를 한국의 대표로 승인해줄 것을 여러 차례 요청하였다. 그리고 미국 정부에 로비를 하기 위해 한미협회(The Korean-American Council)를 조직하였다. 그러나 재미동포 단체들의 분열로 인해 미국 정부는 1945년 태평양 전쟁이 끝날 때까지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았다.

1942년 8월 29일부터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방송에서 일본의 패망과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방송을 시작하였고, 같은 해 9월에는 미국 전략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과 연락해 임시정부의 광복군이 미군과 함께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활동을 하였다. 또한 태평양 전쟁 시기 미국과 소련이 얄타회담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 합의한 후에는 소련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10월 16일 귀국하였다. 귀국 직전 일본 토쿄에서 맥아더 장군, 하지 미군정 사령관과 회합을 한 후 귀국한 이승만은 조선인민공화국의 주석과 한국민주당의 영수직을 거절하였다. 그 대신 1945년 10월 23일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조직해 회장에 추대되었다.

독립촉성중앙협의회는 초기에 조선공산당과 한국민주당 등 좌우익의 거의 모든 조직들이 참여한 단체였지만, 친일파 처리에 대한 이견과 이승만의 강력한 반공주의로 인해 조선공산당을 비롯한 좌익계 인사들은 모두 이 조직에서 탈퇴하였다.

1945년 12월 28일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서 발표 이후 1946년 1월 8일 국론분열을 막기 위해 한국민주당, 국민당, 조선인민당, 조선공산당 등 좌우익의 주요 정당이 모여 합의한 이른바 ‘4당 캄파’에 반대하였다. 1946년 2월 8일에는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확대 개편하였다.

1946년 2월 14일 미소공동위원회의 개최를 앞두고 미군정이 조직한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에 참여해 의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미군정이 소련군과 타협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 하자 의장직을 사퇴하고 지방 순회에 나섰다. 그는 미소공동위원회에 반대하며, 1946년 6월 3일에는 정읍에서 “남쪽만의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조직이 필요”하다고 발언해 38선 이남에서라도 단독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미소공동위원회가 휴회하자 1946년 12월 미국을 방문해 워싱턴에서 소련과의 타협에 반대하는 활동을 하였는데, 때마침 1947년 3월 12일 트루먼독트린이 발표되면서 이승만의 미국에서의 활동이 국내에 크게 보도되었다. 이승만은 귀국길에 중국에 들렀고, 1947년 4월 21일 장제스[蔣介石]가 제공한 비행기를 타고 귀국하였다.

1947년 9월 미소공동위원회가 완전히 결렬되고, 한반도 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자 유엔 감시 하에서 실시되는 선거에 참여하였다.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동대문구 갑 지역구에 당선되었다. 1948년 5월 31일 국회가 소집되자 선출된 국회의원 중 가장 나이가 많았던 그가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7월 20일 국회에서 선거에 의해 대한민국 대통령에 선출되어 7월 24일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대통령에 취임한 그는 새로운 통치이념으로 ‘일민주의’를 내세웠다. 모든 사람은 국가 앞에서 평등해야 하며, 그 평등 위에서 국가의 이익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1948년 12월 대한민국 정부가 유엔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장면(張勉)을 주미한국대사로 임명하였다.

1949년 반민족행위자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활동으로 일본 및 총독부에협력하였던 인사들을 처벌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고, 농지개혁을 추진·실시하였다. 통일문제에 대해서는 ‘북진통일론’을 주장해 북한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미국이 한국군의 증강을 제한하였으나 미국의 도움 없이 직접 공군 창설을 지시하였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6월 27일 대전에 도전한 후 전쟁경과에 대한 특별방송을 통해 현 전선을 고수하고, 공산주의자들의 전향을 촉구하는 내용을 공표했다. 1951년 11월 19일 자유당을 조직하였다. 또한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게 되어 있는 헌법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것으로 개헌을 추진하였다. 개헌 추진 과정에서 야당이 반대하자 1952년 임시수도 부산에 계엄령을 실시하였고, 같은 해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발췌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새로운 헌법에 의해 1952년 8월 5일 실시된 제2대 대통령 선거에서 74.6%의 지지로 재차 당선되었다.

미국의 정전협정 추진에 반대하며 1953년 6월 18일 반공포로 석방을 지시하였고, 이로 인해 미국 정부와 갈등을 빚었지만, 정전협정에 반대하지는 않되 참여하지 않는 조건으로 미국과 타협하였다. 정전협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조인하였다. 1954년에는 미국을 방문해 의회에서 연설을 하였고,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유엔군사령관 관할 하에 두는 대신 한국에 대한 미국의 군사원조를 약속받는 ‘한미합의의사록’을 체결하였다.

1954년에는 이른바 ‘사사오입(四捨五入) 개헌’을 통해 대통령직 연임 제한 조항이 초대 대통령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도록 개정하였다. 1956년 5월 15일 새로 개정된 헌법에 근거해 대통령 선거를 실시해 56%의 득표로 당선, 제3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전후 복구와 경제부흥을 위해 1956년 경제개발계획을 미국에 제출하였지만, 미국 정부의 거절로 실현되지 못 하였고, 1958년 경제개발계획의 입안과 실시를 위해 산업개발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산업개발위원회는 1960년 1월 산업개발 3개년계획을 발표하였지만 곧 이은 4·19혁명으로 실행되지 못 하였다. 1958년 12월 24일에는 국가보안법 개정으로 미국 정부와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에 부통령 후보 이기붕과 러닝메이트로 출마하였고, 민주당 대통령 후보 조병옥이 선거 중 사망해 무투표 당선되었다. 그러나 3·15부정선거로 4·19혁명이 발발하자 4월 26일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으며, 경무대를 떠나 이화장(梨花莊)에 잠시 머물다 5월 29일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1965년 7월 19일 하와이 호놀룰루 요양원에서 사망하였다. 같은 해 7월 27일 가족장으로 영결식이 있었고,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이승만 [李承晩]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晩)은 대한민국 초대, 2대, 3대 대통령을 역임한 인물이다. 개항기에는 독립협회 등의 단체에서 활동하였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에는 미국에 머물면서 외교독립 노선을 주장했으며, 1919년 상하이(上海)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으나 1925년 탄핵당했다. 2차대전 기간에는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으로서 대미 외교를 벌였다. 1945년 해방 직후 귀국하여 신탁통치 반대운동 및 남한 단독정부 수립 운동을 펼쳤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재임기간 중 3년간의 6·25 전쟁을 겪었다. 1950년대에는 여러 차례의 개헌과 부정선거를 통해 영구집권을 꾀하였으나 1960년 4·19로 대통령 직에서 하야하였고, 그 직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여생을 보냈다.

이승만은 1875년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했다. 그는 세종대왕의 형으로 유명한 양녕대군의 16대손으로, 혈연 상으로는 조선 왕실의 종친이었다. 그러나 이승만의 집안은 직계 7대조로부터 이승만에 이르기까지 벼슬에 오른 사람이나 생원·진사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한 몰락한 왕손 집안이었다. 그러나 자신이 왕족의 가문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은 이승만의 내면에 지속적인 영향력을 준 것으로 보이며, 후일 그가 미국에서 체류하는 동안 대외적으로 왕족 의식을 표명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이승만은 비교적 일찍부터 서구 문물에 눈을 떴고, 이를 바탕으로 1890년대부터 각종 개화 운동에 투신했다. 그는 1895년 미국 선교사들이 설립한 배재학당에 입학했으며, 1896년부터는 배재학당 내의 청년단체인 협성회에 적극 참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언론·정치 분야의 청년 개혁가로 활동을 개시했다. 1898년에는 만민공동회에 연사로 참여하면서 독립협회 활동에 적극 가담했고, 『제국신문』의 논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그러나 이승만은 박영효 쿠데타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1899년 1월 체포·투옥되었다. 이 때부터 이승만은 1904년 8월까지 5년 7개월에 걸친 감옥생활을 하게 되는데, 감옥생활은 역설적으로 이승만이 나름의 사고 체계를 확립하고 독서를 통해 다양한 분야를 학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이승만이 옥중에서 도서실과 학교를 설치해 운영하고, 자유롭게 집필 활동을 하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 기간 이승만은 기독교도가 되었는데, 기독교로의 개종은 이후 이승만의 삶의 행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04년 8월 석방된 이승만은 미국 선교사들의 주선으로 미국 유학을 떠나게 된다. 이승만은 1905년 2월 조지워싱턴 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에 입학해 학사를, 이어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석사를(1910년 3월), 프린스턴대학교에서 1910년 7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소 12년이 소요되는 학위 과정을 5년 반 만에 마친 것인데, 이는 그가 한국에 선교사로 가서 목회 활동을 하겠다고 서약했기 때문에 주어진 특혜였다. 그는 한국에서의 선교 활동에 필요하다며 하버드와 프린스턴에 2년 내 박사학위 보장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승만은 유학을 마치고 1910년 8월 귀국, 2년간 선교 활동에 매진하였으나 1912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일제의 압박을 받자 미국행을 선택, 1945년 10월 귀국 때까지 계속 미국을 기반으로 활동했다. 1913년부터는 하와이로 거처를 옮겨 교육 및 선교 활동에 집중했다. 이승만은 일제강점기 내내 일관되게 ‘외교독립 노선’을 고수했다. 그는 한국의 독립을 서구인의 여론에 호소하거나 강대국의 외교정책에 편승하는 등의 방식이 유일하게 현실적인 독립의 방법이라고 생각했고, 무장투쟁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특히 그의 ‘외교활동’의 주요 대상은 미국으로, 이승만의 대미 외교는 미국 의회 및 행정부를 대상으로 한 청원 외교, 일반 시민 및 여론을 대상으로 한 여론 선전 및 호소로 이루어졌다. 이는 한편으로는 국제정세에 대한 이승만 나름의 판단의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한국인들 자신의 독립 노력을 평가절하함으로써 일종의 ‘독립 부정’의 논리로 해석될 수도 있었다. 1919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이승만은 대통령에 취임했다. 그러나 이승만은 1925년 임시정부 의정원에 의해 대통령 직에서 탄핵당하게 되는데, 이승만이 대통령 취임 후 정부 소재지인 상하이에 머문 기간이 6개월에 불과할 정도로 직무 수행이 성실하지 않았다는 것과 그가 1919년 미국의 윌슨(Thomas Woodrow Wilson) 대통령에게 국제연맹의 한국 위임통치를 청원한 사실 등이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후 이승만은 하와이에서 교민 단체, 한인 학교, 교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1940년대 들어 미국과 일본 사이에 전운이 감돌자 다시 전면에 나설 기회를 잡았다. 1941년 이승만은 임시정부와의 관계를 복원, 대미외교를 위한 주미외교위원부를 설립하고 그 위원장이 되었다. 태평양전쟁 발발 후 이승만은 주미외교위원부를 통해 임시정부를 한국의 정식 정부로 승인해줄 것을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이미 내부적으로 전후 한국에 대해 신탁통치 실시를 구상 중이었던 미국은 이 요청을 거부했다. 이승만은 또한 1942년부터는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방송을 통해 항일 운동을 독려하는 라디오 단파 방송을 하기도 했다.

1945년 8월 일제가 패망하자 이승만은 활동 무대를 국내로 옮겼고, 강경한 반공주의 및 남한 단독정부 수립 노선을 내세우며 활동했다. 그는 1945년 10월 귀국 이후,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1945년 12월 말 이른바 ‘신탁통치 파동’이 발생한 이후에는 김구 등과 더불어 반탁진영의 중심에 섰다. 이승만은 강경한 반소련·반공 태도를 견지했고, 미소공동위원회의 성공을 통한 정부 수립 등 미국과 소련의 타협에 의한 한국 문제 해결 방안에도 부정적이었다.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직후인 1946년 6월 이승만은 ‘정읍발언’을 통해 ‘남쪽만의 임시 정부 또는 위원회 조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일찍부터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했다. 1947년 가을 미소공동위원회가 최종적으로 결렬됨에 따라 미국과 소련의 타협에 의한 통일 정부 수립이 사실상 좌절되자 이승만은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유엔 감시하에 실시된 1948년 5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이승만은 그 해 7월 국회에서의 선거를 통해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대통령에 당선된 이승만은 농지개혁을 통해 전근대적 소작제도를 철폐하고 농민 생활의 안정을 꾀하기도 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친일행위 조사 및 처벌을 위해 조직된 반민족행위자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활동을 조직적으로 방해함으로써 친일파 청산의 좌절을 야기하기도 했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하며 1953년 7월까지 지속된 6·25전쟁은 이승만 정권이 본격적으로 장기 집권을 추구하기 시작한 시점이기도 했다. 먼저 이승만은 1951년 안정적인 집권 기반을 창출하기 위해 자유당을 창당했다. 1952년 5월 국회가 내각책임제 개헌을 추진하며 자신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부산정치파동’을 일으켜 국회를 압박하고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간선제에서 국민들의 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는 직선제로의 개헌을 추진, 이를 관철시켰다. 이를 ‘발췌개헌’이라 하며, 개헌에 힘입어 1952년 8월 이승만은 대통령에 재선될 수 있었다. 한편 이승만은 북진통일을 주장하며 6·25전쟁 휴전협상에 지속적으로 반대했다. 휴전협상이 타결을 향해 가던 1953년 6월에는 기습적으로 반공포로 석방을 단행하여 미국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승만 정부는 휴전협정에 서명하지는 않되 조인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는 것으로 미국과 타협했고, 휴전협상 과정에서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기로 합의를 보았다.

휴전 이후 이승만은 사회를 통제하기 위해 제도적 차원에서는 각종 관제단체와 헌병대·특무대·경찰 조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이념적 차원에서는 북진통일론과 반일주의를 강조했다. 대내외적 위기가 찾아왔을 때 다양한 형태의 관제시위를 통해 여론을 동원하고 대통령 중심의 단결을 강조하는 모습은 1950년대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전쟁이 끝난 후 이승만의 영구집권 시도는 더욱 노골화되었다. 1954년 이른바 ‘사사오입 개헌’이 이루어졌다. 원래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4년이고 총 2회까지만 재임이 가능했는데, 이승만은 사사오입 개헌을 통해 초대 대통령에 한해 회수의 제한 없이 대통령에 계속 당선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 이렇게 개정된 헌법에 의해 치러진 1956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은 세 번째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1956년 선거에서는 경쟁자인 진보당의 조봉암이 상당한 득표를 하고, 대통령 유고시 직책을 승계하게 되어 있는 부통령에는 여당 후보인 이기붕이 낙선하고 민주당의 장면이 당선되는 등 이승만에 대한 지지가 흔들리는 양상이 보이기도 했다. 1956년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의 이반은 이승만 정권으로 하여금 1960년 3·15 부정선거라는 헌정사상 최악의 부정선거를 자행하게 만들었다. 이승만 정부는 이승만과 이기붕을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에 당선시키기 위해 4할 사전투표, 3인조 또는 5인조 공개투표, 야당의 선거 참관인 축출 등 노골적인 선거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이로 인해 국민들의 분노는 임계점을 넘었고, 4·19가 발생하게 된다. 이승만은 이에 굴복하여 4월 26일 하야를 발표한 후 5월 말에 자신의 오랜 활동 근거지였던 하와이로 망명했다. 이승만은 몇 차례에 걸쳐 귀국 가능성을 타진했으나 후속 정부들은 이를 거부했고, 결국 1965년 하와이에서 생을 마감했다. 4·19 이후 이승만에 대한 한국 사회의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나, 1990년대 이후 보수 진영 일각에서 이승만 재평가 논의가 등장하면서 이승만의 공과를 둘러싸고 사회적 논란이 간헐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이승만 대통령

다음은 Bing에서 이승만 대통령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맹장 수술 회복 기간 | 맹장수술 후유증과 복막염에 대하여 198 개의 자세한 답변
See also  원피스 다시 보기 | 원피스 애니 1화~1005화 40분만에 다보기 110 개의 정답

See also  소셜 연금 크레딧 | 내 소셜연금은 한달에 얼마씩 받을까? 인기 답변 업데이트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 어쩌다어른
  • 특강
  • 강연
  • 강의
  • 설민석
  • 역사
  • 근현대사
  • 산업화
  • 민주화
  • 민주운동
  • 민주주의
  • 가난
  • 4.19혁명
  • 반독재민주주의운동
  • 이승만대통령
  • 사사오입개현
  • 2차개헌
  • 중임제한
  • 자유당
  • 사사오입
  • 심용환
  • 한국사
  • 3.1운동
  • 역사 강연
  • 역사강의
  • 헌법
  • 항일운동
  • 일제
  • 가미카제
  • 일본제국주의
  • 2차세계대전
  • 대공황
  • 임시정부
  • 상해
  • 대한민국임시정부
  • 전두환
  • 박정희
  • 군부독재
  • 독재
  • 개헌
  • 최태성
  • 큰별쌤
  • 군함도
  • 강제징용
  • 독립군
  • 독립운동
  • 일제강점기
  • 관동대지진
  • 조선인학살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YouTube에서 이승만 대통령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승만 대통령의 사사오입개헌, 알고 나면 더 황당하다?! | 설민석 한국사 강사 [어쩌다어른] | 이승만 대통령,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